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자"(으)로 총 2,588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9 과학기술 10대 뉴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그림자 한가운데에 약 400억km의 크기로 담겨 있었습니다. 블랙홀 그림자 관측에는 한국 연구자 8명도 참여했습니다. 블랙홀의 그림자 영상이 공개되자 전 세계는 흥분의 도가니에 빠졌습니다. 과학계는 이번 관측으로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이 블랙홀이라는 ‘극단적 조건’에서도 ... ...
- 귀한 똥탑 쌓는 지렁이의 재발견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전 세계 ‘지렁이 지도’가 최초로 공개됐다. 연구자 140명이 전 세계 지렁이 연구자들로부터 57개국 6928곳에 이르는 땅밑 지렁이의 분포와 개체수, 그리고 종별 데이터를 수집해 정리한 것이다. doi: 10.1126/science.aaz9771이 지도에 따르면 지렁이의 종 다양성은 땅 위에 사는 동물과 정반대로 나타났다.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로 간 심장외과 의사, 무카이 치아키(向井 千秋)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함께 새로운 연구 분야를 발굴하고, 그 연구 분야가 어느 정도 성장했을 때 다음 세대 연구자들에게 넘겨주고 싶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자신의 역할을 ‘씨앗을 심는 일’에 비유했다. 그의 이런 뜻은 내가 지금까지 만난 멋진 우주인들이 공통적으로 가진 생각과 맞닿아 있었다. 그들은 대부분 ... ...
- [융복합파트너@DGIST]이차전지 성능 결정할 ‘꿈의 전해질’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전 세계 ‘지렁이 지도’가 최초로 공개됐다. 연구자 140명이 전 세계 지렁이 연구자들로부터 57개국 6928곳에 이르는 땅밑 지렁이의 분포와 개체수, 그리고 종별 데이터를 수집해 정리한 것이다. doi: 10.1126/science.aaz9771이 지도에 따르면 지렁이의 종 다양성은 땅 위에 사는 동물과 정반대로 나타났다. ... ...
- [실전!반려동물] 우리 새가 달라졌어요 : 편식 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필요하지 않아 보호자도 다루기 편하지요. 새들은 본래 씨앗과 견과류의 맛을 좋아해요. 연구자들은 새들이 충분한 에너지를 보충하기 위해 지방 함량이 높은 씨앗과 견과류의 맛에 끌리도록 진화했다고 추측하지요. 하지만 새장 안에서 지내는 반려새에겐 오히려 독이 될 수 있어요. 씨앗과 ... ...
- 충전 가능한 시대를 열다 리튬이온전지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있다. 구디너프 교수 연구실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지낸 4년은 지식을 쌓은 것 외에도 연구자로서 살아가는 자세와 방법을 배운 아주 소중한 시간이었다. 김영식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및화학공학부 교수다. 2014년 바닷물 속 나트륨을 활용한 해수전지를 개발했고, 상용화를 위한 연구를 ... ...
- Google 진실을 말해줘~ 1만 년 걸릴 연산 200초 만에 한 거 실화임?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얽힘 상태로 유지하는가에 따라 양자컴퓨터의 성능이 결정됩니다. 그간 양자컴퓨터 연구자들은 큐비트 50개 정도를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 있으면 슈퍼컴퓨터를 뛰어넘는 양자 우월성을 만들 수 있다고 말해왔습니다. 이론적으로 큐비트 10개는 210개의 정보를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수준입니다. ... ...
- 878초냐, 888초냐 중성자 수명 10초 미스터리과학동아 l2019년 11호
- 4월 미국 콜로라도주 덴버에서 열린 미국물리학회에서도 중성자 수명 측정법을 놓고 연구자들의 의견이 갈렸다. 1932년 중성자가 발견된 이후 90년 가까이 지났지만 중성자의 수명은 여전히 모른다. 왜 그럴까. 양성자와 중성자는 질량이 0.1%밖에 차이가 나지 않을 정도로 비슷하고, 입자에 미치는 ... ...
- 빅뱅 이후 우주의 설계도를 그리다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그는 10월 8일 물리학상 수상자로 결정된 직후 프린스턴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후배 연구자들에게 “자연현상에 대한 매혹과 그에 관한 연구의 즐거움을 토대로 나아가라”며 “남과 비교하지 말고 스스로 평가하라”고 조언했다.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 T-800, 28년 만에 등장 터미네이터도 늙을까?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시간에 따라 사람처럼 노화가 일어나는 전자피부를 제작할 수는 있다”면서도 “연구자들이 굳이 성능이 떨어지는 방향으로 재료를 개발할 필요가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기술적으로 피부 노화를 구현할 수는 있지만, 굳이 할 필요가 있겠냐는 것이다. 이 문제는 2014년에도 제기됐었다. ... ...
이전5657585960616263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