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명칭
성명
호칭
고유명
직함
명성
네임
d라이브러리
"
이름
"(으)로 총 7,404건 검색되었습니다.
당신의 생명을 구해주는 튜닝의 법칙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슬지 않는다는 이유로 비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스테인리스 제품을 구입하기도 한다.
이름
대로 스테인리스는 녹이 슬지 않지만 배기관에 사용될 경우 사정은 달라진다. 스테인리스는 0℃에서 80℃까지 온도 변화가 자주 반복되는 상황에서 쉽게 산화되기 때문이다. 엄밀하게 테스트를 거치지 않은 ... ...
캠프촌에서 열리는 해커회의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한다.모임의 준비위원회는 캠프에 참가하는 모든 이들의 컴퓨터를 ‘인터텐트’ 라는
이름
의 네트워크로 연결시키고, 이를 다시 인터넷과 접속시킬 계획. 여기에 뉴욕에서 회합을 갖는 또다른 해커 단체인 ‘희망을 넘어’와 공동으로 회의를 연다는 것이다. 현재 두 모임은 회의에 참여할 연설자와 ... ...
세계최대크기의 한외룡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판룡, 사우로포다는 용각룡, 프테로사우리아는 익룡, 오비랍토르는 알도적룡 등 1백4개의
이름
들이다.의성에서 처음 발견한 이후 현재까지 공룡골격화석이 산출된 곳은 8개소로 알려졌다. 북한의 경우 평북에서 공룡골격화석이 80년대에 발굴됐다고 한다(북한 지질조사소 소장). 골격화석으로부터 ... ...
3. 아무리 복잡해도 한눈으로 승부한다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쉽다아이콘은 쉽게 기억될 수 있고 인지될 수 있다. 우리는 간혹 “얼굴은 눈에 선한데,
이름
은 입에서 뱅뱅 돈다”라는 말을 하곤 한다. 이것은 사람이 어떤 것을 기억할 때 시각적 정보는 그 정보가 가지고 있는 형태의 특성으로 인해 그 내용을 일일이 외워야하는 문자적 정보보다 훨씬 쉽고 오래 ... ...
우주원숭이 귀환 4일만에 숨져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수행하고 돌아온 원숭이가 지구로 돌아온지 4일만에 죽었다. 용감무쌍했던 원숭이의
이름
은 머트릭(Mutlik). 바이온을 타고갔던 원숭이 두 마리 중 한 마리다. 머트릭의 여행은 무중력상태에서 받는 생리학적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러시아, 프랑스, 미국에서 자금지원을 받았다. 머트릭의 사인은 ... ...
히틀러 벙커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만들어졌다 퍼그워시란
이름
은 첫 모임이 열린 캐나다 노바스코샤주의 작은 마을
이름
에서 따온 것이다이그 노벨상은 '다시 할 수도 없고 해서도 안될' 기발한 연구나 업적을 수상하는 상이다 노벨상 시상식이 이뤄지는 10월에 시상된다 과학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미국 과학기술계의 ... ...
과학계의 팔방미인 '옐로우칼'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그래서 과학도 하고 돈도 벌겠다고 다짐했다고.세이건과 동시대에 대중과학자로 널리
이름
이 났던 사람으로 아이작 아시모프와 로버트 자스트로우가 있었다. 아시모프는 4백권에 이르는 과학서를 써서 이 분야의 세계기록을 세웠다. 또 자스트로우는 NASA 출신으로 스타워스를 강력하게 추진했으며 ... ...
어항 속에 사는 살아있는 화석, 트리옵스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에 속하는 무갑류(Anostraca)다. 새우와 닮은 정교하고 우아한 모습 때문에 풍년새우라는
이름
도 갖고 있다.시중에서 판매하는 것은 건조시킨 알인데 물에 넣고 따뜻하게 해주면 부화한다. 트리옵스는 1개월 정도 지나면 알을 낳을 수 있다. 수명은 30-50일. 많이 커야 5cm를 넘지 않는다. 한 번 구입한 뒤 ... ...
사이버 봉이 김선달 대권주자
이름
싹슬이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앞서나갈 수 있는 지름길이다.새로운 흐름에 뒤쳐져 사이버공간에서 써야 할 자신의
이름
마저도 빼앗기고 있는 것이 우리 기업들의 현주소이지만 낙담만하고 있을 수 없다. 신대륙의 매력은 아직도 개척해야 할 광활한 영역이 남아 있다는데 있다.이제부터라도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세상에 관심을 ... ...
진시황무덤에서 히틀러 벙커까지 미로의 세계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건축 구조가 있었으리라는 추측이 많이 제기돼 왔다. 움베르토 에코의 소설 ‘장미의
이름
으로’에서는 14세기 북부 이탈리아의 한 수도원에서 벌어지는 미로 찾기가 등장한다(그림). 처음에 주인공은 세 탑루에만 방(A)이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건물 구조가 4각형임을 생각할 때 숨겨진 방이 하나 ... ...
이전
599
600
601
602
603
604
605
606
6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