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academe
학구생활
스페셜
"
학계
"(으)로 총 697건 검색되었습니다.
백두산은 과연 어떻게 생겨났나?... BMW vs 판구조론 격돌
동아사이언스
l
2017.09.27
지구물리학과 다펑 자오(Dapeng Zhao) 교수의 '빅 맨틀 쐐기(Big mantle wedge, 이하 BMW) 모델'이
학계
에서 가장 유력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런데 이번 학술회의에서 BMW 모델의 허점이 제기된 데 이어, 인도와 유라시아판의 충돌에 의한 백두산 생성 가설도 새롭게 등장하면서 토론이 거세지고 있다. ... ...
지금 현재를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방법
2017.09.09
마인드 컨트롤을 잘 하게 된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었다(Eberth & Sedlmeier, 2012). 최근 심리
학계
에서 가장 활발한 연구 분야 중 하나이기도 하다. GIB 제공 나의 경우 눈을 감고 있는 건 조금 답답하게 느껴지고 잘 안 맞아서 산책을 하면서 나뭇잎 하나하나를 살펴보거나 최근에 배운 뜨개질을 하면서 ... ...
‘나 혼자 산다’ 미코 김사랑의 ‘묵언수행’이 어색한 이유는?
2017.07.05
혼을 내는 건 절대 해서는 안 되는 일이다. 비고츠키의 혁신적인 아이디어에 소련의 심리
학계
는 반감을 드러냈다. 이런 관점은 스탈린의 전체주의를 위협하는 반동적인 사상이라며 공산당이 공개비판을 계획하기에 이른다. 1934년 비고츠키가 결핵으로 불과 38세에 사망하면서 실현되지는 않았지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 정복한다는 신약, 세상에 나오지 못 하는 이유
2017.05.10
기고한 부고에서 “생어 같은 과학자는 (보고서와 논문을 끊임없이 써야하는) 오늘날 과
학계
풍토에서는 살아남지 못할 것”이라고 썼다. 과학자들이 호기심에 이끌려 살았던 좋은 시절은 결코 다시 오지 못할 것이라는 예감이 든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 ...
'랩온어디스크'로 질병 진단의 기초 세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4.05
소변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암을 진단한다는 뜻이다. 암은 어떻게 전이되는 것일까.
학계
는 오래전부터 암 세포가 혈관을 따라 흐르다가 다른 곳으로 옮겨가 전이암이 발병한다고 여겼다. 하지만 혈액 속에서 CTC같은 암 관련 세포를 찾는 것이 쉽지 않았다. 혈액 1mL에 적혈구는 수십억 개, 백혈구는 ... ...
봄 타는 식물, 꽃 피우는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17.04.05
동안은 개화 유전자 발견 연구 성과가 봇물을 이뤘다. 10여 년간 10여 종의 개화유전자가
학계
에 보고됐지만, 루미니디펜던스를 포함해 이 유전자들 모두 플로리겐이라는 증거는 찾지 못했다. 플로리겐의 정체는 1995년 독일 데트레프 바이겔 교수와 일본 타카시 아라키 교수가 FT(Flowering Locus T ... ...
11만 년 전 동아시아에는 머리가 아주 큰 사람이 살았다
2017.03.14
서술하고 있는 논문과는 달리 같은 호에 실린 기사의 분위기는 이번 발굴에 대한 고인류
학계
의 흥분을 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영국 런던자연사박물관의 고인류학자 크리스 스트링어는 “논문 저자들을 뺀 모든 사람들이 이 두개골이 데니소바인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한다. 영국 런던대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들은 얼마나 똑똑할까
2017.02.28
언급하고 있다. 그런데 한 세대 전까지만 해도 일본 영장류학자들은 서구인 중심의
학계
에서 제대로 인정받지 못했을 뿐 아니라 놀림을 받기도 했다고 한다. 즉 일본 연구자들은 침팬지나 일본원숭이에게 사람처럼 각자 이름을 지어줬는데 서구의 저명한 영장류학자들은 “이런 싸구려 감상주의에 ... ...
[2016년 사라진 과
학계
별들](18) 샤프론 단백질 분야를 개척한 수전 린드퀴스트
2017.01.02
8년 초파리를 대상으로 한 실험 결과가 ‘탈수로화’란 진화가설을 입증했다고 주장해서
학계
의 주목을 받았다. 초파리에서 Hsp90에 문제가 생기면 기형 개체들이 나오는데, 린드퀴스트는 여기에 어떤 패턴이 있음을 간파했다. 즉 임의의 돌연변이가 아니라 이미 존재했던 변이가 드러난 것처럼 ... ...
[사이언스 지식IN] 고양이가 조류독감에 걸렸다고요?
동아사이언스
l
2016.12.31
합니다. Q2. 다른 나라에서도 고양이 조류독감 감염 사례가 있나요? GIB 제공 생각보다
학계
에는 여러 사례가 보고 돼 있었습니다. 조류독감 H5N1형 바이러스 감염 사례가 가장 많았고, 현재 우리나라에서 유행하고 있는 H5N6형 바이러스 감염 사례도 종종 발견 됐습니다. 고양이가 조류독감 H5N1형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