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간
경우
타임
시각
더러움
얼룩
오물
스페셜
"
때
"(으)로 총 6,123건 검색되었습니다.
러시아 유성체 폭발 위력이 히로시마 원폭의 30배?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수 있다는 것이다. 아무튼 필자는 이 책에서 퉁구스카 사건에 대한 묘사 부분을 번역할
때
‘과연 어떤 모습이었을까?’ 궁금했는데 이번 러시아 유성체 폭발 현장을 영상으로 보면서 ‘그래 저거였구나!’ 하며 무릎을 쳤다. 끝으로 퉁구스카 사건을 묘사한 부분 일부를 옮겨놓았다. “1908년 6월 30일 ... ...
E=mc² 아인슈타인만의 것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1911년 독일의 물리학자 막스 폰 라우에가 성공했다.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이 터졌을
때
마흔 살이었던 하젠욀은 징집대상이 아니었지만 자원입대를 했다. 그리고 전투에서 부상을 입었지만 치료를 받고 회복된 뒤 다시 전장에 뛰어들었고 1915년 10월 7일 전사했다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과학적 감각을 유지할 수 있고 열린 마음과 호기심을 지닐 수 있답니다. 생물학을 공부할
때
는 역사적인 배경부터 시작하세요. 현재 트렌드의 바탕을 이해해야 그 한계도 알 수 있으니까요 ... ...
DNA 정보 저장 왜 3진수로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진수 체계로 부적절한 이유는 같은 염기가 연달아 있으면 해독할
때
오류가 나올 수 있기
때
문이다. 앞의 ‘2013’을 나타내는 ‘CTTCTC’의 경우 ‘TT’가 여기에 해당한다. 물론 오류 가능성은 수천~수만 염기당 하나 꼴로 낮지만 정보 저장 매체로서는 불합격이다. 그래서 고안해 낸 게 3진수 체계다. ... ...
장내미생물 관리 잘 해야 남성호르몬 이상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수도 있기
때
문이다. 참고로 사람은 쥐와 달리 1형 당뇨병은 대부분 사춘기 이전에 오기
때
문에(그래서 소아당뇨병이라고 부른다) 발병률에 남녀차이가 없다. ‘네이처’ 1월 3일자에는 2013년에 결정적인 연구결과가 나올 분야들을 예측한 기사가 실렸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장내미생물상에 대한 ... ...
독감 걸리는 사람 완전히 사라지는 날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방법인데 현실성이 없다. 치료제로 쓸 정도로 항체를 생산하려면 비용을 감당할 수 없기
때
문이다. 따라서 이런 항체의 역할을 대신 할 수 있는 약물을 만드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미국 워싱턴대 디이비드 베이커 교수팀은 지난 2011년 ‘사이언스’에 발표한 논문에서 헤마글루티닌의 ... ...
온실가스 배출 줄일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것. 그리고 교토의정서의 주축인 서유럽 국가들 역시 장기적인 불황에 시달렸기
때
문에 어차피 온실가스를 배출할 성장동력이 부족했다. 물론 노르웨이처럼 재생에너지 비율을 극적으로 높여(주로 수력발전으로 전체 에너지의 65%를 차지) 목표는 유지 수준(1%)이었지만 실적은 절반으로 줄인 나라도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꼽아달라는 질문에 “제자들이 독립해 나가서 그들이 뛰어든 분야를 이끄는 모습을 봤을
때
”라고 대답했다고 한다. 그와 51년을 함께 한 아내는 2009년 먼저 세상을 떠났는데 샛킨은 마지막 날까지 매일 아내의 무덤을 찾아 침묵 속에 잠시 머물렀다고 한다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②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많았는데 그가 물리적 방법으로 해석한 게놈의 구조는 훗날 게놈해독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기본 골격이 됐다. 앞에서 소개한 2002년 논문도 게놈 구조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비교의 위험성을 지적한 것이다. 즉 유전자의 염기서열만 고려해서는 안 된다는 것. 최근 인간 게놈 전체의 ... ...
2012년 하늘나라로 간 과학계의 별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세이어는 결정학 연구도 병행했는데 1972~73년 안식년을 호지킨의 실험실에서 보냈다. 이
때
아내 앤은 비운의 결정학자 로절린드 프랭클린의 전기 ‘Rosalind Franklin and DNA’를 집필했다(1975년 출간). 1970년대 세이어는 X선 현미경으로 관심을 돌렸고 IBM의 나노기술을 이용해 연구를 진행했다. 그러나 199 ... ...
이전
599
600
601
602
603
604
605
606
6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