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존
실재
실존
현존
본질
생계
삶
d라이브러리
"
존재
"(으)로 총 7,034건 검색되었습니다.
새로운 단백질 찾는 열쇠 cDNA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있는 기술의 개발이 선행돼야 새로운 것을 찾을 수 있다. 왜냐하면 추출하기 쉽도록 다량
존재
하는 단백질들은 거의 다 밝혀진 셈이기 때문이다.둘째는 기존의 단백질을 변형해서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거나 성능을 높이는 방법이다. 이를 단백질공학이라고 하는데, 지난 10여년 동안 많은 기대 속에 ... ...
3 그림으로 보는 우주구조 우주는 과연 끝이 없는가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1).여기에서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수억광년에 이르는 은하들의 거대구조가 우주에
존재
한다는 것이다. 어떻게, 누가 그 큰 구조물을 만들었을까? 이것 또한 현대 천문학자들에겐 커다란 미해결 문제로 남아 있다 ... ...
과학자 264명 UN 환경개발회의에 반기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의해서 관념화된 자연상태란 것은 인류가 시작된 이래 단 한번도 없었으며 앞으로도
존재
하지 않을 것이다. 인류가 항상 자연을 이용하면서 진보해왔으며 그 역이 아닌 한에서는.우리는 특히 인간이 스스로에게도 위험한 생활수단(예를 들어 이산화탄소나 CFC 등)을 취급하고 운용하는 것이 인류의 ... ...
지구의 질량은 어떻게 잴까?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자유낙하시키면 물체는 밑의 방향으로 점점 더 빨라지게 되는데 이는 바로 가속도가
존재
한다는 증거이다. 그 가속도를 바로 중력가속도라고 부르고 g로 나타낸다. g의 크기는 누구나 일상 경험을 통하여 잘 알고 있는데, 바로 그 가속도의 크기가 우리가 과학 시간에 말하는 g=980cm/${초}^{2}$다 ... ...
한국신경과학학회 초대회장 박찬웅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인간의 정체성(identity)을 무엇이라고 규정할 것인가에 잇닿아 있습니다. 과연 인간이란
존재
는 무엇인가. 우리가 마음이라고 부르는 것의 실체는 무엇이며 기억하고 느끼고 분석하는 고차원적인 활동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 것인가. 바로 이런 일들을 생물학적으로 해명한다면 그것은 인간 자신이 ... ...
4 은하 관측법 달 표면에 천문대를 세워라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별이 형성되어 성간물질이 거의 없다고 알려졌다. X-선 관측으로 찾아진 고온 가스의
존재
는 그 동안의 통상적 관점을 크게 바꾸어 놓았다. 이 고온 가스는 온도가 1천만℃ 정도로 태양표면 온도 6천℃나 오리온 대성운의 이온화된 영역의 1만℃에 비하면 훨씬 높은 온도이다. 고온 가스는 은하 외부로 ... ...
지구한랭화를 주도하는 대빙하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제4기 빙하중 극히 일부만을 해석할 수 있을 뿐이다.빙하기는 멀리 원생대 초기에도
존재
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어서 원생대 후기, 오르도비스기 후기, 석탄-페름기 등 오랜 지질시대를 통해 반복돼 왔다. 하지만 빙하의 원인규명은 아직 미해결인 채로 남아있다.현재를 간빙기로 ... ...
「제3의 물리학 혁명」혼돈이론의 실체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Feigenbaum)에 의해 전이점에서의 임계현상을 양적으로 특성화하는 보편적 상수들의
존재
가 알려진 것과 같이 혼돈에 이르는 경로의 보편성은 질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양적인 측면도 갖고 있다. 파이겐바움은 75년 어느 순간 규칙적 행동, 즉 주기성 사라지고 불규칙적인 행동(혼돈)이 나타나는 과정을 ... ...
머리좋은 생물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연구하는 것이 더 쉽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해서 타 생물계에 언급할만한 가치의 지능이
존재
하지 않는다고 생각할 필요는 없다. 가끔씩 연체동물도 뉴스를 만든다. 연체동물은 동물왕국의 흥미진진한 유형으로서 이미 오징어의 거대한 축색돌기를 이용해 많은 학자들이 신경전이를 연구하고 있다 ... ...
'극초미니' 탐침현미경 STM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양자물리학자들은 추측한다. 마찬가지로 에너지벽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전자가
존재
한다면 거기에도 터널이 있을 것이라는 가정 아래에서 STM은 출발한다. STM의 T, 즉 터널링(tunneling)도 바로 이 에너지벽의 터널을 통해 전자가 이동함을 뜻한다.만약 모든 것이 정상이라면 전자는 에너지벽을 ... ...
이전
606
607
608
609
610
611
612
613
6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