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우리 은하 중심부에 블랙홀 1만 개과학동아 l2018년 05호
- 3광년 거리에 있는 작은 블랙홀 12개를 찾아냈다. 이 블랙홀은 지구에서 약 2만7000광년 떨어져 있으며, 질량이 태양의 약 400만 배다. 연구팀은 은하계 중심 면적과 블랙홀의 분포를 수학식으로 정밀하게 계산해, 주변에 약 1만 개의 작은 블랙홀이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헤일리 교수는 “우리 은하 ... ...
- 수면 시간 늘리니 학업 효율 올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청소년의 등교 시간을 늦추면 적정한 수면 시간이 확보돼 활동 시간 동안 맑은 정신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마이클 치 수석연구원이 이끄는 미국 듀크대-싱가포르 국립의대 인지신경과학센터 연구팀은 2016년 7월부터 싱가포르여중 재학생 375명의 등교 시간을 늦추고 수면 ... ...
- [Culture] 너의 목소리가 잘 보여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음성을 실시간으로 문자로 바꾸는 ‘9개 언어 음성인식기술’을 개발했다. 이는 2012년 개발한 ‘지니톡’ 기술을 업그레이드시킨 것이다. 지니톡은 영어, 중국어, 일본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등 5개국 언어를 한국어로 통역하는 AI로, 정확도는 95% 정도다. 김 책임연구원은 “9개 언어 ... ...
- Part 2. 자율주행자동차 안전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물체 인식 능력이 떨어진다. 더구나 출퇴근 시간이라 교통량도 어마어마하다. 실제로 2016년에 발생한 테슬라 ‘모델 S’의 자율주행자동차 사고도 역광인 상태에서 안전 센서가 하얀색 트럭과 하늘을 구분하지 못해 발생했다(72쪽 참조). 역광 상태에서는 라이다도 사람의 눈처럼 먹통이 되기 ... ...
- [과학동아 X KRISS] 130년 만에 플랑크 상수로 다시 태어나는 킬로그램(kg)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유럽, 2005년에 시작한 중국에 비하면 훨씬 늦게 시작했다. 이 책임연구원은 “그럼에도 6년만에 키블 저울 시스템을 완성했다”며 “5년 이내로 안정적인 실험값을 낸 뒤 외국과 실험값을 비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역학표준센터 연구팀은 키블 저울을 설계할 때 ... ...
- Part 2. 산업계 지켜줄 첨단 파수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적용이 활발히 검토되고 있다. 미국 국방부 산하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은 2011년부터 지속적으로 동형암호 기술 연구개발을 지원해 성과를 거뒀다. 군 통신, 속도 느리지만 적용 가능DARPA의 지원으로 개발된 기술 중 하나는 통신 보안 기술이다. 쿠르트 롤로프 미국 뉴저지공대 컴퓨터과학과 ... ...
- [인터뷰] GIST 대학장 고도경_ “서류전형 70% 반영, 고교 생활 성실해야 유리”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뿐 일반전형과 학교장추천전형, 고른기회전형의 전형 방법은 동일하다. 전형 방식도 작년과 유사하게 진행될 계획이다. 다만 자기소개서 증빙 자료는 받지 않을 방침이다. 고 대학장은 “학교장추천전형은 과학고나 영재학교 학생은 지원할 수 없다”며 “그만큼 일반고 학생들을 배려하기 ... ...
- [서울대 공대] 창의공학 인재가 모인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있게 대응하면서 최선을 다한 게 좋은 결과로 이어진 것 같다”고 말했다. 이 씨는 작년 1년간 기계공학전공에서 공부하고 동아리 활동 등을 하면서 기계공학전공의 진로가 매우 다양하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그는 “기계공학은 많은 공학 분야의 기초가 될 뿐 아니라 의학 등 다양한 분야와 연계돼 ... ...
- Part 3. 냠냠~ 미세먼지 잡아먹는 건물이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때문에 이에 맞춰서 식물이 배치되었지요. 이 건물은 미세먼지를 잡을 뿐만 아니라 매년 1만 9000kg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1만 8980kg의 산소를 만들 수 있답니다. 스테파노 보에리는 앞으로 중국 난징 지역에도 버티컬 포레스트를 지을 계획이지요. 건물 벽이 미세먼지를 분해한다?!2015년 이탈리아 ... ...
- Part 3. 소똥구리를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애기뿔소똥구리가 먹을 수 있는 똥을 생산하고 있답니다. 이강운 소장은 “소 한 마리가 1년에 2.5t의 똥을 싸기 때문에 애기뿔소똥구리의 먹이로 충분하다”고 말했어요. 하지만 이렇게 소똥구리의 수를 늘리더라도 야생에 내보낼 만한 곳이 아직 없어요. 김태우 연구사는 “충청남도 태안에 있는 ... ...
이전5985996006016026036046056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