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그 소원, ‘가상현실’이 이뤄 드립니다!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보여주는 HMD는 1900년대 중반에 처음 등장했지만, 요즘과 비슷한 기능을 갖춘 건 2000년이 지나서예요. 사실 HMD로 보는 가상세계는 모니터로 보는 컴퓨터 게임 속 가상세계와 비슷합니다. 다른 점이 있다면 컴퓨터 게임은 마우스로 시선을 움직이고, HMD는 직접 고개를 돌려 시선을 움직인다는 겁니다. ... ...
- [필즈상 미리보기] 휴고 듀밀-코핀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분야의 떠오르는 샛별은 2010년 필즈상을 받은 스타니슬라프 스미르노프 교수의 제자 휴고 듀밀-코핀 교수입니다. 박사 과정 때인 2012년 가장 권위 있는 학술지인 ‘수학연보’에 연구를 발표하며 수학계에 눈도장을 확실히 찍었습니다. 이 연구는 지금까지도 대단한 업적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
- FIFA 세계 랭킹에 숨은 모든 것!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제외하면 순위를 매길 마땅한 기준도 없으니까요. 무조건 많이 이기면 강팀?1993년 FIFA는 각 나라의 축구 실력이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있는 FIFA 세계 랭킹을 매달 발표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점수 계산 방식이 너무 단순했습니다. 국가 간의 실력 차이나 대회의 경중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 ...
- [수학공작실] 종이로 끼워 만드는 육팔면체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컴퓨터 수학 프로그램에 관심이 많아서 GSP5와 Cabri3D의 한글화 팀장으로 활동했으며, 2012년부터 수석교사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요즘은 컷팅프린터를 이용해 체험수학교구를 개발하는 디자이너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다면체 면을 여러 삼각형으로 나눌 수 있다. 삼각형으로 만든 입체 구조는 ... ...
- [에디터 노트] 왕관의 무게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이소연 씨가 한국 첫 우주인으로 선발돼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다녀온 지 올해로 10년이 됐다. 러시아 연방우주청은 소유스호를 타고 ISS 임무를 수행하는 우주인들을 공개하는 홈페이지(www.astronaut.ru)에 이씨를 ‘우주 비행 참여자(Space Flight Participant)’로 규정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우주 ... ...
- [이달의 사물] 슬라임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슬라임을 손에 쥔 채 잠들었다가 손바닥에 화상을 입기도 했습니다. 권오균 소아 청소년과 전문의는 “붕사 같은 강알칼리성 물질을 오랫동안 만지면 피부에 화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에, 성인에 비해 피부가 얇고 약한 어린이들은 더욱 조심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덕환 서강대 화학과 ... ...
- [과학뉴스] 데나토늄 벤조에이트의 실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가장 쓴 화학물질로 기네스북에도 등재됐다. 특별한 색이나 냄새는 없다. 이 물질은 1958년 영국의 제약회사인 맥팔렌 스미스가 국소마취제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우연히 발견했다. 데나토늄 벤조에이트의 농도가 0.05ppm(1kg에 0.05mg 들어있는 수준)만 돼도 쓴맛을 감지했다. 사람이 보유한 쓴맛 수용체 2 ... ...
- [과학동아 X DBR] BTS는 밀레니얼 세대의 새로운 경영 교과서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양상이 다방면에서 표출되고 있다. 그래서인지 BTS의 성공에 더욱 눈이 간다. 불과 4∼5년의 단기간에 폭발적인 글로벌 팬덤을 만들어 낸 BTS의 성공은 말 그대로 전례를 찾기 힘들다. 더구나 언어와 문화라는 넘기 힘든 장벽이 존재하는 엔터테인먼트 업계에서 이룬 결과라서 더욱 놀라운 성과다. ... ...
- [Origin] 외계행성 찾으러 가즈아~ 케플러 대신할 테스 발사과학동아 l2018년 05호
- “3, 2, 1, 발사! 굿럭(Good luck)!”4월 18일 오후 6시 51분(현지시각), 미국 플로리다 주 케이프커내버럴 공군기지에서 엄청난 굉음과 함께 민간 우주업체 스 ... 위해서”라며 “KMTNet은 올해 10개 정도의 외계행성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2020년까지 계속 탐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
- [Tech] 요즘 뜨는 나노 기술 3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양자점 태양전지는 아직 연구 초기단계이지만 학계에서는 몇 년 안에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를 뛰어넘을 것으로 전망 한다. 김 선임연구원은 “실리콘으로 만든 태양전지는 두껍 고 단단할 뿐만 아니라 공정이 까다로워 비용이 많이 든다”며 “양자점 태양전지는 광흡수 ... ...
이전6016026036046056066076086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