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념"(으)로 총 3,952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금도끼는 사양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말이에요. 전 이런 금도끼는 필요 없으니 제발 제 쇠도끼를 찾아 주세요!” ●통합과학 개념 이해하기 - 눈에 보이지 않는 자석의 힘 자석, 지구, 전류가 흐르는 전선. 얼핏 보면 연관이 없어 보이지만, 사실 이 세 가지는 공통점이 있어요. 바로 ‘자기’를 지니고 있다는 거예요.‘자기’는 ... ...
- [통합과학 교과서] 독약의 정체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깨달은 표정이었어요.“양치기 소년의 이가 아픈 이유를 알았습니다.” # 통합과학 개념 이해하기콜라, 사이다가 실제로 치아 녹인다 ‘콜라 먹으면 이빨 썩는다’는 어른들의 말씀이 과학적으로 증명됐어요. 카이스트 신소재공학과 홍승범 교수팀은 지난 7월 21일, 청량음료와 과일주스가 ... ...
- [통합과학 교과서] 콩나무 타고 별 보러 슝~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헷갈려!”잭은 시간이 가는 줄도 모르고 수많은 별을 보기 시작했어요. 통합과학 개념 이해하기 │ 별에도 등급이 있다! 우주에서 반짝이는 수많은 별은 그 밝기에 따라 등급이 매겨져 있어요. 등급의 숫자가 작을수록 밝은 별이지요. 이렇게 밝기로 별의 등급을 처음 매긴 사람은 고대 그리스 ... ...
- [통합과학 교과서] 과자보다 맛있는 복숭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으악~! 무서워!”“그레텔! 어서 도망치자! 얼른 내 손 잡아!” # 통합과학 개념 이해하기달콤한 복숭아는 어떻게 열릴까? 여름이 되면 맛있는 과일이 나무에 주렁주렁 열려요. 특히 7~8월이 되면 달콤한 과즙이 꽉 찬 복숭아를 볼 수 있지요. 그런데 이 탐스러운 복숭아는 어떻게 열리는 ... ...
- [통합과학 교과서] 웅녀, 사기꾼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흥! 용어만 붙이면 다 과학인 줄 아세요? DNA부터 아셔야겠군요!” # 통합과학 개념 이해하기DNA는 우리 몸을 어떻게 만들까? 키, 체질 등 부모의 특징이 자식에게 전해지는 현상을 ‘유전’이라고 해요. 또 유전 정보를 담은 가장 작은 단위의 물질을 ‘유전자’라고 하지요. 부모는 ... ...
- [통합과학 교과서] 저 우주의 별을 따다 주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별을 만드는 방법을 알려드릴 테니 만들 수 있을지 잘 생각해 보셔요!” #. 통합과학 개념 이해하기 별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우리은하에는 약 1천억 개의 별이 있어요. 이 별들은 평균 4광년씩 떨어져 있지요. 별과 별 사이의 공간은 대부분 텅 비어있지만, 소량의 먼지와 수소, 헬륨 같은 기체 ... ...
- [매스크래프트] 크리스마스 트리에서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이 떠오른다!수학동아 l2020년 12호
- 라이프니츠는 이런 구조를 ‘분수 지수’라고 불렀어요. 이후에도 프랙털과 같은 개념을 언급한 수학자가 있었지만 제각각 다른 이름으로 불렀어요. 그러던 1967년 브누아 망델브로가 영국 해안의 길이를 계산하는 논문에서 ‘프랙털’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면서 이런 구조를 지칭하는 용어가 ... ...
- [과동 키즈] 과학과 소설 두 세계를 가로지르는 일 '김초엽 SF작가'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관심을 갖게 된 건 어느 날 화학 시간에 주기율표를 배운 이후였다. 원소와 원자, 분자의 개념을 배우고 원자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해 물질을 구성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을 때 갑자기 세계가 곧 ‘물질’이라는 감각이 확 다가왔다. 동일한 부품으로 조립된 분자들이 그렇게 무한한 다양성을 ... ...
- 알아두면 쓸모 있는~ 수학동아 알차게 보는 꿀팁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살짝 엿볼까요? Q 문제를 풀 아이디어는 어떻게 얻나요?_임채진 멘토먼저 지금까지 배운 개념을 떠올리며 어떻게 풀지 고민합니다. 여러 방법을 시도하면 풀릴 때가 있죠. 그렇게 해도 풀리면 않으면 답을 아는 사람에게 조언을 받거나 답을 보고 그 내용을 이해합니다. 이렇게 이해한 내용은 다른 ... ...
- [기획] 이런 기사가 있었지! 다시 보는 수학동아수학동아 l2020년 12호
- 다음으로 자주 등장한 수학자는 오일러입니다. 뭔가 익숙하다고요? 맞습니다! 앞서 개념상을 수상한 그래프 이론과 연관이 있죠. 오일러는 1~2월호, 4~5월호에 걸쳐 소개됐으며 대부분 쾨니히스베르크 다리 문제와 함께 등장했습니다. 홍아름 기자의 오일러 프로젝트를 좋아하는 독자라면 오일러가 ... ...
이전5657585960616263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