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뉴스
"
인간
"(으)로 총 6,861건 검색되었습니다.
[대한민국과학창의축전 개막] “TV에서만 보던 ‘휴보’ 직접 조종하니 신기”
2015.07.28
인간
형 로봇 ‘휴보’.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텔레비전에서만 보던 ‘휴보’를 제 손으로 조종해 보니 얼떨떨해요.” 28일 막을 연 ‘과학창조한국대전’ 행사장을 찾은 김도현 군(고양 가람초 3학년)은 최근 세계재난대응로봇대회(DARPA 로보틱스 챌린지·DRC)에서 우승한 휴보가 장애물을 넘는 ... ...
PART 02. 쿡방, 왜 재밌을까? 촬영 공식 3
과학동아
l
2015.07.28
그의 대답은 간단했다. “음식을 만드는 것, 음식을 먹는 것에 흥미를 느끼는 것은
인간
의 본능이죠. 쿡방은 이런 욕구를 최대한으로 끌어올립니다.” 그가 말하는 쿡방의 첫 번째 매력은 ‘여럿이 먹는 재미’였다. “축구 경기를 혼자 보면 재미가 있나요? 음식을 혼자 먹을 때와 여럿이 먹을 ... ...
PART 02. 무서운 공포영화엔 이런 장면 꼭 있다!
과학동아
l
2015.07.28
’ 소리인 셈이다. 실제로 그런지 확인해 보고자 지난 7월 7일 김성필 UNIST디자인 및
인간
공학부 교수의 연구실에서 직접 뇌파 실험을 해봤다. 피실험자에게 공포영화 속에서 실제로 귀신이 등장하는 장면과 전조가 되는 장면(주인공이 한 곳을 응시)을 번갈아 보여주며 뇌파를 측정했다. 실험은 10 ... ...
달콤한 소주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15.07.28
강 박사는 “짜고 매운 보쌈 김치에 설탕을 넣어 달게 만드는 것도 같은 이치”라며 “
인간
의 혀는 잘 속는 편이라 같은 소주라도 단맛을 첨가하면 마시기 편하게 느낀다”고 말했다. 시판 소주의 단맛은 소주를 보다 잘 삼키게끔 제조사에서 첨가하는 감미료 맛이다. 인공적인 과일 향은 ... ...
미래 사회 이끌 키워드는 '호기심과 상상력'
과학동아
l
2015.07.27
SK텔레콤이 후원했다. 올해는 발표 100주년을 맞는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과
인간
형 로봇, 가상현실, 3D 프린팅 등 다양한 주제의 강연이 마련됐다. 지난 6월 25일 정오에 접수를 시작하자마자 10분만에 500명 정원이 마감될 정도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오준호 KAIST 교수의 '휴보이야기' ... ...
과학자와 떠나는 지적(知的) 바캉스 성황리에 열려
2015.07.25
생체모방공학 등 최근 큰 관심을 받고 있는 첨단 기술의 미래를 차례로 소개한다.
인간
형 로봇 ‘휴보’를 주제로 한 오준호 KAIST 교수의 특별강연은 오후 1시에 열리며 SF 문학에 필요한 과학 지식을 다루는 강연도 준비됐다. 이밖에도 청소년 참석자를 위해 서울대 공대 재학생들이 전공 및 진로 ... ...
‘독한 놈들’ 인공 세포막으로 확인한다
2015.07.21
있다. 이 세포막을 통해 10조 개 이상의 세포들이 서로 통신하기 때문에 세포막은
인간
의 생존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소다. 연구팀은 인공세포막에 있는 10억 분의 1m 크기의 아주 작은 구멍인 ‘이온통로’에 흐르는 전류를 포착해 물질이 세포막을 교란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했다. ... ...
우리 몸은 이족보행에 최적화된 구조인가?
2015.07.20
위험한 요소가 너무 많기 때문에 맨발로 다닐 수는 없다. 그럼에도 몇몇 연구자들은
인간
의 해부학적 구조가 걷는데 최적화된 상태가 아닐지도 모른다고 가정하고 이를 입증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즉 자동차 연구자들이 엔진의 연소 효율을 높이기 위해 디자인을 끊임없이 바꾸듯이 우리 몸도 ... ...
‘바이오해커’를 아십니까
2015.07.19
우주개발 경쟁에 천문학적인 돈을 쏟아 부었다면 지금은 뇌로 그 대상이 옮겨갔다.
인간
의 뇌를 정복하는 나라가 향후 세계 경제의 패권을 거머쥘 수 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한양대 생체공학과 교수인 저자는 뇌공학 연구의 현주소를 생생한 예를 들어 설명한다. 기계가 생각을 읽고, ... ...
뇌과학으로 분석한 영화 ‘인사이드 아웃’
2015.07.17
김지은 이화여대 뇌·인지과학과 교수는 “새로운 것을 계속 배우고 적응해야 하는
인간
에게 망각은 기억만큼 자연스러운 뇌의 기능”이라면서 “강렬한 감정적인 경험과 함께 생긴 기억은 바로 지워지지 않고 오랫동안 저장되는 등 망각에도 일종의 법칙이 있다”고 말했다. 영화에서도 라일리가 ... ...
이전
601
602
603
604
605
606
607
608
6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