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높이
키
해발
표고
동일 수준
godot
스페셜
"
고도
"(으)로 총 635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슈 속 과학기술] 실종 비행기 어떻게 찾을까
KOITA
l
2015.01.14
했다. 당시 실종 한 달 만에 남인도양 일대에서 블랙박스의 초음파 신호를 찾았다는 보
고도
있었지만 그 신호가 진짜 MH370호 것인지 아직 아무도 확인하지 못했다. MH370호가 납치, 혹은 조종사의 자살자폭 등으로 해석하는 전문가가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 ...
친환경 에너지 타운에 전통녹색기술 접목하자
동아사이언스
l
2015.01.14
못에서 찾는 현대적 가치 친환경 에너지 타운에서 에너지 자립에 해당하는 영역은 이미
고도
화된 기술과 시스템을 도입해 연구와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문화 및 관광 자원화를 통한 공간적 변화는 쉽지 않다. 그 이유는 새로운 공간을 탄생시키기 위해서는 그 지역의 문화를 바탕으로 모두가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회]
2014.12.29
업무를 보는 것 같은 평범한 멀티태스킹이 아니라 하나도 제대로 수행하기 힘든
고도
로 전문적인 직업 두 가지를 병행하는 삶을 살았다. 즉 동물의 뇌를 연구하는 신경과학자이면서 정신과 임상의로도 활동했다. 1954년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태어난 두프는 맥길대를 졸업한 뒤 미국 하버드대에서 ... ...
[MATH] 피라미드에 얽힌 이집트의 수학이야기! 작도와 왕도
KISTI
l
2014.12.29
완성했다고 한다. 외부를 장식하는 돌과 돌 사이의 빈틈은 기껏해야 0.5mm 정도일 만큼
고도
의 기술로 만들어졌으며, 피라미드라는 이름은 그리스어의 피라미스(pyramis, 세모꼴의 빵)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이집트의 건축가들은 엄청난 크기의 피라미드를 똑바로 세우기 위해서 피라미드의 설계도를 ... ...
아프리카 말라위 토양 분석해 인류 지능의 기원 캔다
2014.12.19
만들기 어려웠을 것으로 추정되는 정교한 물건이 자주 발견된다. 후기석기시대 사람들이
고도
의 지능을 가졌다는 뜻이다. 하지만 아프리카 고고학자들은 아직 후기석기시대가 정확히 언제 시작됐는지 근거를 찾아내지 못하고 있다. ● 석영에서 나오는 빛 입자 분석 동물의 뼈나 화석에서 ... ...
주택에서 타운까지 제로에너지!
동아사이언스
l
2014.12.17
년째 모니터링하며 시공과정에서 잘못된 부분을 보완하자 건물에서 필요한 에너지를 쓰
고도
오히려 남는 플러스 에너지 건물이 됐다”고 밝혔다. *본 콘텐츠는 녹색기술센터에서 발행한 < Green Tech. HORIZON> 4호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
말 많은 양자컴퓨터, 오해와 사실
IBS
l
2014.12.10
단골손님인 NASA와 군수 기업인 록히드 마틴, 구글이 D-Wave를 사용하는 곳의 전부다. 그러
고도
완전한 양자컴퓨터를 구현하지도 못했다. D-Wave는 양자 CPU에서 처리된 연산 결과를 외부의 컴퓨터가 다시 읽는 구조라 사실 '반만' 양자컴퓨터인 셈이다. D-Wave는 구조적으로 일반 워크스테이션에 큐비트 ... ...
제2의 석기시대를 지탱하는 신기술
IBS
l
2014.11.13
그러나 나노 수준의 다층박막, 초전도체와 강자성체 등 스핀 제어에 필요한 기술들이
고도
화되면서 스핀트로닉스도 실용화가 가능한 단계까지 발전했다. 현재 사용중인 고밀도 하드디스크도 스핀트로닉스가 적용된 제품이다. 스핀트로닉스를 응용한 논리 트랜지스터는 전하를 이용한 방법과 달리 ... ...
어느 줄기세포 학자의 비극적 죽음에 부쳐
2014.09.15
달랐는데, 단순히 신경세포, 내장세포로 분화하는 수준이 아니라 억제뉴런, 시신경 등
고도
로 분화한 세포로 분화하게 유도했을 뿐 아니라 조직과 심지어 신체기관을 만드는 연구까지 지평을 넓혔다. 특히 2011년에는 믿을 수 없는 연구결과를 연거푸 발표해 센세이션을 불러일으켰다. 먼저 ... ...
[채널A] 뇌수술 받으며 바이올린 연주…어떻게 가능할까
채널A
l
2014.09.15
: 장진우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신경외과 교수] 1mm 이내의 좌표를 찾아야하기 때문에
고도
의 기술이 따릅니다. 두피는 아프지만 뇌 자체는 통증을 느끼는 세포가 없기 때문에 통증을 못 느낍니다. 의료진들은 삽입된 위치가 정확한지 뇌와 손의 실시간 반응을 확인하기 위해 바이올린을 켜게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