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academe
학구생활
스페셜
"
학계
"(으)로 총 697건 검색되었습니다.
[타운이 만난 사람들-명사편] 시장을 움직이는 혁신, 아이디어와 기술에서 나옵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7.22
않는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남미의 반대 사례가 미국이나 독일, 일본처럼
학계
와 산업계가 긴밀하게 연결된 나라입니다. 이런 나라들에서는 학술적 성과와 경제적 성과가 함께 성장하지요. 결국 좋은 기술이 있더라도 사업화하지 않으면 경제에는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이야기입니다. ... ...
요거트의 상징 메치니코프 타계 100주기: 선천면역에서 프로바이오틱스까지
2016.07.12
것이다. 세균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로베르트 코흐 등장으로 미생물학을 이끄는 독일 과
학계
는 우리 몸에 아메바 같은 세포가 있어서 병균을 잡아먹는다는 메치니코프의 설명을 받아들이기 어려웠다. 이런 와중에 독일의 과학자들은 오늘날 적응면역으로 불리는 면역현상을 발견했고 이를 ... ...
미지의 뇌 연구: 기억과 의사결정, 시간 지각의 비밀을 찾아서
IBS
l
2016.04.04
‘해마(hippocampus)’라는 부위에서 관장한다고 알려졌지만, 그 구체적 과정에 대해서는
학계
에서 이견이 분분하다. 정 부연구단장 연구팀은 해마에서의 정보 처리 과정에 대해 기존 이론과는 다른 독창적인 이론을 갖고 있다. “우리는 해마 중에서도 정보가 처음 들어오는 부위인 ‘치상(dentate gyrus ... ...
만물의 중매쟁이 촉매, 환경 지키는 구원투수로 나선다
IBS
l
2016.03.31
표면적이 넓은 탄소다공체에서 공기 중 산소와 반응해 물을 부산물로 남기게 된다.
학계
에서는 수소연료전지의 환원극에서 산소 환원반응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촉매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돼 왔다. 특히 백금 촉매는 고가라서 전지의 경제성 확보에 큰 부담이 돼, 많은 연구자들이 그 함량을 ... ...
10파운드 지폐 인물이 된 스코틀랜드 신사임당은 누구?
2016.03.28
여건 아래에서 메리 소머빌은 점차 스코틀랜드 지식층에 알려지게 된다. 당시 영국 수
학계
는 뉴턴의 유율법을 고집하며 대륙의 미적분학을 받아들이지 않아 많이 뒤쳐진 상태였고 몇몇 수학자들이 본격적으로 대륙의 수학을 도입하려는 시점이었다. 왈라스 교수도 이런 사람 가운데 하나로 그가 ... ...
[석기(石器)의 재조명] 인간을 인간답게 만든 것은 정말 ‘도구일까’
2016.03.21
두 사람의 공저는 한 편도 안 보였다. 같은 과에 있으면서도 서로 다른 주장을 펼치는
학계
의 라이벌이 확실한 것 같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 ...
영국 과학, 스타일이 살아있네~
2016.02.23
역사학자이자 저술가인 리사 자딘이다(자딘의 삶과 업적에 대해서는 ☞[2015년 사라진 과
학계
별들](19)생명윤리 정책에 영향을 준 역사학자 ‘리사 자딘’ 참조). 이런 과정을 거쳐 이 기술이 안전하다고 판단한 HFEA는 2012년부터 대중을 상대로 MRT의 사회적, 윤리적 함의를 논의했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 ...
[2015년 사라진 과
학계
별들](16)16세에 논문을 발표한 ‘에릭 데이비슨’
2016.01.06
데이비슨(Eric Davidson)은 한술 더 떠 열여섯 살 때 단독저자로 논문을 발표하며 일찌감치
학계
에 데뷔했다. 데이비슨은 1937년 뉴욕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모리스는 유명한 화가로 여름이면 프로빈스타운에서 여름예술학교를 열었다. 여기서 펜실베이니아대의 세포생리학자 헤일브룬 교수의 ... ...
두피ㆍ모발 고민 타파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1.04
도움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검은 머리카락을 많이 나게 하는 효과에 대해서는
학계
에서 검증되지는 않았다. 운동도 도움이 된다. 운동은 혈관을 튼튼하게 해 두피에 영양공급을 원활하게 하고 세포분열을 촉진에 모발이 잘 자랄 수 있게 돕는다. 스트레스 관리도 필요하다. 스트레스가 흰머리를 ... ...
[2015년 사라진 과
학계
별들](13)세포의 신호전달체계를 밝힌 세포생물학자 '앨런 홀'
2016.01.03
하며 암의 세포생물학을 이끈 중견의 두 과학자가 불과 세 달 간격으로 세상을 떠나 관련
학계
의 동료들을 탄식하게 했다. 미국 메모리얼슬로언케터링암센터의 앨런 홀(Alan Hall) 교수와 영국 암연구소의 크리스토퍼 마셜(Christopher Marshall) 박사다. 앨런 홀/ - 메모리얼슬로언케터링암센터 제공 1952년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