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자"(으)로 총 2,5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젖소, 돼지, 양, 연어…AI는 동물 얼굴도 인식할까?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애플리케이션(앱)으로도 개발해 실제 야생동물 연구자들이 쉽게 쓸 수 있도록 했습니다. 연구자들이 해당 동물을 찍어 올리면, 프로그램이 90% 정확도로 일치하는 개체를 보여주거나, 찾을 수 없는 경우 5마리의 후보를 제안해 줍니다. 제인 교수는 “아직까지는 프로그램이 동물의 얼굴을 똑바로 ... ...
- [Career]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 암세포 하나씩 분석 생물정보학의 메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수 있었다. 김 교수는 2011년부터 본격적으로 단일 세포 유전체 연구를 시작한 1세대 연구자 중 한 명이다. 이는 그의 독특한 이력과도 관련이 있다. 김 교수는 대학에서 화학을 전공하면서 복수전공으로 컴퓨터공학을 선택했고, 부전공으로 생물학까지 이수했다. 생명공학기술(BT)과 정보기술(IT)을 ... ...
- ‘영원’을 쫓는 수학자, 2018 대한수학회 학술상 최영주 포스텍 교수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마주하는 거예요. 수학 연구는 100일이면 99일이 막히는 일이에요. 이것에 익숙해지는 게 연구자인 것 같아요. 깜깜한 99일 동안 길을 알려주는 사람도 없고 등대도 없어요. 다른 사람들의 길을 보고, 이야기를 나누고 다시 내 자리로 돌아와요. 그리고 새로운 길을 찾아야 하죠. 두렵고 막막한 일인데, ... ...
- 튜링의 논문은 현대 수리생물학자에게 어떤 의미일까요?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수학 모형을 단순하게 만들거나 타당성을 증명해 입증해주면 공학자와 같은 다른 분야 연구자들은 시스템을 모형으로 만들 때 안심하고 쓸 수 있지요. 튜링 모형 역시 다른 분야에서 많이 쓰이는 모형 중 하나입니다. 화학 반응이 일어나는 곳이라면 어디든 응용할 수 있거든요. 더 많은 분야에서 ... ...
- 생리의학상 - 암 치료 패러다임 바꾼 면역 항암 치료과학동아 l2018년 11호
- 20~25%가 완치된 것이다. 당시 말기 흑색종은 완치 가능성이 매우 낮았기 때문에, 연구자들조차 믿기 힘들 만큼 놀라운 결과였다. 이를 토대로 2011년 개발된 CTLA-4 항체 치료제(상표명 ‘여보이(Yervoy)’)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은 최초의 항체 면역 항암제가 됐다. PD-1 항체, 카터 전 대통령 ... ...
- 화학상 - 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노벨 화학상은 효소, 항체 등 생물 분자 기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연구자들에게 돌아갔다. 효소의 방향적 진화(directed evolution of enzymes)를 연구한 프랜시스 아놀드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칼텍) 교수와 ‘파지 디스플레이(phage display)’를 연구한 조지 스미스 미국 미주리대 교수, 치료용 항체 개발에 ... ...
- 중국을 꿈꾸는 과학자들에게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받고, 삼성전자에서 21년간 메모리반도체 분야 연구 개발에 참여했다. 상무로 퇴직한 뒤 연구자로서의 꿈을 펼치기 위해 2016년 9월 중국으로 향했다. 현재 중국 칭화대 전자공학과 교수 및 인공지능센터 연구원으로 인공지능용 소자 연구를 하고 있다. hongsikjeong@tsinghua.edu ... ...
- [팩트체크] 리만 가설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요르겐 바이스달 노르웨 이과학기술대학교 교수는 “증명이 매우 불분명하고 리만 가설 연구자들이 예상하는 방법과 다르 다”며, “명확한 검증을 위해서는 더 자세한 증명 을 추가해야 한다”고 말했어요. 아티야 교수님, 좀 더 자세한 증명 부탁드려요! 팩트체크2. '리만 가설'은 소수 찾는 ... ...
- 물리학상 - 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광집게'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모터의 힘이나, DNA 등 유기체의 기계적인 특성을 연구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동일 분야 연구자가 먼저 노벨상 수상하지만 이렇게 우수한 성과를 냈던 애슈킨 연구원에게도 쓰라린 경험이 있었다. 운명의 장난인지 이 역시 노벨상과 관련이 있다. 1970년 그가 미국 벨연구소에서 빛으로 원자를 ... ...
-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주장했습니다. 생각해보면 일리가 있는 말입니다. 암줄기세포의 존재를 지지하는 연구자들조차 당시엔 확실하게 반박을 할 수 없었습니다. 특정한 세포가 암조직 전체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할 방법이 이식밖에는 없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2012년 8월 세 편의 논문이 동시에 발표됐습니다. ... ...
이전6667686970717273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