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뉴스
"
인간
"(으)로 총 6,861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
줄기세포로 만든 0.5mm 심장이 뛰기 시작했다
2015.07.15
㎜ 크기의 3차원 심장을 만들고 박동하게 만드는 데도 성공했다고 14일 밝혔다. 연구팀은
인간
의 줄기세포에 심장세포로 분화하는 데 필요한 유전인자와 환경을 조성해 주는 방법으로 3차원 ‘미니 심장’을 만들었다. 크기는 0.5㎜로 작지만 진짜 심장처럼 뛰었다. 힐리 교수는 “사람의 심장이 ... ...
세계 최고의 재난대응로봇 휴보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7.14
넘게 로봇을 개발하고 계신데요, 힘든 적도 있었나요? 휴보는 국내 최초의 두 발로 걷는
인간
형 로봇이에요. 그러니 연구 초기에는 처음부터 하나 하나 연구하고 개발해야 됐어요. 처음 하니까 뭐든지 어려웠지만 발전이 빨라서 즐거웠어요. 이제는 끈기가 필요한 시점인 것 같아요. 로봇 개발이란 게 ... ...
에이즈 백신 개발을 향해
2015.07.12
표지에는 표면에 Y자 모양의 물체가 붙어 있는 ‘공’이 등장한다. 그 옆으로 ‘HIV(
인간
면역결핍바이러스)’라는 단어가 보인다. 에이즈 바이러스를 나타낸 그림일까. 하지만 실제로 이 그림은 면역세포와 항체를 나타낸 것이다. 사이언스는 이번 호에서 에이즈 백신 개발 현황을 다뤘다. ... ...
[Health&Beauty]7000개 희귀질환 중 5%만 치료제 존재
동아일보
l
2015.07.08
비중은 2011년 37%(11개), 2012년 33%(13개), 2013년 33%(9개), 2014년 41%(17개)까지 늘어났다. ‘
인간
유전자 지도’의 완성과 혈액 내 단백질 분석 등 과학 기술이 발전하면서 신약 개발에도 개인 맞춤형 치료가 실현되고 있다. 개인 맞춤형 희귀질환 치료제 역시 2006년 13개에서 2011년 72개로 대폭 증가했다. ... ...
대학 수학 잘 하는 비법은 있을까
2015.07.05
의식을 과학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전에 나선다. 저자가 이야기하는 ‘놀라운 가설’은
인간
의 의식이 머릿속 뉴런(신경세포) 덩어리, 즉 상호작용하는 수많은 뉴런 집합의 움직임이라는 발상에서 출발한다. 저자는 이 책에서 자신이 연구를 통해 얻은 중간 결과를 내놓는 데 그치지 않고 후배 ... ...
인슐린 생산량 조절하는 물질 찾았다
2015.07.05
miRNA-9a에 대응하는 miRNA-9가 있는데 두 마이크로RNA는 핵심 염기서열이 동일하기 때문에
인간
에게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작용할 것으로 추정된다. 유 연구원은 “사람의 miRNA-9를 인공적으로 합성한 뒤 인슐린을 분비하는 세포까지 전달하는 방식으로 비만과 당뇨병을 치료하는 가능성이 열렸다”며 ... ...
[광화문에서/윤신영]은유로서의 질병
동아일보
l
2015.07.01
‘미지의 악’ 자리를 꿰어 찼을 뿐이다. 이제는 보이지 않는 병이 아니라 병원체가
인간
을 향해 싸움을 거는 존재가 됐다. 문제는 병원체에 대한 이런 관점이 현대 의학과 과학에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원인(병원체) 한 가지에 모든 악을 뒤집어씌운 채 다른 요인에 대해서는 뒷짐을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
과학동아
l
2015.06.30
크게 높였다. 허리를 180˚ 돌릴 수 있어 사실상 앞뒤가 따로 없다. 두 손으로 일을 할 때는
인간
처럼 무릎을 앞으로 구부리고, 험지를 걸을 때는 뒤로 구부려 안정적으로 걷는다. 휴보 개발팀이 이 이상 몸집을 키우지 않은 것은 균형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대회에 출전한 로봇 중 휴보가 ... ...
PART 01. 光의 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15.06.30
됐다고 밝혔다. 그래서인지 추가로 연구하고 싶은 분야도 많았다. 아마노 교수는 “친
인간
적인 해양환경 조명을 만들거나 빛을 이용해 물을 정화하는 기술 등에 관심이 많다”고 답했다. ※ 더 많은 과학기사를 2015년 7월호 과학동아에서 만나보세요.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
과학동아
l
2015.06.29
영화 속에 등장하는 완벽한 휴머노이드를 당분간 기대하기 어렵다는 점 정도다.
인간
과 동물과 기계의 지능은 분명 차이가 있지만, 지적 능력의 다양한 스펙트럼 위에 있다. ※ 더 많은 과학기사를 2015년 7월호 과학동아에서 만나보세요. ... ...
이전
602
603
604
605
606
607
608
609
6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