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장
사고
공사장
스페셜
"
현지
"(으)로 총 2,395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시조새와 현대 새의 중간, 조류의 진화 과정을 보여주는 새
동아사이언스
l
2024.11.16
현대 새의 진화 과정을 밝힐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13일(
현지
시간) 발표했다. 나바오르니스 헤스티아에의 이름은 완전한 두개골 화석을 발견한 상파울루주 고생물학 박물관의 윌리엄 나바 연구원의 이름과 그리스 신화의 올림포스 12신의 이름인 여신 헤스티아에서 ... ...
[표지로 읽는 과학] 암 발병·치료 원리 밝힐 3차원 종양 지도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4.11.02
세포의 3차원(3D) 지도를 만들고 종양과 성장 특징 등을 살핀 12편의 논문을 네이처에 30일(
현지
시간) 공개했다. 연구팀은 인간과 동물의 조직에서 추출한 수십만 개의 세포를 분석해 종양 세포의 3D 지도를 만들었다. 악성 종양에서 세포 조직을 분석한 연구에서는 유방, 대장, 췌장 등 부위에 따라 ... ...
[표지로 읽는 과학] "美 대선 결과, 미국 과학계에 큰 영향"
동아사이언스
l
2024.10.20
예상 행보를 분석하고 실제 발언을 인용해 비교했다. 홀든 소프 사이언스 편집장도 17일(
현지
시간) 사이언스에 기고한 글에서 "4년 전에는 코로나19가 최대 이슈였기 때문에 과학이 토론의 중심이 됐지만 이제 가장 큰 이슈는 경제"라며 "과학은 다시 한번 뒷전으로 밀려났다"고 밝혔다. 소프 편집장은 ... ...
[표지로 읽는 과학] 우주에서 지구로 떨어진 암석, 어디서 왔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4.10.19
체코 프라하 카를대 교수 연구팀은 지구에 떨어진 운석의 발생 시기와 원인을 16일(
현지
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각각 발표했다. 앞선 연구에 따르면 운석의 약 80%는 원시 태양계를 구성하는 성분이 보존된 '일반 콘드라이트' 운석이다. 하지만 이들 운석은 언제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명확히 ... ...
[표지로 읽는 과학] 초파리 뇌 전체 지도 완성
동아사이언스
l
2024.10.05
완전한 뇌 구조를 완성하고 초파리 뇌의 정보처리 과정들을 확인한 연구결과를 1일(
현지
시간) 네이처에 7편의 논문으로 공개했다. 초파리는 신경세포의 수가 인간보다 100만 배 적지만 비행이나 사회적 상호작용 등 복잡하고 전교한 행동을 수행한다. 과학자들은 초파리 뇌 지도를 시작으로 다양한 ... ...
[표지로 읽는 과학] 우리는 쥐에 대해 얼마나 알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9.22
갈색쥐(학명 Rattus norvegicus)를 사람이 키울 수 있도록 길들인 쥐다. 사이언스는 19일(
현지
시간) 특별호를 펴내며 쥐와 인간이 공생한 역사부터 쥐와 관련한 연구, 생물의학적 모델로서의 쥐의 역할 등에 대해 소개했다. 사이언스의 편집자들은 특별호 서문에 "인간은 쥐가 세계 곳곳에 퍼져 있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역사상 최대 규모 블랙홀 제트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9.21
참여한 국제 공동연구팀은 관측 사상 가장 큰 규모의 제트를 관측한 연구 결과를 19일(
현지
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저주파 전파망원경인 로파(LAFAR)를 사용해 이번 제트를 관측했다.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거대한 거인인 '포르피리온'의 이름을 따 명명됐다. 분석 결과 ... ...
[사이언스게시판] 한국공학한림원 'NAEK 포럼'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9.20
혁신과제의 실천 전략을 담은 것이다. ■ 한국기계연구원(KIMM)은 20일 체코 프라하
현지
에서 국내 공작기계 제조사, 체코공대(CTU) 등과 정밀기계 분야 5자 협력 협약을 체결한다고 밝혔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에 따라 발전기와 터빈 부품 제조를 위한 장비·공정의 디지털 전환(DX)과 인공지능(AI) ... ...
[표지로 읽는 과학] 암세포 속 '미세핵' 붕괴 과정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9.01
암세포에서 미세핵이 붕괴하는 데 기여하는 메커니즘을 각각 밝혀내고 연구결과를 30일(
현지
시간) 사이언스에 공개했다. 산타기다 교수팀은 세포 내 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위 그림에서 금색)에서 나온 활성산소종(ROS)이 자가포식 단백질인 p62(위 그림에서 빨간색)를 산화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코로나19 전파 양상 빠르게 분석하는 모바일 앱
동아사이언스
l
2024.08.18
신속히 통제하는 데 쓰일 수 있도록 분석하는 방법을 고안했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11일(
현지
시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공개돼 이번주 표지로 선정됐다. 코로나19 대유행 같은 상황에서 바이러스 전파 경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데이터 확보는 최우선 과제다. 데이터에 따라 효과적으로 사람들을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