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태
상황
현황
정세
사정
페노메논
실태
뉴스
"
현상
"(으)로 총 6,822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의 그 많은 물은 다 어디서 왔을까
2015.02.09
끓는점인 100도 밑으로 내려왔을 때는 이미 물분자들이 다 흩어진 상태였다는 것. 이런
현상
은 지구 근처에 있는 금성과 화성에서도 마찬가지로 일어났다. 그러나 태양계 형성 초기에도 화성과 목성과 사이에 있는 지점을 분기점으로 해서 그 너머에는 수증기가 얼음으로 응축할 정도로 충분히 ... ...
양자역학에 나비효과는 없다
2015.02.08
1980~90년대는 중시계가 양자물리학의 가장 중요한 주제였다. 고전역학에서 카오스는 흔한
현상
이지만, 양자역학에는 카오스가 없다. 중시계는 양자역학과 고전역학 모두를 고려해야 하는 영역이기에 카오스는 피할 수 없는 문제였다. 고전역학으로 생각하면 도체 내의 자유전자는 여러 다른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공기방울 실시간 관찰 성공
2015.02.08
“나노공기방울에 대한 연구는 기체의 발생 및 전달을 포함하는 다양한 자연
현상
과 생명활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네이처’의 자매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2일자에 실렸다. 나노공기방울을 관찰하는 과정에서 액체 사이를 기체가 직접 이동하는 ... ...
테크노마트 진동과 인간의 본능
2015.02.08
왜 사람들이 무의식적으로 보조를 맞춰 걷게 됐으며, 다리가 흔들리고 있음에도 공진
현상
이 일어나는 진동수로 보행을 계속했는지 논문에서 설명하려고 했다. 영국 런던에 위치한 밀레니엄 브릿지. - Jan Kameníček 제공 연구진은 밀레니엄 다리의 구조가 강철 케이블로 연결된 트레드밀(러닝머신 ... ...
인터넷 100배 빨라지고 뇌 혈관 손금처럼 본다
2015.02.05
상태를 시각화할 수 있는 새로운 영상기법이다. 강한 자기장을 걸어 몸이 공명하는
현상
을 촬영하는 기존 자기공명영상(MRI) 촬영에 비해 인체 고유의 신호를 이용하는 만큼 훨씬 정밀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이 미래에 첨단 의료 영상기술로 자리잡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
고효율 자가발전 연료전지 성능 UP!
2015.02.04
표면에서 약 1만 배 빠르게 움직이는 것을 발견했다”며 “기본 원리를 확인한 만큼 이
현상
을 이용하면 앞으로 더 우수한 연료전지를 개발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성과는 화학분야 국제학술지인 ‘앙케반테 케미’ 지난달 28일자에 게재됐다. ... ...
우유 마시는 사람은 '어른아이'
2015.02.04
“우유를 못 마시는 사람들이 걱정 없이 마실 수 있는 우유”를 사서 마십니다. 재미있는
현상
은 우유 마시기가 세계화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마치 맥도날드와 스타벅스처럼 우유 마시기 역시 ‘발전’이라는 탐나는 개념과 패키지 상품이죠. 지난 10년간 전세계에서 우유의 소비량이 가장 크게 ... ...
광합성 하는 달팽이를 소개합니다
2015.02.04
처음이다. 이렇게 다른 생물 종간에 유전자가 이동하는 일은 세균에서는 흔히 일어나는
현상
이다. 연구팀은 “생물은 다른 생물에게 유전자를 얻는 방식으로 원하는 형질을 보다 쉽게 얻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생물학 보고(Biological Bulletin)’ 12월호에 실렸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늑대복원, 정말 필요할까
2015.02.02
악역으로 나온다. 특히 목축 문화권에서는 늑대로 인한 피해가 만만치 않았고 이런
현상
은 지금도 마찬가지다. 실제 지난 2011년 학술지 ‘생태환경경계’에 캐나다 앨버타 주에서 늑대 한 무리(열 마리 내외) 당 매년 평균 소 17마리를 죽인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기도 했다. 참고로 앨버타 주에는 ... ...
30년간 이론에만 존재하던 양자컴퓨터 소재 드디어 개발
2015.02.02
초단간극 탄도성 조셉슨접합으로 볼 수 있는 전류 특성이 나타났다. 온도에 따라 초전도
현상
을 유지하는 임계전류값이 변하는 특성 등 이론적으로 예측했던 소재의 물리적인 특성과 동일하게 나타난 것이다. 이후종 교수는 “이 소재를 이용해 원자 단위의 소자 구조 제어는 물론 그래핀을 ... ...
이전
610
611
612
613
614
615
616
617
6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