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명
유망
우수
현저함
인기
영광
고명
스페셜
"
저명
"(으)로 총 179건 검색되었습니다.
[팩트체크]과학자 250명 "무선 이어폰, 암 발생 위험" 발표, 알고 보니 4년 전 호소문
동아사이언스
l
2019.03.18
가정사회건강연구소 소장은 이메일 인터뷰에서 “호소문에 서명한 과학자들은
저명
한 학술지에 전자기장과 생물학, 건강과 관련된 연구를 발표한 분들”이라며 “하지만 호소문은 이번에 새로 제출된 내용이 아닌 2015년 5월 제출됐으며 특정 제품이나 제조사를 언급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이 거울을 본다는 것의 의미
2019.02.12
쏘인 자리 부근을 만지고 있다. ‘커런트 바이올로지’ 제공 미국 에모리대의
저명
한 영장류학자 프란스 드 발 교수는 2016년 출간한 책 ‘동물의 생각에 관한 생각’에서 이런 이원론에 반대하는 주장을 폈다. 드 발 교수는 “원숭이와 유인원처럼 서로 관계가 가까운 종들의 집단 사이에서 일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황금돼지해에 생각해보는 과학자의 인복
2019.01.08
1930년생인 밀러는 버클리 캘리포니아대에서 화학을 공부하고 1951년 시카고대의
저명
한 화학자 해럴드 유리(Harold Urey) 교수 실험실에 들어갔다. 대학원 생활을 시작한 지 얼마 안 된 어느 날 유리 교수가 강의에서 “생명체를 이루는 분자가 만들어지려면 지구가 환원성(산소가 없는) 대기였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 건강 노력을 게을리 할 수 없는 이유
2018.04.10
항우울제가 효과가 있는 건 신경생성을 촉진한 결과라는 연구결과도 있다. 스페인의
저명
한 신경해부학자로 1906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은 산티아고 라몬 이 카할이 직접 그린 설치류 해마의 신경회로다. 라몬 이 카할은 이처럼 정교한 구조가 유지되려면 성체 신경생성이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고 ... ...
스티븐 호킹은 어떤 업적을 남겼나
2018.03.15
호킹. 1980년대 모습 - NASA 제공 호킹은 박사 학위를 받기 전부터 유명세를 탔다. 당시
저명
한 물리학자였던 프레드 호일을 정면 반박하면서부터다. 1964년 과학자들은 우주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항상 같은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는 정상우주론과 뜨겁고 밀도가 높은 하나의 점이 폭발하면서 우주가 ... ...
태초 특이점,블랙홀 이론...스티븐 호킹이 남긴 학문적 업적들
동아사이언스
l
2018.03.14
천재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이 14일 별세했다. 그는 알버트 아인슈타인의 뒤를 이은 가장
저명
한 물리학자 중 한 명으로 평가되고 있다. 근위축성축삭경화증, 이른바 루게릭병으로 모든 근육이 마비돼 움직일수 없었지만 부단한 노력으로 우주와 양자 중력에 대한 연구를 이어갔다. 호킹 박사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 시대를 풍미한 과학자 스티븐 호킹을 기리며...
2018.03.14
어떤 밀도에 이르러 다시 팽창하기 시작했는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을 찾았고 이해
저명
한 이론물리학자 로저 펜로즈가 증명한 특이점(singularity)에 주목했다. 특이점은 죽음을 맞이하는 별이 특정 반지름까지 수축하면 발생하는 공간과 시간이 끝나는 지점이다. 호킹은 우주의 팽창에 이를 역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똑똑한 사람의 뇌는 뭐가 다를까
2017.11.29
여러 각도에서 사진을 찍은 뒤 240 조각으로 나눠 일부는 자신이 보관하고 나머지는
저명
한 병리학자들에게 보냈다. 이런 사실은 1978년에야 세상에 알려졌다. 1984년 버클리 캘리포니아대의 신경해부학자 매리언 다이아몬드의 수중에 아인슈타인의 뇌 조각 네 점이 들어왔다. 다이아몬드 교수팀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 줄이는데 식물이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
2017.05.02
뜨니 봄을 완상할 기분이 나지 않기 때문이다. 미세먼지 문제야 어제오늘 일이 아니지만
저명
한 학술지 ‘네이처’ 3월 30일자에 중국발 미세먼지로 한국과 일본에서 매년 3만 여명이 사망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면서 사람들의 마음은 더욱 무겁다. 게다가 한반도 정세처럼 미세먼지 배출 문제도 ... ...
이 세상에 없는 새로운 물질 형태를 찾아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12
밖에 떠오르지 않았습니다. 전통과 역사(?)를 자랑하는 ‘표지로 읽는 과학’은 매주
저명
한 과학학술지 ‘네이처’와 ‘사이언스’의 표지를 소개하는 글입니다. 무엇이 표지로 선정이 되는지에 따라 담당 기자들의 희비가 엇갈리곤 하지요. 시간 결정이란 말을 듣는 순간 들었던 ‘망했다’는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