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뇌"(으)로 총 3,230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그림이 열일 하는 메디컬 일러스트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피를 보내기 위해 열심히 심장을 움직이는 심장근육은 어떻게 생겼을까. 구불구불한 뇌 주름은 어떤 모양일까. 의학 지식을 설명하는 데 그림이 없다면 설명하는 사람도, 듣는 사람도 난감할 것이다. 하물며 혈관의 생김새나 이름, 장기 부위별 크기와 움직임처럼 복잡하고 어려운 의학 지식을 ... ...
- [Issue] 설마 내가 우울증? 우울증 검사 직접 받아봤습니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RSA 수치가 유의미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doi:10.1080/15622975.2017.1376113 백 교수는 “뇌 영상과 같은 바이오마커로 우울증을 진단할 수 있는 날이 멀지 않았다”고 말했다. 심리부검, 자살률 절반으로 떨어뜨려최근에는 우울증을 포함한 정신질환으로 인한 자살을 줄이기 위해 ‘심리부검’을 ... ...
- Part 4. 호모 사이보그, 새로운 감각을 얻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감각을 느끼는 로봇팔생각만으로 로봇팔을 움직이는 실험은 세계 곳곳에서 진행돼 왔어요. 하지만 ‘로봇팔이 느낀 감각을 어떻게 사람에게 전달할 것인가’는 ... 3. 호모 사이보그, 텔레파시를 보내다Part 4. 호모 사이보그, 새로운 감각을 얻다Part 5. 호모 사이보그, 뇌 세포 만으로 OK? ... ...
- Part 1. 30대 중반, 제 건강 상태는요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특히 가족력이 있는 과체중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BDNF는 배가 부르다는 신호를 뇌에 전달하는 역할과 관련이 있다. 이 유전자들의 SNP 차이가 타고난 체질량지수의 위험도를 결정하는데, 기자의 경우 3개 유전자에서 과체중과 관련한 SNP 개수가 한국인 8800명의 유전자-실제 체형 분석 결과와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심실을 만들어 내지 못합니다. 심장 외에도 세포 자멸이 꼭 필요한 기관 중 하나가 바로 뇌입니다. 신경세포는 다른 신경세포들로부터 자극을 받고 전달하기 위해 짧은 수상돌기(dendrites)와 긴 축삭돌기(axon)를 뻗어내는데요. 발달 과정 중에 필요 이상으로 많이 생기기 때문에 이를 가지를 치듯 ... ...
- Part 1. 포커 인공지능의 승리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직업의 하나로 보는 추세다. 2017년 1월, 미국 피츠버그의 리버스카지노에서 인간의 뇌와 인공지능이 20일 동안 대결을 펼쳤다. 세계 최고 프로 포커 선수에게 덤벼 든 상대는 미국 카네기멜론대학교의 포커AI 리브라투스다. 리브라투스는 카네기멜론대에서 게임이론과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해 ... ...
- Part 2. 호모 사이보그, 신분증이 내 몸속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미국에서 열린 마이크로칩 파티지난해 8월 1일, 미국 위스콘신주의 IT기업 ‘쓰리 스퀘어 마켓’에서 특이한 파티가 열렸어요. 바로 직원들의 손에 마이크로칩을 심는 ‘칩 파티’ ... 텔레파시를 보내다Part 4. 호모 사이보그, 새로운 감각을 얻다Part 5. 호모 사이보그, 뇌 세포 만으로 OK? ... ...
- [과학뉴스] 초소형 벌 로봇, 진짜 벌처럼 윙윙~!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뇌의 신경세포들이 정보를 주고받는 방법을 모방해서 만든 반도체예요. 실제 사람의 뇌처럼 적은 에너지로 수많은 정보를 처리할 수 있지요. 또 스스로 학습하는 능력이 있어서 다양한 비행 상황을 자율적으로 익힐 수 있어요. 날개의 금속 탐침 덕분에 바람을 감지하며 비행할 수도 있고, 흔들리는 ... ...
- 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됐다. 자기공명영상(MRI) 장치로 촬영한 결과를 살펴보니 인지능력을 담당하는 대뇌 피질의 두께가 감소하는 속도가 줄었다. 어느 덧 퇴근시간. 피곤함이 몰려온 권 씨는 자율주행차에 탄 귀갓길에 잠깐 잠을 청했다. 집에 들어가자마자 시은이와 놀아준 뒤 TV를 켰다. 흘러나오는 뉴스에 권 씨는 ... ...
- [Origin] 빛으로 뉴런 조절하는 ‘광유전학’의 태동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조절이 가능한 다른 이온채널들의 개발이 이뤄지고 있고, 광유전학 기법을 이용해 뇌 영역과 신경회로의 기능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질병이나 특정 행동의 원인을 밝히고, 나아가 빛을 이용해 난치성 질병을 치료하는 미래를 위해 과학자들은 지금 이순간에도 쉼 ... ...
이전6061626364656667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