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자"(으)로 총 2,588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로호 프로젝트 본격 시동 협력 파트너를 찾아라과학동아 l2019년 10호
- 관련 장비의 수출 허가마저도 거부했다. 일본의 경우 세미나나 자문, 자료 교류 같은 연구자 개인 차원의 기술교류는 꾸준히 진행되고 있었지만, 공식적으로 업무 협약을 맺는 것은 거부하는 입장이었다. 다른 나라와 공식적인 기술협력을 추진한 사례가 없었고, 우주발사체 기술을 해외에 이전하는 ... ...
- [언니오빠논문연구소] 연대 측정의 혁명 가속기 질량 분광분석장치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연대를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을 찾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었습니다. 당시 입자물리학 연구자들은 가속기에 주목했습니다. 1978년 7월 리처드 뮬러 미국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 연구원팀이 사이클로트론(원형가속기·Cyclotron)을 기반으로 탄소의 방사성동위원소의 양을 직접 측정하는 방법을 개발해 ... ...
- [따끈따끈한 수학] 수가 오르락내리락, 롤러코스터 수열수학동아 l2019년 10호
- 그래서 저 역시 이 이름이 조금 이상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왜 이런 이름을 지었는지는 연구자들만 알겠죠? 참고로 2013년에도 한 수학자가 롤러코스터 순열이라는 개념을 만들었는데, 여기서는 오르락내리락이 최대한 많이 반복하는 것을 다룹니다. 수학 연구를 하다 보면 새로운 개념을 만들고 ... ...
- 한국은 왜 반도체 강국이라면서 소재산업은 부실한가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중에서도 특히 몇몇 분야는 한국이 이끌고 있다. ‘2018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 중 크로스 필드 분야에 선정된 이규태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는 차세대 이차전지로 불리는 소듐(Na) 이온전지 분야의 권위자다. 이 교수는 “현재 이차전지에 주로 사용하는 리튬은 매장량이 한정돼 ... ...
- [비하인드 로켓] 우주로 가는 관문 발사장 명당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9호
- 모른다. 발사장 터 찾아 전국을 뒤지다 민간 로켓 발사장을 확보하는 것은 로켓 연구자들의 오랜 소망이었다. 민간 전용 발사장이 없으면 군사 시설을 활용할 수밖에 없는데, 미사일 같은 무기류를 쏘는 게 아니냐는 오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과학로켓인 코리아 사운딩 로켓(KSR)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암석에 새겨진 한반도 지각의 역사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지진이나 화산 활동이 수년 또는 수십 년 등 가까운 미래에 발생할지에 대해서는 어떤 연구자도 장담하지 못합니다. 아직 지구 내부 맨틀과 지각의 이동에 대해 명확히 알지 못하는 변수가 너무 많아서 그렇습니다. 우리는 영원히 이를 알 수 없을까요? 암석 분석 측면에서 보면, 새로운 특성을 가진 ... ...
- [따끈따끈한 수학] 컴퓨터 과학 분야 난제, 민감도 추측 2쪽짜리 증명으로 해결!수학동아 l2019년 09호
- 셈이지요. ‘그 책’에 있을 2쪽짜리 증명 그런데 2019년 7월 초 갑자기 이 분야 연구자들의 트위터와 블로그가 떠들썩했습니다. 7월 1일 인터넷 논문 공개 사이트인 ‘아카이브’에 민감도 추측을 증명한 것으로 보이는 논문이 올라왔기 때문입니다. 그 논문을 써서 공개한 사람은 중국 수학자 황 ... ...
- [나의 논문 투고기] 미지의 성단을 찾아서 '고딩' 3년을 모두 바쳤다과학동아 l2019년 09호
- 만큼 벅찬 감정이었다. 새로 찾아낸 209개의 성단에는 나를 포함해 연구에 도움을 준 연구자들이 소속된 기관의 영문 첫 글자를 땄다. 나와 친구 승현이가 다니는 울산과학고의 ‘U’, 안 교수님이 재직하고 있는 부산대의 ‘P’, 그리고 이 박사님이 소속된 한국천문연구원의 ‘K’를 모아 ... ...
- 빅데이터, 시험, 감옥… 세상에서 하나 뿐인 주기율표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돌아갔다. 원소의 쓰임새를 담은 그림과 원자에 관한 다양한 정보, 그리고 관련 연구자의 일화까지 넣어 주기율표의 완성도를 높였다는 점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고등부 금상은 부산 장안고 1학년 고태현 군, 김보근 군, 신혜윤 양, 천사랑 양이 공동으로 제출한 ‘100점 주기율표’가 차지했다. 1 ... ...
- 우리는 UST 퍼스트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신분으로 이 모임에 참석했다. 정 교수는 “당시만 해도 국내에서 전파간섭계를 전공한 연구자가 전무했는데, 손 교수가 바로 그 전공자여서 인상이 강하게 남았다”며 “KVN 프로젝트를 가까이에서 경험하고 싶은 마음에 2004년 가을 UST 한국천문연구원 캠퍼스 박사과정에 입학했다”고 회상했다 ... ...
이전5859606162636465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