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태
상황
현황
정세
사정
페노메논
실태
뉴스
"
현상
"(으)로 총 6,822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를 듣는다 1] “낙후된 중소기업과 교육 살려야”
2015.03.22
해야 한다고 보십니까. “과학기술은 일상생활에 사용되는 물건을 만들어 내거나 자연
현상
을 탐구하는 것만으로도 가치가 있지만, 과학적인 사고방식이라는 문화를 만들어낸다는 점에서 대단히 중요하다고 봅니다. 제가 만나본 과학자들은 늘 진지하고 허위가 없고 정직했습니다. 학문의 성격을 ... ...
신생아 ‘조절 T세포’ 효과 첫 입증
2015.03.20
쥐에 갓 태어난 쥐의 조절 T세포를 주입했다. 그 결과 장기 손상 정도가 급격히 줄어드는
현상
을 확인했다. 반면 성체 쥐에서 얻은 조절 T세포를 주입했을 때에는 증상이 호전되지 않았다. 동일한 조절 T세포라고 해도 성인보다는 신생아의 조절 T세포가 면역 조절 기능이 더 뛰어나다는 사실이 처음 ... ...
[기자의 눈/김윤종] ‘책따’ 교실에도 희망이 있었다
동아일보
l
2015.03.19
우리의 자화상을 안타까워하고 고치길 바라는 사람이 그만큼 많다는 뜻이다. ‘책따’
현상
을 전하면서 생긴 답답함이 많이 사그라드는 순간이었다. 한 손에 스마트폰 대신 책을 든 모습이 ‘엣지’ 있고 ‘쿨’해 보일 수 있게 머리를 맞대야 할 시점이다. 김윤종기자 zozo@donga.com [화제의 뉴스] - 10 ... ...
아토피, 천식…난치성 알레르기 질환 완치되나
2015.03.18
받는 방식이다. 김 교수는 “조절B세포와 비만세포의 결합에 따른 알레르기 질환 억제
현상
을 규명한 것은 세계적으로 처음”이라며 “음식 알레르기, 아토피 피부염 등 알레르기 질환 치료를 위한 다양한 임상연구에 적용가능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과학 학술지 ‘사이언스’의 ... ...
암 전이 환경 그대로 모사하는 ‘인공 세포막’ 개발
2015.03.18
달라지면 주고 받는 신호물질 역시 달리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암 전이
현상
에 대한 명확한 이해 뿐 아니라 예방과 치료를 위해 중요한 전기를 마련했다”며 “TNT 멤브레인은 암전이 연구뿐 아니라 줄기세포, 신경세포를 연구하는 데도 응용할 수 있는 원천기술”이라고 설명했다. ... ...
광자 한꺼번에 ‘순간이동’ 성공
2015.03.17
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아냈다. 정현석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팀은 ‘양자 얽힘’
현상
을 이용해 다수의 광자를 양자 순간이동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아냈다고 물리학 분야 권위지 ‘피지컬 리뷰 레터스’ 17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양자 순간이동이란 양자정보를 한 곳에서 사라지게 한 뒤 ... ...
신용카드보다 얇은 배터리 나왔다
2015.03.17
그리고 양극 간 격벽을 만들어 배터리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합선, 전압강하 등의
현상
을 없애는 데 성공했다. 최종적으로 완성한 배터리는 두께가 약 0.5㎜로 신용카드의 60% 정도에 불과해 카드 형태의 초소형 모바일 기기에도 내장할 수 있다. 실험 결과 5000번 이상 구부려도 본래 성능이 유지돼 ... ...
요즘 교실, 기막힌 ‘책따’
동아일보
l
2015.03.17
장난 삼아 방해를 하는 등 책에 대한 경시 풍조가 두드러진다”고 설명했다. ○ ‘책따’
현상
마저 동아일보 취재팀이 2월 3∼6일 서울 시내 중학생 97명을 대상으로 독서할 때 친구들의 반응과 행태를 설문조사한 결과 ‘굳이 왜 책을 보느냐며 놀렸다’(11명), ‘굳이 책 읽는 모습을 보여주지 ... ...
드라마 ‘스샷’ 찍듯 단백질 반응 찍는다
2015.03.17
㎛) 크기의 작은 물방울에서는 생화학 반응 속도가 평소보다 1000배 정도 빨라지는
현상
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 방법을 통해 3㎲의 정밀한 시간분해능으로 단백질 반응과정을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남 단장은 “이전까지 보기 어려웠던 초고속 단백질 활동을 관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 ...
6억 년 전 해면 동물 화석 발견
2015.03.16
마트료시카 인형에서 따온 말로, 배아 안에서 별도의 작은 세포 덩어리가 분열하는
현상
이 확인된 것. 따라서 메가스페라는 현생 동물의 먼 조상이거나 별도의 계통을 밟은 복잡한 다세포 진핵생물이라고 저자들은 추측했다. 브레이저 교수는 ‘다윈의 잃어버린 세계’에서 에디아카라 생물군을 ... ...
이전
606
607
608
609
610
611
612
613
6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