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뉴스
"
교수
"(으)로 총 22,497건 검색되었습니다.
내과·소아과 우울증 처방 자유로워졌는데…"의사들도 잘 몰라"
동아사이언스
l
2023.01.05
증인으로 참석해 SSRI 처방제한에 문제를 제기했던 홍승봉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교수
는 “의사들에게도 잘 알려지지 않아 환자에 대한 치료가 확대되지 않고 있다”면서 “정부와 유관단체가 다양한 채널을 통해 적극적인 홍보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비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들의 우울증 ... ...
은하 사이 '떠돌이별' 기원 종지부..."암흑물질 추적자"
동아사이언스
l
2023.01.05
암흑물질 탐사에 있어 ‘보이는 추적자’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지
교수
는 지난 2007년 중력렌즈 현상을 이용해 암흑물질의 존재를 입증하는 증거를 찾았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당시 암흑물질 연구 사상 가장 확실한 증거로 평가됐다 ... ...
건강한 삶 위협하는 '빛공해' 영향 연구 본격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3.01.05
등이 있다. 국내 국립공원 역시 빛공해의 영향을 받고 있다. 성찬용 한밭대 도시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지난해 4월 국제학술지 ‘자연보존저널’에 "국내 22개 국립공원에 빛공해에 시달리고 있다”며 “생물다양성 보호를 위해선 국립공원 주변 조명관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 ...
현대 과학 논문 '파괴적 혁신' 줄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05
조사해 새로운 시각을 제공했다"고 평가했다. 다만 다슌 왕 미국 노스웨스턴대
교수
는 파괴성이 무조건 좋고, 기존의 연구를 잇는 점진적인 연구가 나쁜 것은 아니라고 강조한다. 예를 들어 2015년 미국 레이저 간섭계 중력파 관측소(LIGO)가 중력파를 최초로 관측한 것은 혁신적인 연구 성과로 ... ...
[과기원은 지금]UNIST, 왜곡된 영상 선명하게 복원하는 방법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1.05
'레이저 앤 포토닉스 리뷰'에 1일 공개됐다. ■KAIST는 이상엽 생명화학공학과 특훈
교수
가 한국생물공학회 제30대 회장에 취임했다고 4일 밝혔다. 이 회장은 "전 세계적인 기술패권 전쟁 속에서 우리나라 차세대 주력산업이 돼야 할 생물공학 분야에서 세계를 선도하는 생물공학 기술개발과 ... ...
몇 초 만에 자궁암 진단하는 첨단 수술용 칼 'i나이프'
동아사이언스
l
2023.01.04
널리 사용할 수 있도록 앞으로 대규모 임상시험을 실시할 계획이다. 가엠마가니
교수
는 "연구결과를 활용하면 현재 사용되는 조직병리학적 진단에서 여성들이 기다리는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이라며 "연구 결과가 새로운 진단경로를 마련하는 토대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연구를 ... ...
습관적 SNS 확인하는 청소년, 타인 반응 더 의식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04
이렇게 발달한 뇌가 성인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연구 대상이다. 텔저
교수
는 “잦은 SNS 확인 습관은 성인기까지 뇌 발달 과정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며 “장기적인 관찰을 통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 ...
주변 환경 따라 성장방향 바꾸는 인공물질 시스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04
환경을 탐사하는 로봇으로 활용될 수 있을 전망이다. 서울대는 김호영 기계공학부
교수
가 주도한 공동 연구팀이 버섯의 성장을 모사하는 인공 물질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인 '미국국립과학원회보'에 3일 게재됐다. 많은 생물들은 성장하면서 외부의 자극을 ... ...
“간헐적 단식, 신체 유전자 발현에 영향 준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04
영향을 규명하는 기초 데이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사치다난다 판다 미국 소크연구소
교수
연구팀은 관련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셀 메타볼리즘’에 3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연구팀은 쥐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두 그룹으로 나눠 동일한 칼로리의 식단을 먹였다. 다만 식사 시간을 ... ...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반도체 소재 고성능화 이뤄낸 김윤석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3.01.04
산소결함 밀도와 연관된 결정구조 변화에서 기인한다는 원리도 규명했다. 김윤석
교수
는 “이번 연구는 하프늄옥사이드의 강유전성 발현 원인을 밝혀 강유전체의 고성능화를 구현한 데 의의가 있다”며 “강유전성을 활용한 고효율 반도체 소자의 실용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 ...
이전
602
603
604
605
606
607
608
609
6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