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주"(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 오늘날의 로봇과학동아 l1992년 07호
- 사물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해 주었다. 현재 카네기멜론대학의 로봇공학센터에서는 우주 탐사선 밖으로 나가 탐사선의 외부를 살펴본 후 보수정비를 수행할수 있는 로봇을 제작중이다. 또한 서호주 대학교에서는 가사노동에 더 밀접한 것으로 양털깎는 로봇개발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로봇이 ... ...
- 바다는 이산화탄소의 거대한 저장탱크과학동아 l1992년 07호
- 여유분을 다 사용하고 나면 어떻게 될 것인가.아마 지구는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우주의 오아시스 푸른 행성이 아니라 금성처럼 이산화탄소층으로 뒤덮여 수백도가 넘는 지옥으로 변할 것이다. 당장 대기에 잔류하는 이산화탄소 때문에 어쩔줄 몰라하는 마당에 몇천년 후를 생각할 여유가 어디 ... ...
- 인류의 미래 형상화한 NASA 우주개발 캘린더과학동아 l1992년 07호
- 쏘아올리는 인공위성을 방해하기 때문에 회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위성에 잡힌 우주쓰레기는 처분궤도에 모아진다.11월/태양계 제1의 화산화성 올림푸스 산의 높이는 약 27km. 태양계에서는 가장 큰 순상화산으로 알려져 있다. 지름이 64km나 되는 칼데라를 갖고 있는 이 화산을 인류가 방문할 ... ...
- 한국신경과학학회 초대회장 박찬웅과학동아 l1992년 07호
- 남겨놓은 최후의 미개척지는 어디일까. 혹자는 '이제 과학자에게 남겨진 과제는 우주의 비밀을 밝히는 것과 인간 뇌 기능을 이해하는 것' 뿐이라고 단언한다. 이 언명에 무게를 더하듯 미국의 부시대통령은 20세기의 마지막 10년을 뇌연구의 기간으로 선포했고 서방선 진 7개국의 정상들도 이미 ... ...
- 은하의 신비를 찾아서과학동아 l1992년 07호
- 수많은 별들이 탄생하고 또 죽어가는 우주공간. 그 속에서 별들은 무리를 지어 은하를 형성하고, 은하들은 집단을 이루어 은하단을 만들고 또 은하단은…. 이 거대한 우주질서는 어떻게 형성됐으며 어떤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일까? ...
- 1 우리 은하 태양도 초속 220㎞로 은하중심을 돈다과학동아 l1992년 07호
- 본격적인 연구는 1950년대 이후 전파천문학의 발달과 더불어 시작되었다. 전파천문학은 우주로부터 오는 전파를 TV방송국에서 볼 수 있는 접시모양의 안테나와 비슷한 전파망원경을 이용해 관측연구하는 학문이다. (사진3)은 미국 국립전파천문대에 있는 총 27개의 지름 14m 전파망원경으로 구성된 VLA ... ...
- 지구의 질량은 어떻게 잴까?과학동아 l1992년 07호
- 중력가속도를 이용해 지구의 질량을 계산해보고 인공위성이 지구궤도 위를 도는 원리를 알아본다.지난 6월호에서 공부한 내용을 간단히 복습해 보자.힘을 F, 질량을 m, 가속도를 a라 하면 뉴턴의 운동법칙은 방정식 F=ma (1)로 주어진다.뉴턴의 만유인력법칙에 따르면 질량이 각각 ${m}_{1}$, ${m}_{2}$인 두 ... ...
- 3 그림으로 보는 우주구조 우주는 과연 끝이 없는가과학동아 l1992년 07호
- 그림 1).여기에서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수억광년에 이르는 은하들의 거대구조가 우주에 존재한다는 것이다. 어떻게, 누가 그 큰 구조물을 만들었을까? 이것 또한 현대 천문학자들에겐 커다란 미해결 문제로 남아 있다 ... ...
- 4 은하 관측법 달 표면에 천문대를 세워라과학동아 l1992년 07호
- 관측 장비의 전부다. 우주시대를 맞이하여 이 글을 읽고 있는 독자들을 포함해 국민들의 우주에 관한 관심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도 세계에 내놓아 손색이 없을 만한 장비를 빠른 시일 안에 보유하기를 희망 한다 ... ...
- 1 제철용 코크스에서 우주정거장까지 날로 확대되는 탄소의 영역과학동아 l1992년 07호
- 형태로 변형함으로써 철을 생산하고, 알루미늄을 만들고, 원자력을 사용하게 했으며, 우주로의 여행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와 같이 탄소재료는 지금까지의 인류발달과 풍요로운 문명세계를 이루게 하였다 ... ...
이전6066076086096106116126136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