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d라이브러리
"
뇌
"(으)로 총 3,230건 검색되었습니다.
[Origin] 불붙은 신경세포 생성 논란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분석했는지에 따라 결과에 대한 해석이 달라진 셈”이라며 “두 연구 모두 얇게 자른
뇌
조직에 항체 마커를 이용해 간접적으로 관찰한 만큼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 ...
[Culture] 우리 개가 꼬리를 물어뜯으며 빙빙 돌아요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강박장애가 나타난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즉 강박장애는 ‘마음의 병’이 아니라 ‘
뇌
의 병’이고, 단순히 스트레스 탓만을 할 수가 없는 병이라는 얘기입니다. 강박장애 치료도 이런 시각에서 접근해야 합니다. 개가 반복적으로 꼬리잡기 선회행동을 할 때 꼬리만 자르면 문제가 해결될까요? ... ...
[과학뉴스] 별세포 활성 떨어지면 운동 능력은 향상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약 40% 감소했다. 책임연구원은 “소
뇌
기능 이상이나
뇌
세포의 흥분과 억제로 발생하는
뇌
질환 등의 치료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doi:10.1073/pnas.172118711 ... ...
[Career] 파킨슨병 치료의 ‘골든타임’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과거 60세에 불과하던 평균 수명이 81세까지 늘어났다”며 “20세 무렵에 성장을 마치는
뇌
를 유지·보수하며 사용해야 하는 기간이 그만큼 늘어났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 ...
[과학뉴스] 헬멧처럼 머리에 쓰는 웨어러블
뇌
자도 측정기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자유롭게 움직이는 상태에서
뇌
활동을 확인할 수 있는 웨어러블 장비가 개발됐다. 매튜 브룩스 영국 노팅엄대 물리천문학부 교수팀은 머 ... 사람들의
뇌
파 측정이 가능하다”며 “머리 움직임에 제약이 없는 만큼 다양한 상황에서
뇌
자도 측정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doi:10.1038/nature2614 ... ...
[과학뉴스] ‘치매 단백질’ 연결고리 최초 확인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뇌
속에 베타아밀로이드라는 단백질이 쌓이면서 신경세포가 손상되면 알츠하이머성 치매가 생길 수 있다는 사실은 이미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앓으면 신경세포 안에 ‘타우 단백질’이 쌓인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하지만 이 두 단백질 사이의 연결고리는 밝혀지지 않았다 ... ...
ASMR 효과, 직접 실험해 보니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기전은 안 밝혀져
뇌
파의 변화는 본인이 자각할 수 있다. KIST 연구팀은 ASMR 영상을 볼 때
뇌
파 변화가 본인이 평가하는 감정 변화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분석했다. 감정 변화는 영상을 보고난 뒤 흥분하는 정도를 스스로 1~9점으로 평가하게 했고, 이것을 알파파와 베타파의 비율과 비교했다. 알파파 ... ...
[Issue] 애증의 잠, 잘 자려면?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신경전달물질이 부족해서 생기는 병인데요, 더 정확하게는 하이포크레틴을 만드는
뇌
시상하부의 신경세포체가 정상인보다 현격히 부족합니다. 사실 기면증은 건강을 꾸준히 관리해 면역력을 높이고 일정한 시간에 충분히 자는 것 외에는 예방할 수 있는 특별한 방법이 없습니다. 다만 발병 ... ...
[가상인터뷰] 딱따구리도
뇌
손상을 입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안녕~! 나는 어과동의 귀염둥이 과학마녀 일리야! 얼마 전 날씨가 따뜻해져 푸푸와 숲으로 산책을 갔다가 쉼 없이 나무줄기를 쪼고 있는 딱 ... 쌓여도 신경이 마비되지 않도록 진화했을 수 있다”며, “그럴 경우 딱따구리에서
뇌
손상을 치료하는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 ...
[과학뉴스] 저지방&저열량 식단이 ‘젊은
뇌
’ 만든다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뇌
조직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지만, 특정 부위에서는 염증을 일으켜 오히려
뇌
의 노화를 촉진한다. 연구팀은 두 그룹의 쥐에게 생후 6개월간 각각 고지방과 저지방 먹이를 준 뒤 시상하부에서 미세아교세포가 염증을 얼마나 일으키는지 비교했다. 이후 이들 그룹을 다시 둘로 나눠 18개월 동안 전체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