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탐구자
조사자
연구원
d라이브러리
"
연구자
"(으)로 총 2,588건 검색되었습니다.
[3·1운동 100주년] 일제강점기 조선 과학자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공우(工友)’라는 계몽지를 만들어 배포했다. 중등 교원을 포함한 조선인 생물학
연구자
들은 조선박물연구회를 만들어 생물의 우리말 이름을 정리하고 그 성과를 향명집과 박물전람회로 발표했다. 조선인 의사들로 이뤄진 조선의사협회는 학술잡지 ‘조선의보(朝鮮醫報)’를 장기간 발행했다.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버려졌던 이론의 재탄생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빠른 속도로 학계의 정설로 자리 잡았습니다. 초기에는 주로 해령에 집중됐던
연구자
들의 관심은 이후 해구와 호상열도로 퍼져나갔고, 판이 생성되고 소멸하는 경계를 좀 더 이해하게 되면서 판구조론은 서서히 그 모습을 드러냈습니다.대륙이동설에서 해저확장설, 판구조론으로 이어진 지구에 ... ...
블랙홀의 그림자를 추적하다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의견이 있다. 구성 초기에는 물론 현재까지 EHT와 ‘블랙홀캠(Black Hole Cam)’이라는 이름이
연구자
들 사이에서 혼용되고 있다. 필자는 EHT가 과학적으로는 더 적당한 이름이라고 생각한다. 우리가 블랙홀을 ‘직관’하는 것은 아니고 사건의 지평선 바깥에서 일어나는 일을 관측하기 때문이다. ... ...
'오로봇'의 부활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화석 표본을 CT로 스캔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작업을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모든
연구자
가 활용할 수 있도록 화석 자료를 온라인에 올리겠다는 것이다.캐시 홀리스 스미스소니언자연사박물관 컬렉션 매니저는 이 날 영국 BBC와의 인터뷰에서 “스미스소니언자연사박물관에는 약 4000만 개의 ... ...
[3·1운동 100주년] 대한의 모든 존재에게 한글 이름을 허하라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단결력 빗대 조선 계몽 역설석주명 외에도 곤충을 통해 현실을 극복하고자 노력했던
연구자
들이 있었다. 바로 조복성과 김병하다. 이 둘은 모두 박물학을 통해 대중을 일깨워야 한다는 사명감을 갖고 있었다. 조복성은 평양고등보통학교와 연희전문학교를 졸업한 뒤 보통학교 교사를 거쳐 ... ...
[INTERVIEW] 사람이 좋은 수학자, 천정희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
수학동아
l
2019년 02호
사람들과 어울리고 소통하는 경험을 해봐야 하죠. 실제로 다양한 경험을 한 사람이 좋은
연구자
가 되기도 하고요. 학부모님께는 이런 말을 전하고 싶네요. 학생들이 스마트폰만 한다고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친구들과 어울리려는 성향은 다 있는데 소통하는 수단이 조금 달라진 것 같아요 ... ...
[Culture] 새 책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핵을 얻어 연구할 계획이다. 우리나라도 남극 연구에 뛰어든 지 30년이 지났다. 매년
연구자
들이 남극 세종기지와 장보고기지에서 남극의 자연환경과 기후, 다양한 생물을 연구한다. 책의 저자인 김정훈 극지연구소 책임연구원 역시 15년 동안 남극 연구를 진행한 세종기지의 터줏대감이다. 이 ... ...
[이달의 PICK] 밥상 떠난 오징어를 찾습니다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고등어, 명태는 양식 기술이 개발됐다. 일본은 이미 오래전 군수산과학원과 홋카이도대
연구자
들이 하코다테 지역에서 오징어 양식을 시도했다. 수조 안에서 오징어를 인공 수정시켜 산란 과정을 관찰하는 등 연구를 진행했다. 하지만 유생이 태어난 지 불과 열흘 만에 죽었고 이 문제가 해결되지 ... ...
새로운 도형이 나타났다! 뫼비우스 칼레이도사이클
수학동아
l
2019년 02호
직접 만들어보는 신기한 뫼비우스 칼레이도사이클 새로운 도형을 만든 두
연구자
처럼 뫼비우스 칼레이도사이클을 만들어보고 무한히 뒤집히는지, 얼마나 꼬여있는지 직접 확인해봅시다. 또 어떤 분야에 활용할 수 있을지 생각해보세요. ● INTERVIEW 새로운 도형의 설계자를 만나다 ... ...
[프리미엄 리포트] 내 모든 걸 다 줬는데, 날 미워하면 안 ‘돼지’ 인류를 구원한 돼지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이를 따라오지 못하고 있다”며 동물의 장기 이식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했다. 현재
연구자
들은 동물의 장기를 인간의 몸에 이식했을 때 일어나는 면역거부반응을 해결하는 방법을 찾고 있다. 이종간 장기이식의 경우 면역거부반응이 나타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 ...
이전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