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뉴스
"
교수
"(으)로 총 22,497건 검색되었습니다.
항암제 안듣는 췌장암 치료 실마리...세계 최초로 6개 종류로 분류
동아사이언스
l
2023.01.02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를 주도한 이상원 센터장과 장진영 서울대병원
교수
는 “세계적으로 가장 치사율이 높은 췌장암에서 기존 치료가 듣지 않은 여러 가지 이유를 광범위한 유전단백체 분석을 통해 밝혔다”며 “향후 췌장암 환자에 효과도 없는 무의미한 치료를 하지 않고 ... ...
"부모 난시면 자녀도 난시 위험↑"
연합뉴스
l
2023.01.02
한 점에서 만나지 못해 흐리게 보인다. 홍콩 중문(中文) 대학 안과 병원의 캄카와이
교수
연구팀이 '홍콩 아동 안 연구'에 참가한 아이들 5천708명(남아 2천964명, 여아 2천754명)과 그들의 부모 1만1천416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31일 보도했다. ... ...
적게 먹어도 살찌는 이유...새로운 유전자·미생물 속속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3.01.02
비만 체질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 결과도 나오고 있다. 마쓰무라 시게노부 일본 오사카대
교수
연구팀은 ‘CREB-조절 전사 촉진제1’(CRTC1)이라는 이름의 유전자가 지방과 기름에 대한 식욕을 억제한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미국실험생물학회지’에 지난달 9일 발표했다. CRTC1은 포만감에 ... ...
2023년 계묘년 새해둥이 3명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23.01.01
건강하게 잘 자라기만을 바란다”고 말했다. 김의혁 일산차병원 산부인과
교수
는 “산모와 아기가 모두 건강하게 출산할 수 있어 기쁘다” 며 “첫 아기의 탄생과 함께 출산의 기쁨과 생명의 소중함을 새해 첫 날 다시 한번 상기하는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
[인터뷰] "기후위기 앞에서 당신은 슬기로운가요"
과학동아
l
2022.12.31
사회를 더 발전시키기 어렵게 만든다는 사실을 짚고 있다. 마샬 버크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
팀이 2015년 발표한 논문은 이를 뒷받침 한다. 버크 연구팀은 경제 활동이 기후와 밀접하게 연결돼 온난화가 세계 소득 불평등을 확대할 것이라고 보고했다. 때문에 가프니는 “기술 이전이 더 빨리 ... ...
생쥐에 이식한 인간 뇌, 외부 자극에 반응 순간 포착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30
를 쥐에 이식하고 반응을 관찰한 사례는 있다. 세르지우 파스카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
연구팀은 10월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한 논문을 통해 쥐에게 이식된 뇌 오가노이드가 쥐의 수염을 건드렸을 때 반응을 일으켰다고 밝혔다. 쥐의 뇌 조직과 잘 연결됐다는 증거였다. 하지만 이식된 뇌 ... ...
"고리 2호기 안정성 입증돼...면허 갱신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2.12.30
대변인, 윤정미 원자력국민연대부울경 지부장이 참석하는 토론도 진행됐다. 정
교수
는 이 토론에서 “고리2호기 가동으로 LNG 가스발전을 대체한다면, 1년에 약 1조원의 전력 구매비용 절감효과가 발생한다”고 주장했다. 박상덕 수석연구위원 역시 “고리2호기 계속운전은 추후 진행될 고리 3‧ ... ...
[일상 속 뇌과학] 운동이 어떻게 뇌기능을 좋게 할까
2022.12.30
연구그룹에서 근무 중이며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인지과학전공 겸임
교수
다. 현재 생쥐 모델을 활용해 학습과 기억을 조절하는 세포간 상호작용의 분자 기전을 연구하고 있으며, 뇌 속 기억 형성 및 변화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일반인들에게 소개하는 저술 작업도 같이하고 있다 ... ...
[특별기고] '허준이 필즈상' 못다전한 이야기
2022.12.30
1995년 미국 캘리포니아대 버클리에서 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고등과학원과 POSTECH에서
교수
로 일했으며, 2014년 서울 세계수학자대회 조직위원장으로 활동했다. 2015년부터 2018년까지는 국제수학연맹 집행위원을 지냈다. 2015년부터 2017년까지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소장을 역임했으며, 2018년부터 202 ... ...
미역·갯벌의 재발견...의외의 탄소 흡수원 부상
동아사이언스
l
2022.12.30
결론을 내렸다. 연구팀 분석에 따르면 갯벌엔 이미 약 1300만t의 탄소가 저장돼 있다. 김
교수
는 “갯벌에 주목해야 한다”며 “새로운 탄소 흡수원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바닷속 플랑크톤이 기후변화 피해를 막는 방어막이란 연구도 최근 나왔다. 악셀 팀머만 기초과학연구원(IBS) ... ...
이전
604
605
606
607
608
609
610
611
6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