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합"(으)로 총 1,781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유전자에도 피부색이 있는가 ‘인종의학’ 논란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점에서, ‘표준게놈(인간게놈프로젝트로 완성한 첫 게놈. 유럽계 백인들의 유전체를 조합해 완성했다)’을 보유한 미국의 시각을 일방적으로 반영했다는 주장이다. 미국인들은 백인 유전체(표준게놈)를 이미 완성했기 때문에, 그와 ‘다른’ 인구 집단의 유전체를 연구하려는 시도에 대해서는 인종 ... ...
- 정육면체의 180˚ 변신 장미 큐브 만들기수학동아 l2014년 05호
- 그거 알아요? 정육면체를 장미로 변신시킬 수 있다는 것!폴 : 정말? 정육면체와 장미의 조합이라 상상이 안 가는데…. 나 그 방법 좀 알려 줘~!앤드류 : 그럼 난 장미와 관련된 수학을 알아볼게.매혹적인 곡선, 장미꽃의 여왕, 장미의 계절이 돌아왔다. 장미는 매혹적인 붉은 빛깔과 향기로 3000년이 ... ...
- 김주황의 악당예찬6 - 창 하나로 세뇌시킬 수 있을까 로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데 ‘뇌를 조종하는’ 기술을 쓸 수 있는 것이다.로키와 셉터는 정말이지 최적의 조합이었다. 본래도 모습을 바꾸거나 숨기는 데 일가견이 있는 로키였는데, 다른 사람을 세뇌하는 능력을 얻게 된 것은 마치 관우가 적토마를 만난 것과 같았다. 문제는 영화 ‘어벤져스’에서 로키가 세뇌보다는 ... ...
- 김주황의 악당예찬7 - 순식간에 재생하는 암줄기세포? 익스트리미스 군단과학동아 l2014년 05호
- 39개의 혹스 유전 자가 4개의 염색체에 나뉘어 있다. 즉 암줄기세포와 혹 스 유전자의 조합이라면 익스트리미스 전사들의 빠른 재생을 꿈꿔볼 수도 있다.암줄기세포와 혹스 유전자, 거기에 한 가지 더. 극피 동물을 얹어보자. 바다나리, 성게, 불가사리, 해삼과 같 은 극피동물은 신체 일부를 완벽하게 ... ...
- 나무 아파트, 몇 층까지 지어봤니?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최초의 고층빌딩이자 철근과 콘크리트를 사용한 최초의 건물이다. 이후 철근과 콘크리트 조합은 고층빌딩의 ‘공식’이 됐다. ‘그레이트 빌더’의 저자 케네스 파월은 “강철과 콘크리트가 고층빌딩의 등장을 가능케 했다”고 썼다.그런데 최근 목재가 이들의 자리를 넘보고 있다. 나무로 ... ...
- [생활] 생생한 화질 경쟁, 수학으로 앞서 간다!수학동아 l2014년 04호
- 역시 다양한 환경에 의해 방해를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전파의 형태가 0과 1이라는 신호를 조합한 것이기 때문에, 다른 신호가 더해졌을 때 쉽게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자체적으로 이런 신호를 감지해서 원래의 신호로 복원할 수 있고, 그 결과 훨씬 깨끗한 영상을 볼 수 있게 ... ...
- PART 2. 태초의 꽃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4년 04호
- ‘ABC모델’로 설명하고 있다. A-클래스(class), B-클래스, C-클래스 유전자들의 발현이 조합을 이루어 꽃의 각 부분 형성을 조절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가장 원시적인 꽃식물에서 두 개의 B-클래스 유전자(꽃잎과 수술 형성에 관여한다)가 만든 단백질들이 동형복합체를 형성하는지 아니면 이형복합체를 ... ...
- [hot science] “그녀를 사랑한다면, 함께 맞으세요”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백신은 각 바이러스에 있는 L1 단백질을 이용해 바이러스유사입자(VLP)를 만드는 유전자 재조합 백신이다. VLP에 의해 만들어진 항체는 혈청에 있다가 HPV에 감염되면 자궁경부점막으로 나와 상피세포가 바이러스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막는다.우리나라에서는 2007년부터 접종이 시작됐다. 우리나라 ... ...
- 새하얀 얼음 사막 위의 안식처에 가다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절반을 차지하는 긴 일정이었다.제발로 얼음감옥에 들어가다이번 아라온 호 탑승객은 조합이 다양했다. 아라온 호가 지나가는 길에서 자료를 수집하고 남극장보고과학기지(이하 장보고기지)에 장비를 설치할 연구진이 있었다. 장보고기지 준공식에 맞춰서 홍보대사로 임명된 21C 장보고 주니어 대원 ... ...
- Robot 수학으로 생명을 불어넣다 !수학동아 l2014년 03호
- 기록한다. 이때 결과적으로 로봇이 인식하는 것은 물체의 형태가 아닌 수많은 숫자들의 조합이라는 점에서 사람의 눈과는 차이가 있다.예를 들어 카메라가 로보캅의 얼굴을 보고 있다고 하자. 직사각형 모양의 평면으로 이루어진 전하결합소자의 각 부위는 로보캅에게서 온 빛과 ‘일대일대응’을 ... ...
이전5657585960616263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