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손까락
손꾸락
둘째손가락
둘째
수지
뉴스
"
손가락
"(으)로 총 708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형 구두표준 만든 ‘신발박사’의 30년 구두인생
2015.08.05
보좌진에게 “구두 표준 사이즈를 개발하라”고 지시했다. 곧바로 당시 KIST에서
손가락
길이, 엉덩이 둘레 같은 국민표준체위를 조사했던 조 전 연구원이 연구를 맡게 됐다. 그는 전국을 돌며 8000명의 발 치수를 쟀다. 이를 토대로 발 길이와 둘레를 감안해 자신에게 맞는 구두를 선택할 수 있도록 1 ... ...
봉한선과 림프선
2015.08.03
경혈(經穴)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다. 경혈은 침이나 뜸을 놓는 자리다. 허리가 아픈데
손가락
발가락에도 침을 놓는 건 우리 몸이 경혈과 경락으로 연결돼 있기 때문이다(물론 한의학계의 주장이다). 흔히 경혈과 경락을 통해 우리 몸의 기(氣)가 흐른다고 말한다(그런데 기의 실체는 뭘까?). ... ...
[즐기자! 사이언스바캉스] 과학동아가 만든 고품격 과학 강연회
2015.07.31
최초의 인간형 로봇 ‘휴보(HUBO)의 아버지’로 알려진 오준호 KAIST 기계공학과 교수는
손가락
5개가 달린 인간형 로봇의 손을 들고 등장했다. 앞줄에 앉은 참가자들은 로봇 손과 직접 악수하며 잠깐이나마 생생한 로봇공학의 세계를 경험했다. 오 교수는 지난달 초 미국에서 열린 ... ...
입고 움직이면 방향까지 파악하는 똑똑한 센서
2015.07.14
박사(오른쪽). - 서울대 제공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 같은 공상과학(SF) 영화에서는
손가락
동작만으로 모니터 화면을 움직이는 장면이 자주 등장한다. 국내 연구진이 스마트워치와 같은 웨어러블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변형센서를 개발해 영화 속 장면을 현실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
파도따라 밀려온 ‘독한 놈들’ 일단 피하는 게 상책
2015.07.11
한 크기로 적갈색 바탕에 이름처럼 파란 고리무늬를 갖고 있다. 김 씨는 다행히 현재
손가락
허물만 벗겨진 정도로 거의 완치된 상태다. 파란고리문어. - 국립수산과학원 제공 ● 탁구공 크기 ‘파란고리문어’ 독 1mg이 치사량 몸에 독을 지닌 맹독성 해양 생물이 한국 해수욕장 피서객을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
과학동아
l
2015.06.30
다섯
손가락
으로 물건을 강하게 감싸 쥘 수 있게 만들었다. DRC휴보로 넘어오면서
손가락
을 세 개로 바꾸는 대신 약 15kg의 물건을 감싸 쥘 수 있게 했다. 물건을 쉽게 떨어뜨리지 않도록 손끝에 아주 작은 바늘을 붙였다. ○ DRC 출전한 한국 4개 팀 성적 살펴보니 - 로보티즈·서울대 예상 밖 부진, ... ...
[2015 세계과학기자대회] 과학기자는 무엇으로 사는가
2015.06.05
많은 사람들이 해부학적으로 불완전한 신체를 갖고 태어나는지 새삼 깨닫게 됐다.
손가락
이 하나 더 있거나, 발목뼈가 하나 더 있거나, 있어야 할 발가락뼈가 없거나. 그는 “신장 하나가 없는 건 ‘빙산의 일각’이었다”면서 “이 일을 계기로 인간 신체 구조의 다양성과 배아 발생 시 신장 ... ...
[재난로봇 올림픽, D-2] 코리아 로봇, 화이팅!
2015.06.03
개발한 로봇. 네 발로 걷지만 상반신은 인간과 비슷하다. 가늘고 정밀한 세 개의
손가락
을 갖고 있다. - 포모나=전승민 기자 enhanced@donga.com 일본 측은 해외 언론의 접촉을 최대한 줄이고, DRC 임무에 매진하고 있다. 사진은 DRC 현장에서 각종 연구과제를 분주하게 수행하고 있는 카메라에 ... ...
손톱 물어뜯는 버릇, 4세 이후 예민한 아이에 빈번↑…어떻게 고쳐야 하나? ‘발동동’
동아닷컴
l
2015.06.01
평소
손가락
끝이 미세하게 떨리면 파킨슨병이나 갑상선기능항진증을 의심할 수 있다.
손가락
끝이 부어있다면 선천성 심장병이나 만성 기관지확장증, 또는 만성 호흡부전일 가능성이 있다. 손톱 물어뜯는 버릇. 사진=손톱 물어뜯는 버릇/MBC 동아닷컴 디지털뉴스팀 기사제보 dnews@donga.com [화제의 ... ...
탄수화물은 뇌에 정말 나쁠까요?
2015.05.31
때 부끄러웠거나 화가 났던 기억이 떠올라 이불을 차는 행동을 말한다. 좋은 경험은
손가락
사이로 모래가 빠져나가듯 우리의 뇌를 스쳐지나가 버리지만 실수나 잘못과 같은 나쁜 경험은 아무리 사소한 것이라도 쉽게 잊혀지지 않는다. 이는 우리 뇌가 부정적인 것에 먼저 반응하도록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