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뉴스
"
인간
"(으)로 총 6,861건 검색되었습니다.
적게 먹으면 오래 산다? 이유 있었네
2015.09.22
사실을 규명했다고 22일 밝혔다. 써투 단백질은 다양한 실험 생물의 수명을 증가시키며,
인간
의 노화 억제에서도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 단백질이 노화를 억제하는 과정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며, 이 단백질의 노화억제 기능에 대해서도 학계에서는 논란거리였다. ... ...
알츠하이머병도 전염 될까?
2015.09.21
것. 심지어 수혈을 통한 감염을 우려하는 과학자들도 있다. 따라서 추가실험(시체 유래
인간
성장호르몬을 실험동물에 투여한 뒤 베타 아밀로이드 침착 여부와 정도를 대조군과 비교하는 실험)을 통해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의 감염성이 확증된다면 의료계에 미치는 파장은 상당할 것이다. ... ...
썩은 그루터기도 귀한 생명을 품어 내는 보금자리가 된다
2015.09.20
인류 화석과 함께 고(古)DNA 자료를 바탕으로 알아낸 인류의 새 역사가 실렸다.
인간
이 탄생하고 지금의 모습으로 진화하기까지의 긴 여정을 한 번에 알 수 있는 셈이다. 이 교수는 책을 “그동안 학생들에게 인류학을 가르치면서 떠오른 단상들, 그리고 제가 직간접적으로 경험한 상황들을 인류의 ... ...
인터스텔라는 해피엔딩… ‘마션’ 주인공은 지구 귀환 가능할까
2015.09.20
그래비티의 소재에 ‘로빈슨 크루소’의 코드를 맛깔나게 가미한 이야기다. 와트니의 ‘
인간
만세’는 그의 과학적 지식 외에도, 687일(지구 시간)이란 압도적으로 긴 시간을 미치지 않고 버텨내는 데서 그 의미가 더 크다. 기록된 일기 형식으로 흘러가는 소설과 달리, 영화는 고군분투하는 ... ...
[특집] 韓中日 달탐사 경쟁 심화… “먼 옛날 달은 ‘동생’이 있었다는데”
2015.09.19
항아의 남편인데 예가 태양을 화살로 쏴 떨어뜨리는 바람에 부부는 하느님에게 쫓겨나
인간
이 됐다. 다시 신이 되기를 원하는 항아를 위해 예는 불사약을 두 개 받아왔다. 불사약은 둘이 하나씩 먹으면 불로장생하고 혼자 두 개를 다 먹으면 신선이 될 수 있는데, 항아는 이 불사약을 혼자 다 먹고 ... ...
[특집] 올해 한가위엔 '슈퍼문'이 뜬다
2015.09.19
풍요의 상징이지만 서양에서는 그렇지 않다. 보름달이 뜨면 늑대로 변하는 늑대
인간
의 이야기가 대표적이다. 미치광이를 뜻하는 ‘루너틱’의 어원도 달에서 왔다. 타로카드에서도 달 모양의 정방향은 불길한 징조를 뜻한다. 슈퍼문이 뜨면 지구가 멸망한다는 미신도 있다. 따라서 한 달에 두 번 ... ...
데니스 홍 UCLA 교수 “생물학자와 손잡고 동물근육 지닌 로봇 도전”
동아일보
l
2015.09.17
본사에서 열린 ‘인공지능 시대 기술 진화 방향’ 포럼에서 홍 교수는 로봇이 어떻게
인간
에게 이로움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해 강연했다. 홍 교수는 “현재까지 99%의 로봇은 모두 공장 조립용 로봇처럼 평평한 바닥에서 정해진 딱딱한 움직임을 위해 만들어졌다”며 “우리는 생물학자와 수년간 ... ...
닭은 왜 가축이 되었나
2015.09.16
받지 않아 결과적으로 잘 성장할 뿐 아니라 생산성이 높은 동물들만 골라 당시
인간
들이 가축으로 길들였을 가능성이 크다고 16일 밝혔다. 연구팀은 요즘 양계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가축용 닭의 조상인 적색야계(Gallus gallus)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적색야계는 아시아 열대우림에 서식하며 ... ...
빛으로 칼슘이온 조절하고 기억력도 높인다
2015.09.15
만들었다. 청색 빛을 쬐면 뭉쳐지는 식물의 광수용단백질과 칼슘이온 통로를 여닫는
인간
의 조절단백질을 결합해 만든 것이다. 생쥐에게 이 융합단백질을 주입한 뒤 청색 빛을 쬐자, 칼슘이온 통로가 열리면서 기존 방법보다 5~10배 많은 칼슘이온이 세포 안으로 들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 ...
호모 날레디, 고인류학을 비추는 별이 될까
2015.09.14
날레디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세소토어로 별이라는 뜻이다. 굳이 번역하자면 ‘별의
인간
’인 셈이다. 남아공 비트바테르스란트대의 고인류학자 리 버거 교수가 이끄는 공동연구팀은 학술지 ‘이라이프(eLife)’에 발표한 논문 두 편에서 신종 인류 호모 날레디의 발견을 공식 보고했다. 호모속에 ... ...
이전
597
598
599
600
601
602
603
604
6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