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합"(으)로 총 1,781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사, 신선, 여래, 그리고 원숭이과학동아 l2013년 09호
- 꺼지고 영원히 희뿌연 적막과 적요와 적멸만이 원 바깥을 가득 메웠을 때에도 흑과 백의 조합은 계속된다. 백은 양, 흑은 음, 백은 존재, 흑은 무, 혹은, 백은 양성자, 중성자, 전자, 그리고 물질, 흑은 반양성자, 반중성자, 양전자, 그리고 반물질. 대국이 계속되고 우주가 늙어감에 따라 반상 위에는 ... ...
- 이영돈 PD의 수학 먹거리 X파일수학동아 l2013년 08호
- 기우뚱거리며 사랑스럽게 흔들린다.그런데 푸딩과 수학자라니 별로 어울리는 조합이 아니다. 하지만 푸딩을 잘라 단면을 살펴보면 매우 수학적인 곡선이 등장한다. 바로 블라망주 함수 곡선이다. 블라망주 함수란 이름은 1980년대 영국의 수학자 데이비드 톨이 곡선의 모양과 블라망주 푸딩의 형태가 ... ...
- Part 2. 바이러스가 당신을 당장 죽이지 않는 이유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발티모어가 고안한 분류법이다. 바이러스를 핵산의 종류와 가닥 수, 극성, 복제 방식의 조합으로 7그룹으로 나눴다. 세포 안에서 단백질은 DNA가 전사된 형태인 전령 RNA(mRNA)를 이용해 만들어진다. 바이러스는 저마다의 방식으로 전령RNA를 만들어 세포 안에서 원하는 단백질을 합성한다. DNA에 유전 ... ...
- 수학으로 다시 태어난 리얼입대 프로젝트 진짜 사나이수학동아 l2013년 08호
- 깃발이 일종의 암호가 된 것이다.예를 들어 ‘영국’은 253이라는 수를 나타내는 깃발의 조합으로 표현되고, 471은 ‘사람’을 나타낸다.나폴레옹의 군대를 물리친 넬슨 장군의 깃발 신호다양한 깃발 신호 중에서도 1805년 영국의 호레이쇼 넬슨 장군이 보낸 깃발 신호가 특히 유명하다. 넬슨 장군은 ... ...
- Part 1. 8월 바이러스 대습격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밝혔다.염기서열 분석결과, 신종 H7N9은 저병원성 AI 바이러스 3종류의 유전자가 재조합된 것으로 밝혀졌다. 포유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닮은 점이 많아 몇 종류의 돌연변이만 더 일어나면 사람간 감염이 쉽게 일어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됐다. 다행인점은 PB1-F2라는 단백질에서 특정 돌연변이가 ... ...
- Bridge. 사람이 일으키는 대유행 전염병, 바이오테러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맞게 만드는 것이 현실적으로는 간단하지 않다는 뜻이다.비슷한 바이러스끼리의 재조합이 아니라, 서로 다른 종에 속한 바이러스끼리 유전자를 합치는 것은 기술적으로 훨씬 더 어렵고 성사되지 않을 가능성이 더 크다. 하지만 누가 알랴. 막대한 자본과 뛰어난 연구 인력의 투입으로 어느 은밀한 ... ...
- [photo] 기계 생명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장승효_Stage Of Culmination II _Dragon, Episode자동차 엔진의 외형은 힘을, 혈관과 같은 배선의 조합은 생명력을, 어두운 기계의 색감은 강한 권력을 상징한다.박기일_Ready기계부품들은 복잡하지만 나름의 질서를 갖고 필요한 위치에 존재한다. 지극히 기능적 측면에 초점을 맞춘 것이지만, 작가는 꾸밈없는 ... ...
- 우리의 이름은 별보다 많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소중하다. 이름은 짧지만 많은 의미를 담고 있다. 우선, 무한에 가까운 진화와 변이의 조합 속에서 이름은 개인의 위치를 대강 지정해준다. 나의 존재에 선행하는 존재는 누구인지, 그 앞은 또 누구인지. 그처럼 연속적인 줄기 속에서 다시 한 번 나를 구분해 주는 것, 그게 바로 이름이다.이름이 ... ...
- 순간포착 세상에 이런 일이 수학하는 동물들이 나타났다!수학동아 l2013년 07호
- 만든 대칭 도형이기 때문이다. 그 7가지 방법이란 회전과 평행이동, 수평과 수직 변환을 조합한 것이다.예를 들어 사람이 한 발로 뜀뛰기를 할 때 생기는 걸음걸이(한 발 뛰기)는 평행이동을 하면 서로 겹쳐진다. 그런데 치타가 뛰면서 만들어내는 발자국도 평행이동으로 겹칠 수 있다. 즉, 사람과 ... ...
- 개미가 페르마의 원리를 안다고?과학동아 l2013년 07호
- 걸어야 하는 바닥에서 오랜 시간을 보낼 수도 있었다. 연구팀은 3가지 바닥 종류를 조합한 6가지 경우의 수에 대해 먹이의 위치를 조금씩 바꿔 가며 다양하게 실험했다.연구팀이 상자에 개미 무리를 넣자 먹이를 향해 가는 경로가 페르마의 원리에 따라 예측한 경로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직선 경로를 ... ...
이전6061626364656667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