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명칭
성명
호칭
고유명
직함
명성
네임
d라이브러리
"
이름
"(으)로 총 7,404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버 봉이 김선달 대권주자
이름
싹슬이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앞서나갈 수 있는 지름길이다.새로운 흐름에 뒤쳐져 사이버공간에서 써야 할 자신의
이름
마저도 빼앗기고 있는 것이 우리 기업들의 현주소이지만 낙담만하고 있을 수 없다. 신대륙의 매력은 아직도 개척해야 할 광활한 영역이 남아 있다는데 있다.이제부터라도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세상에 관심을 ... ...
개그맨 전유성 여전히 초보인 인터넷 도사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아는 사람에 비해 모르는 사람은 언젠가 뒤쳐질 수 있기 때문이다.(사족 : 이 난의
이름
값을 위해 북마크를 보여달라는 주문에 전유성씨는 "모두 공개할 수 없는, 그런 사이트들이어서 곤란하다"고 밝혔다. 정히 그의 북마크가 궁금한 독자는 chicul@nuri.net으로 E메일을 보내 요청해보시길.) ... ...
진시황무덤에서 히틀러 벙커까지 미로의 세계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건축 구조가 있었으리라는 추측이 많이 제기돼 왔다. 움베르토 에코의 소설 ‘장미의
이름
으로’에서는 14세기 북부 이탈리아의 한 수도원에서 벌어지는 미로 찾기가 등장한다(그림). 처음에 주인공은 세 탑루에만 방(A)이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건물 구조가 4각형임을 생각할 때 숨겨진 방이 하나 ... ...
Ⅲ. 전자발견드라마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1876년 브레슬라우대학에 있던 오이겐 골드슈타인은 밝은 광선(빛살)에 ‘음극선’이란
이름
을 붙였다. 그는 후에 양성자를 처음으로 발견했다.고진공 방전관인 크룩스관을 발명한 영국의 윌리엄 크룩스는 1879년 전기분해현상과 유사하게 음극선이 이온화된 분자흐름이라고 했다. 이를 시작으로 ... ...
인터넷 최대동물원 주넷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보면서 동물에 대해 배울 수 있는 사이트들이 모여있다. 특히 'ZOO SPELL'에서는 각 동물의
이름
을 입력하면 학명과 사진을 함께 보여주는 학습코너가 운영되고 있다 ... ...
과학계의 팔방미인 '옐로우칼'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그래서 과학도 하고 돈도 벌겠다고 다짐했다고.세이건과 동시대에 대중과학자로 널리
이름
이 났던 사람으로 아이작 아시모프와 로버트 자스트로우가 있었다. 아시모프는 4백권에 이르는 과학서를 써서 이 분야의 세계기록을 세웠다. 또 자스트로우는 NASA 출신으로 스타워스를 강력하게 추진했으며 ... ...
공룡알 판매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시작했다 1939년 일본은 PVA의 섬유화에 성공, 공업화를 추진해 1950년 비닐론(Vinylon)이란
이름
으로 상품화했다 제조법은 석유에서 합성한 아세트산비닐(VAM)을 중합해 폴리아세트산비닐(PVAc)을 만든다 이것을 메탄올에 녹이고, 소량의 가성소다를 가해 가열하면 비닐론이 생긴다 PVAc는 무색투명하고 ... ...
4. 로봇과학자가 되는 길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것이다. 센토란 말(馬)의 몸뚱이에 사람의 상체가 붙은 형상을 한 그리스 신화의 괴물
이름
. 신화에서의 모습처럼 휴먼로봇은 손을 장착한 2대의 팔과 4각 보행기능을 갖출 예정이다.이 프로젝트는 이전까지 우리나라에서 행해진 대부분의 연구가 생산용 로봇에 몰려 있던 것을 생산 활동 이외의 ... ...
전자코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때문이다.현재 영국의 ‘아로마 애널라이저’와 프랑스의 ‘인텔리전트 노즈’라는
이름
의 전자코가 상업적으로 판매되고 있는데, 가격은 약 4 천만원대다. 하지만 이런 기기들 역시 우리가 꿈꾸고 있는 완전한 전자코와는 거리가 있다.전자코가 일상화되려면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가스 반응 ... ...
재활용 개인 우주선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해석하는 능력'이다 미국 남북전쟁 때 지질학자 덴튼 박사가 누이의 능력을 보고 처음
이름
을 지었다 그의 누이는 지질학적 견본(광석 돌멩이 화석류 등)을 이마에 대는 것만으로 그 견본에 관련된 역사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었다 덴튼 박사는 이 내용을 '사물의 혼'(The Soul of Things)이라는 책으로 ... ...
이전
600
601
602
603
604
605
606
607
6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