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탐구자
조사자
연구원
d라이브러리
"
연구자
"(으)로 총 2,588건 검색되었습니다.
"흥미로운 곳에 길이 있다" 잉그리드 도브시 인터뷰
수학동아
l
2019년 05호
마지막으로 도브시 교수는 과학자, 수학자를 꿈꾸는 학생에게 현실적인 조언을 전했다.“
연구자
로서 연구 성과를 많이 내는 것과 행복한 가정을 꾸리는 건 한번에 여러 일을 하는 것처럼 어려워요. 이런 일을 함께 나눌 수 있는 짝을 선택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둘이 상의하고 힘을 합치면 잘 극복할 ... ...
[지구사랑탐사대] 2019 지구사랑탐사대
연구자
를 소개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4호
생태학자에게 직접 생물 교육을 받고 함께 탐사도 할 수 있는 기회! 가족과 함께 놀면서 소중한 생명도 지킬 수 있는 기회가 있다면 놓칠 이유가 없겠죠? 이 모든 걸 할 수 있는 지구사랑탐사대가 7기 대원을 모집 중입니다. 2월 28일까지 어린이과학동아 홈페이지에서 어서 신청하세요! ...
스스로 길을 찾은 수학자, 클레르 부아쟁
수학동아
l
2019년 04호
강조했다.“모든 직업인에게 육아와 가사는 큰 부담입니다. 사회적 제도를 만드는 건
연구자
에게 ‘당신의 연구는 중요하니까 연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주겠다’는 뜻이에요”. 부아쟁 교수에게 수학이란?부아쟁 교수는 나이가 들수록 더 재밌는 아이디어가 떠올라 요즘은 동시에 다양한 ... ...
오세정|급변하는 4차 산업혁명시대, 창의적 인재 키운다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시원시원한 목소리로 대화를 이끌어나가는 그의 모습은 상아탑에서 학문에만 정진해온
연구자
보다는 기업의 최고경영자(CEO)를 연상시켰다. ‘의원 배지’ 반납하고 대학으로오 총장이 제27대 서울대 총장 선거에 출마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을 때 일부 사람들은 의아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현직 ... ...
수식으로 읽는 하드 사이언스, 메타물질 도장깨기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있을 것이다. 메타물질은 지난 수십 년 간 매우 다양한 형태로 연구가 이뤄져왔다. 많은
연구자
들이 연구에 매진하고 있는 것에 비해 실용화가 늦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는 기존 물질의 한계를 극복하는 대신 반대급부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한계점이 적용할 수 있는 주파수 범위가 ... ...
[융·복합 파트너@DGIST] 로봇공학전공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송수신하는 신경전극을 개발해야 한다”고 설명했다.신경과 기계를 연결하는 접속 기술
연구자
들은 신경전극으로 행동뿐만 아니라 감각도 되살릴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그리고 감각을 되살리면 특정 연상기억을 떠올리게 하거나 없애는 것도 가능하다고 추정한다. 가령 축구공을 보면 좋아하는 ... ...
신용현|국회의원이 된 과학자, 과학 현장의 목소리를 높이다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연구실 안전법)이 대표적이다. 현행 연구실 안전법의 목적은
연구자
원의 효율적 관리, 과학기술 연구개발 활동의 활성화 등에 맞춰져 있다. 신 의원은 “연구실 안전법을 연구원의 건강과 생명을 보호하고 안전한 연구 환경을 조성하는 목적으로 전면 개정하는 법안을 ... ...
포도알 먹지 마세요, 전자레인지에 돌려 보세요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PNAS)’ 2월 19일자에 그 이유를 자세히 밝혔다. doi:10.1073/pnas.1818350116 그간 일부
연구자
가 플라스마 발생 원리를 설명한 적이 있었지만 다양한 실험을 거쳐 플라스마 생성 조건과 그 과정을 상세하게 밝힌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다. 수분 70%와 포도의 곡면이 만든 ‘마술’ 플라스마는 이온화된 기체를 ... ...
김민형|전 국민을 수학과 사랑에 빠트리다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세상을 이해하는 데 수학의 중요성은 앞으로 더 커질 것”이라며 “수학을 전공한
연구자
들이 학계가 아닌 다른 직업군으로 진출하는 것을 스스로 부정적으로 생각할 필요가 없다”고 덧붙였다. 영국에서는 박사과정을 우수하게 마친 수학 전공자들도 기업에 취직하는 경우가 꽤 있다는 게 그의 ... ...
[3·1운동 100주년] 대한의 모든 존재에게 한글 이름을 허하라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단결력 빗대 조선 계몽 역설석주명 외에도 곤충을 통해 현실을 극복하고자 노력했던
연구자
들이 있었다. 바로 조복성과 김병하다. 이 둘은 모두 박물학을 통해 대중을 일깨워야 한다는 사명감을 갖고 있었다. 조복성은 평양고등보통학교와 연희전문학교를 졸업한 뒤 보통학교 교사를 거쳐 ... ...
이전
61
62
63
64
65
66
67
68
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