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1,681건 검색되었습니다.
INTRO X선에서 전파까지 합동수색작전
과학동아
l
200511
들어설 거대 밀리미터파 망원경(LMT)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연구진이 300명에 달하는
미국
하버드대 천체물리센터의 김동우 박사는 NASA의 찬드라 X선 망원경으로 은하의 진화과정을 연구하고 있다.137억년 전 우주는 빅뱅이라는 대폭발로 탄생했다. 이후 수 억년 만에 은하들이 태어났다고 한다. ... ...
1. 137억년 전 우주를 거슬러
과학동아
l
200511
979년
미국
으로 이민 온 윤 교수는 고등학교 때부터 지금까지
미국
에서 지낸 세월만큼
미국
식이 완전히 몸에 뱄다. 한국어도 유창하지만 영어가 더 편할 때도 많다. 하지만 그는 한국인이라는 자부심이 대단하다. 부산에서 중학교를 다니던 1970년대, 한국은 힘없는 나라였다. 그는 원자폭탄 하나만 ... ...
2. 은하의 먹이사슬 밝힌다
과학동아
l
200511
챔프를 연구 중인 한국인 박사후 연구원을 지도하고 있다. 이 말도 빠뜨리지 않았다. “
미국
은 공교육에서 수학이 약하다고 하지만 심하다고 느낄 만큼 어릴 때부터 읽고 쓰기를 가르친다. 과학을 전공하는 학생도 마찬가지다. 많이 읽고 많이 써야 논문도 잘 쓸 수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 ...
줄기세포의 줄기를 잡다
과학동아
l
200511
다루는 곳은 서울의 세계줄기세포허브가 유일하다”고 강조했다. 세계줄기세포허브가
미국
과 영국에 곧 개설하겠다고 한 허브는 이들 기존 줄기세포은행과는 무관하다 ... ...
3. 위장을 점령한 난폭한 미생물
과학동아
l
200511
위산 분비 억제제 등을 꾸준히 복용하면 십이지장 궤양의 대부분은 치료할 수 있다.현재
미국
인과 영국인에서 분리한 두 균주의 유전체가 해독됐다. 우리나라에서는 2001년 경상대 의대 연구진을 포함한 인간유전체기능연구사업단이 헬리코박터 두 균주의 DNA 염기쌍을 완전 해독해 한 단계 높은 ... ...
예술과 과학의 화려한 만남
과학동아
l
200511
것이 캐나다 퀘벡의 ‘태양의 서커스’(Cirque du Soleil)가 선보이는 공연이다. 이들이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공연 중인 ‘O’쇼나 ‘살팀바코’(saltimbaco)에서는 레이저를 비롯한 각종 조명과 컴퓨터 음향 시스템, 세트 원격 조종 장치 등을 이용해 환상적인 이미지를 만들어낸다.우리나라에서도 ... ...
창공을 가르는 날틀의 경연
과학동아
l
200511
애칭을 갖고 있는 F-15K는 이번 전시 일정을 맞추기 위해 멀리 태평양을 건너왔다.
미국
세인트루이스 보잉사 공장을 이륙해 하와이, 괌을 경유하는 1만5963km의 대장정. 급유를 위해 단 두 차례만 잠시 착륙했을 뿐 사실상 무착륙 비행이었다.긴 항속거리 외에도 F-15K는 여러 가지 장점을 갖고 있다. ... ...
괴물 오징어 사진촬영 첫 성공
과학동아
l
200511
섞은 도금액(아말감)을 칠해 가열하면 수은은 날아가고 금만 남아 도금되는 기술1941년
미국
에서 처음 제정됐다 대상 인구의 대부분(975%)이 주요 영양소를 결핍되지 않을 정도로 섭취해야 하는 양이다 방송, 신문, 책에서 '이만큼은 먹어야 한다'고 말하면 그것이 영양권장량이다아프리카 기원설1'은 ... ...
3. 거대한 별의 인큐베이터 옆에서
과학동아
l
200511
한두 번씩은 캘리포니아 팔로마 천문대를 찾는다.연세대 천문학과를 졸업한 노 박사는
미국
메릴랜드대에서 석ㆍ박사학위를 받은 뒤 프랑스 파리 원자에너지연구소에서 박사후 과정을 밟았다. 물론 처음부터 그녀가 적외선 연구에 관심을 가졌던 것은 아니다. 천문연구자라면 가질 법한 수준의 ... ...
2. 다재다능한 중매쟁이 촉매 개발
과학동아
l
200511
출신 과학자 가운데 31명이 노벨상을 받았다. 노벨화학상 이후 노벨평화상까지 수상한
미국
의 화학자 라이너스 폴링도 이 학교의 교수였다. 한편 매사추세츠공대는 슈록 교수를 포함해 61명의 현직 또는 졸업생이 노벨상을 받았다.자리교환 반응에서는 인체와 환경에 해롭지 않고 분자량이 적은 ... ...
이전
596
597
598
599
600
601
602
603
6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