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장
사고
공사장
스페셜
"
현지
"(으)로 총 2,395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20년간 산불이 대기오염에 미친 영향
동아사이언스
l
2023.09.23
이로 인한 오염물질이 인간에게 얼마나 많이 유입됐는지 확인한 연구 결과를 20일(
현지
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먼저 자연적으로 발생한 산불 등 야외에서 발생한 화재가 얼마나 많은 대기오염 물질 생성으로 이어졌는지 추정했다. 분석 결과 산불로 인해 발생한 ... ...
[표지로 읽는 과학] '소리' 빨리 배우는 새가 문제해결력 높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9.17
다른 새에 비해 높으며, 똑똑한 새일수록 더 큰 뇌를 갖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14일(
현지
시간)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발성 학습은 소리를 빠르게 배우거나 들리는 소리를 모방하는 능력을 말한다. 발성 학습 능력은 구어적인 표현 능력과 연관이 깊고, 이는 지능과 직결된다고 알려져 ... ...
[표지로 읽는 과학] 배달 음식 즐기면서 쓰레기 줄이는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23.09.10
내 음식 배달 산업에서 일회용품 사용을 줄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연구한 결과를 8일(
현지
시간)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집에 앉아 스마트폰을 몇 번 클릭하기만 하면 대부분의 음식을 받아볼 수 있는 음식 배달앱은 전 세계적으로 각광받고 있다. 연구팀은 음식 배달 수요 증가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인간vsAI 드론 경기 승자는
동아사이언스
l
2023.09.02
스위프트'와 인간 드론 조종사 챔피언 3인이 경쟁한 결과 AI가 이겼다는 연구 결과를 30일(
현지
시간)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드론 레이싱용으로 제작한 자율주행 AI 스위프트는 드론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주행 트랙을 파악했다. 이렇게 얻은 데이터를 사전 시뮬레이션에서 ... ...
[사이언스게시판] ETRI, KT와 '제2회 Network-AI 해커톤'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8.16
서비스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원하고 KISTI가 운영한다. 코센세미나는 해외
현지
의 한인과학자들을 실시간으로 연결해 지식을 공유하고 소통하는 프로그램이다. 네트워킹을 원하는 누구나 코센 회원 가입 후 온라인 줌을 통해 무료로 참여할 수 있다. ■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17일 오후 3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착한 바이러스의 사악한 전략
2023.08.09
파지요법 시스템 자체로 FDA 승인을 얻으려고 시도하는 기업도 있다. 한편 아프리카 각국
현지
인들에게 파지요법을 가르쳐 오늘날 조지아처럼 토착 세균성 질환을 스스로 해결할 수 있게 하려는 움직임도 있다. 서구에서 새로운 항생제나 백신을 개발할 날만을 무력하게 기다릴 게 아니라 세균성 ... ...
[표지로 읽는 과학] DNA로 찾은 300년전 아프리카계 미국인 후손
동아사이언스
l
2023.08.06
미국인 27명의 DNA를 분석, 4만1799명에 이르는 이들의 후손을 찾고 연구결과를 4일(
현지
시간)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1979년 메릴랜드주 고속도로 확장 공사를 하던 중 수많은 시신이 발굴됐다. 고고학자들은 이후 근처에서 과거 노예로 일했던 노동자들이 묻힌 묘지를 발견했다. 하니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핵심은 ‘과학’
2023.08.01
후쿠시마와 우리 해역에 대한 정확한 현실도 인정해야 한다. 지난 12년 동안 후쿠시마
현지
의 상황은 엄중했다. 사고가 일어난 2011년부터 오염수의 본격적인 수거가 시작된 2년 동안 후쿠시마 앞바다로 엄청난 양의 방사성 핵종이 누출됐다. 누출 총량이 현재 후쿠시마 저장탱크에 들어있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AI로 밤에도 낮처럼 물체 인식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7.29
결합해 야간에도 대상을 선명하게 인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연구결과를 26일(
현지
시간) '네이처'에 발표했다. 사람의 눈과 마찬가지로, 기계 역시 빛 없이 깜깜한 밤에는 사물의 모습을 낮처럼 선명하게 인식하지 못한다. 연구팀이 개발한 '열 보조 감지 및 범위 측정(heat-assisted detection and ... ...
[표지로 읽는 과학] 뼈 비율로 직립보행 비밀 푼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7.23
UT오스틴) 통합생물학과 연구팀은 뼈를 통해 직립보행의 비밀을 파헤친 연구결과를 21일(
현지
시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사람은 현대인으로 진화하는 과정에서 직립보행할 수 있도록 골격 변화가 일어났다. 이는 두 손을 자유롭게 했지만, 한편으로는 척추 등에 부담을 높여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