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뇌"(으)로 총 3,230건 검색되었습니다.
- 논리적 사고력, 어떻게 키울 것인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신체는 신경망을 통해 뇌에 신호를 보냅니다. 신호는 전위차에 의해 전달됩니다. 뇌는 그 전위차를 인식해 판단을 내립니다. 신체가 건강하지 못하면, 전위차가 제대로 나타나지 못합니다. 때문에 올바른 정신적 판단도 이뤄지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위의 의견은 타당하다고 생각합니다. 두 답변 ... ...
- [Issue] 설마 내가 우울증? 우울증 검사 직접 받아봤습니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RSA 수치가 유의미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doi:10.1080/15622975.2017.1376113 백 교수는 “뇌 영상과 같은 바이오마커로 우울증을 진단할 수 있는 날이 멀지 않았다”고 말했다. 심리부검, 자살률 절반으로 떨어뜨려최근에는 우울증을 포함한 정신질환으로 인한 자살을 줄이기 위해 ‘심리부검’을 ... ...
- Intro. 사람이야? 로봇이야? 호모 사이보그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안녕? 난 2118년, 올해로 11살이 되는 ‘모가래로 로보트’이야. 여기 목 아래론 기계와 결합된 사이보그지. 내 머리 앞쪽에 들어 있는 특별한 칩 덕분에 10배 더 빨리 기억할 수 있단 ... 텔레파시를 보내다Part 4. 호모 사이보그, 새로운 감각을 얻다Part 5. 호모 사이보그, 뇌 세포 만으로 OK? ... ...
- Part 1. 호모 사이보그, 인간 + 기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우주 진출을 위해 만들어진 ‘사이보그’영화 ‘저스티스 리그’에는 몸의 절반은 사람, 나머지 절반은 기계인 사이보그가 등장해요. 주인공은 사고로 잃은 신체의 일부를 기계 ... 텔레파시를 보내다Part 4. 호모 사이보그, 새로운 감각을 얻다Part 5. 호모 사이보그, 뇌 세포 만으로 OK? ... ...
- Part 4. 호모 사이보그, 새로운 감각을 얻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감각을 느끼는 로봇팔생각만으로 로봇팔을 움직이는 실험은 세계 곳곳에서 진행돼 왔어요. 하지만 ‘로봇팔이 느낀 감각을 어떻게 사람에게 전달할 것인가’는 ... 3. 호모 사이보그, 텔레파시를 보내다Part 4. 호모 사이보그, 새로운 감각을 얻다Part 5. 호모 사이보그, 뇌 세포 만으로 OK? ... ...
- Part 1. 30대 중반, 제 건강 상태는요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특히 가족력이 있는 과체중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BDNF는 배가 부르다는 신호를 뇌에 전달하는 역할과 관련이 있다. 이 유전자들의 SNP 차이가 타고난 체질량지수의 위험도를 결정하는데, 기자의 경우 3개 유전자에서 과체중과 관련한 SNP 개수가 한국인 8800명의 유전자-실제 체형 분석 결과와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심실을 만들어 내지 못합니다. 심장 외에도 세포 자멸이 꼭 필요한 기관 중 하나가 바로 뇌입니다. 신경세포는 다른 신경세포들로부터 자극을 받고 전달하기 위해 짧은 수상돌기(dendrites)와 긴 축삭돌기(axon)를 뻗어내는데요. 발달 과정 중에 필요 이상으로 많이 생기기 때문에 이를 가지를 치듯 ... ...
- [Career] ‘전자약’으로 노화 걱정 덜어드립니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식품의약국(FDA) 허가를 받으면서 전자약 연구는 활기를 띠고 있다. 비만 치료용 전자약은 뇌와 위 사이에서 신경 신호가 전달되는 경로를 자극해 식욕을 조절한다. 최근에는 우울증과 파킨슨병 치료에도 전자약을 적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김 교수는 “전자약은 부작용이 거의 없다는 점이 ... ...
- Part 1. 포커 인공지능의 승리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직업의 하나로 보는 추세다. 2017년 1월, 미국 피츠버그의 리버스카지노에서 인간의 뇌와 인공지능이 20일 동안 대결을 펼쳤다. 세계 최고 프로 포커 선수에게 덤벼 든 상대는 미국 카네기멜론대학교의 포커AI 리브라투스다. 리브라투스는 카네기멜론대에서 게임이론과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해 ... ...
- [과학뉴스] 초소형 벌 로봇, 진짜 벌처럼 윙윙~!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뇌의 신경세포들이 정보를 주고받는 방법을 모방해서 만든 반도체예요. 실제 사람의 뇌처럼 적은 에너지로 수많은 정보를 처리할 수 있지요. 또 스스로 학습하는 능력이 있어서 다양한 비행 상황을 자율적으로 익힐 수 있어요. 날개의 금속 탐침 덕분에 바람을 감지하며 비행할 수도 있고, 흔들리는 ... ...
이전6061626364656667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