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손까락
손꾸락
둘째손가락
둘째
수지
뉴스
"
손가락
"(으)로 총 708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화 알아듣는 스마트 장갑
2015.05.13
열었다”고 말했다. 연구진이 개발한 스마트 섬유를 장갑에 적용한 모습.
손가락
이 구부러지는 것을 인식해서 수화 알파벳을 인식하는 실험에도 성공했다. - 연세대 제공 ... ...
태블릿PC 위에
손가락
만 갖다 대면 로봇이 스르륵
2015.05.12
방법을 고안했다. 로봇이 이동했으면 하는 방향으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화면에
손가락
을 대면 로봇들이 그 명령에 따라 움직이도록 한 것이다. 가까이에 있던 로봇이 그 지역의 상황을 주변 로봇에게도 통신해 그 지역으로 로봇들을 모이게 된다. 연구팀은 한 지역 뿐 아니라 다수의 ... ...
가위 눌리는 이유, 근육 마비-환청에 환각까지...왜그런가 했더니?
동아닷컴
l
2015.05.04
이유, 근육 마비-환청에 환각까지...왜그런가 했더니? 새벽에 희미하게 잠에서 깼을 때
손가락
하나 까딱하지 못할 정도로 몸이 굳어 있을 경우가 있다. 기면증의 한 형태로 알려진 가위에 눌리는 이유는 무엇일까. 흔히 ‘가위눌림’이라고 부르는 ‘수면마비’는 건강을 위협하거나 특정한 질환이 ... ...
작지만 끈질긴, 가볍지만 정교한
과학동아
l
2015.04.27
각종 새들의 두개골이 일렬로 전시돼 있었다. 주먹보다 큰 독수리의 두개골부터 엄지
손가락
한 마디 길이도 안 되는 작은 물새의 두개골까지. 크기는 달랐지만 공통점이 하나 있었다. 뻥 뚫린 커다란 안구의 흔적. 눈은 클수록 해상도가 좋다. 망막에 맺히는 상이 커 세세한 부분까지 볼 수 있기 ... ...
손가락
꺾을 때 ‘두두둑’ 소리 나는 이유 찾았다
2015.04.19
만큼 앞으로 척추 등 다양한 관절 치료나 재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손가락
을 잡아당기자(오른쪽) 관절 사이 공간이 늘어나며 내부를 채우고 있는 '활액'에 빈공간이 생기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캐나다 앨버타대 ... ...
스마트폰이 불러온 질병, 경추 건강과 눈에 ‘큰 적’…알고 보니?
동아닷컴
l
2015.04.15
경우도 많다. 실제 목 디스크가 심해지면 글씨를 쓰거나 물건을 쥘 때 힘이 약해지거나
손가락
에 부분적인 감각이상이 나타날 수 있고, 팔과 다리에 힘이 없어 계단을 오르내릴 때 휘청거려 넘어지기도 한다. 뒷목이나 어깨, 팔에 통증이 심해 잠을 자기가 힘들거나 그 밖의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는 ... ...
파킨슨병 조기검진 스마트폰과 컴퓨터만 있으면 ‘OK’
2015.04.14
7억 명을 대상으로 파킨슨 병을 진단할 수 있는 앱을 공개했다. 앱을 실행해 엄지와 검지
손가락
으로 20초간 화면을 번갈아 두드리는 동작을 하면 그 패턴을 분석해 파킨슨병 발명유부를 확인한다. 애플은 다양한 방법으로 언제 어디서나 검진이 가능한 것이 장점이다. 사용자가 소리를 지르도록 ... ...
약지 긴 남자, 매력 넘치는데 ‘체력’도 강하다
2015.04.09
심리학부 교수팀은 평균값이 남성의 경우 0.947, 여성은 0.965라고 밝혔다. 남성의 경우
손가락
비율이 이보다 짧으면 이성에게 충분히 남성다운 매력을 어필할 수 있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한편 이 값이 너무 작은 사람은 주의렵결핍과잉행동장애(ADHD)나 자폐증 위험이 크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 ...
나이들수록 스마트폰에 취약한 이유 밝혀졌다
2015.04.08
주고받는지 측정했다. 참가자들은 대부분 처음에 몇 번 게임을 시도 할 때는 뇌에서
손가락
의 움직임을 통제하는 뇌세포와 시각적 자극을 관리하는 뇌세포가 동시에 혈류량이 늘어났다. 하지만 게임을 반복할수록 이 뇌세포끼리 협력하는 빈도가 점점 줄어들었다. 뇌에서 시각과 손동작 사이의 ... ...
자연에 답이 있다! 바이오재료의 세계
2015.04.07
가장 잘 나가는 분야는 어디일까. 물론 전문가마다 의견이 다르겠지만 재료 분야가 다섯
손가락
에서 빠지는 일은 없을 것이다. 새로운 물성을 띠는 재료를 개발하는 것이야말로 에너지와 환경 등 오늘날 당면한 과제를 극복할 수 있는 본질적인 해결책이기 때문이다. 학술지 ‘네이처’ 3월 2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