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존
실재
실존
현존
본질
생계
삶
d라이브러리
"
존재
"(으)로 총 7,03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실험위성 「우리별1호」발사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지상으로 보내는 것이므로 그다지 큰 의미는 없으나 일반 국민들이 우리나라 인공위성의
존재
를 인식하는데는 나름대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EXPO 기간 중에도 이러한 시스템을 활용한 코너를 개설 '당신도 인공위성과 통화를'이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내건다면 국민들이 과학기술을 ... ...
별은 어떻게 탄생하나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틀린 말은 아닐 것이다. BB가 CC를 이기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던 것이 바로 이 우주에
존재
하는 헬륨의 양인 것이다.1964년 미국의 펜지아스(Penzias)와 윌슨(Wilson)이 우연히 '우주배경복사'를 발견한 것도 BB가 CC를 제압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여기서 우주배경복사란 태초의 뜨거운 우주 속에 ... ...
밝은 성단(星團)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생각하지는 않았다.다른 은하계도 마찬가지이겠으나 우리의 은하수엔 별들 상호간에
존재
하는 인력의 영향때문에 떼지어있는 별의 무리들이 수천개 있다. 작고 보다 평범한 무리들은 '개방형'이라고 불린다. 우리 은하수엔 이 개방형 무리들이 1천개 가량 있다. 이 별의 무리내엔 작게는 1 ... ...
1 우리 은하 태양도 초속 220㎞로 은하중심을 돈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수소분자이나, 일산화탄소 물 암모니아 및 알코올을 비롯한 약 1백여종의 분자가
존재
하고 있는 것도 알려져 있다.성간물질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는 1950년대 이후 전파천문학의 발달과 더불어 시작되었다. 전파천문학은 우주로부터 오는 전파를 TV방송국에서 볼 수 있는 접시모양의 안테나와 비슷한 ... ...
한국신경과학학회 초대회장 박찬웅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인간의 정체성(identity)을 무엇이라고 규정할 것인가에 잇닿아 있습니다. 과연 인간이란
존재
는 무엇인가. 우리가 마음이라고 부르는 것의 실체는 무엇이며 기억하고 느끼고 분석하는 고차원적인 활동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 것인가. 바로 이런 일들을 생물학적으로 해명한다면 그것은 인간 자신이 ... ...
2 외부은하 나선팔은 별탄생의 요람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구성돼 있다. 이들의 크기는 그 지름이 3백만광년 이상이며 수억광년까지의 큰 것도
존재
한다.우리은하에 가장 가까이 있는 외부은하는 만기형나선은하인 대마젤란성운(LMC)으로 우리로부터 약 15만광년의 거리에 있으며 안드로메다은하(M31)는 2백10만광년의 거리에 있다. 우리은하를 포함하여 이들 ... ...
바다는 이산화탄소의 거대한 저장탱크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그러나 만약에 여유분을 다 사용하고 나면 어떻게 될 것인가.아마 지구는 생명체가
존재
할 수 있는 우주의 오아시스 푸른 행성이 아니라 금성처럼 이산화탄소층으로 뒤덮여 수백도가 넘는 지옥으로 변할 것이다. 당장 대기에 잔류하는 이산화탄소 때문에 어쩔줄 몰라하는 마당에 몇천년 후를 ... ...
한반도의 철기시대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나의 조상은 원래 대장장이…"라는 표현이 나와 기원전에 이미 철을 다루는 기술이
존재
했음을 간접적으로 증명하고 있다.우리 조상들이 어떻게 철을 활용했는지를 알아보는 현실적인 방법은 삼한시대부터 철광 산지로 알려졌으며 지금까지도 철광석을 생산해내고 있는 경남 울주군 농소면 ... ...
1 제철용 코크스에서 우주정거장까지 날로 확대되는 탄소의 영역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전기제강법과 같은 원리를 이용하고 있다. 알루미늄 제조에 있어서도 탄소의
존재
가 필수적임을 알 수 있다.인류의 진보중에서도 가장 위대한 진보중의 하나로 원자력의 이용기술 개발을 들 수 있다. 1942년 미국의 시카고대학에 최초로 원자로가 만들어진 이래, 인류의 생활을 이어나갈 원동력중의 ... ...
새로운 단백질 찾는 열쇠 cDNA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있는 기술의 개발이 선행돼야 새로운 것을 찾을 수 있다. 왜냐하면 추출하기 쉽도록 다량
존재
하는 단백질들은 거의 다 밝혀진 셈이기 때문이다.둘째는 기존의 단백질을 변형해서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거나 성능을 높이는 방법이다. 이를 단백질공학이라고 하는데, 지난 10여년 동안 많은 기대 속에 ... ...
이전
605
606
607
608
609
610
611
612
6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