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태
상황
현황
정세
사정
페노메논
실태
뉴스
"
현상
"(으)로 총 6,822건 검색되었습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한결 같은 메탄올 연료전지
2014.12.17
국내 연구진이 에너지 문제와 환경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연료전지 기술을 한 단계 더 진보시키는데 성공했다. 성영은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 ... ‘사이언티픽 리포트’ 12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일산화탄소 피독
현상
이 제거되는 메커니즘. - 기초과학연구원(IBS) 제공 ... ...
100만 분의 1초 존재했다 사라지는 화합물의 결정구조 밝혔다
2014.12.16
전달하는 사실도 확인했다. 남 교수는 “수퍼옥소는 광합성 같은 기초적인 생명
현상
에서부터 항암제와 플라스틱 제조 공정 등 다양한 분야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면서 “수퍼옥소의 구조와 작동 원리를 이해하면 이들 화학반응을 제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 ...
해장술은 정말 숙취해소 효과가 있을까
2014.12.15
숙취와 비슷한 증상이 나타난다. 또 기억력도 떨어지는데 역시 과음할 때 나타나는
현상
이다. 한편 편두통과 숙취도 증상이 겹치는 면이 있다. 편두통 발생은 염증반응관련 생체분자인 프로스타글란딘의 농도가 증가하는 것과 관련이 있어 프로스타글란딘의 작용을 억제하는, 항염증 약물인 ... ...
‘2014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 함시현-임혜숙-유향숙
2014.12.15
과정을 찾아내고 단백질의 응집 성향을 90% 정확도로 예측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또 응집
현상
을 분자 수준에서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해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공학 부문 수상자인 임 교수는 차세대 인터넷 통신망 장비의 핵심 부품인 패킷 전달 칩(엔진)의 고속화를 위한 알고리즘과 하드웨어 ... ...
66년 만의 오마주 ‘21세기 생명이란 무엇인가’
2014.12.14
물리학, 천문학 등 모든 과학을 총동원한다. 또 생명
현상
의 단편을 소개하기보다 생명
현상
전반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생명과학은 이렇게 배우고 가르쳐야 한다’를 알게 해줄 책과 함께 세상, 우주, 인간 그리고 나를 이해하기 위한 생물학 산책을 떠나보자. ... ...
몸속에서 뺏고 빼앗는 ‘철(Fe)의 전쟁’
2014.12.14
철(Fe)은 매우 중요한 물질이다. 생명
현상
을 유지할 에너지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전자를 받는 수용체이며 DNA를 합성할 때는 조효소로 작용한다. 사람 몸에 들어온 세균의 경우 철을 얻기가 매우 힘들다. 이 때문에 세균이 선택한 전략은 바로 ‘해적질’. 표면에 ‘TbpA’라는 ... ...
성체줄기세포만 쏙쏙 찾는 기술 나왔다
2014.12.09
2개 중 줄기세포가 될 1개에만 ‘불멸의 유전정보’를 전달하는 ‘비대칭적 자기 복제’
현상
이 나타난다. 유전정보를 받지 못한 딸세포는 죽고 만다. 연구진은 딸세포 중 어느 쪽에 불멸의 유전정보를 전달하는 지 밝히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불멸의 유전정보를 지닌 딸세포에는 ... ...
왜 나쁜 기억은 잘 잊혀지지 않을까
2014.12.09
남아 문득문득 떠오르기도 한다. 1949년 캐나다의 심리학자인 도널드 헵은 이런
현상
을 설명하기 위해 ‘헤비안 가소성’이라는 학설을 내 놓았다. 신경세포인 뉴런 사이가 얼마나 단단하게 연결됐느냐에 따라 기억이 남는 정도가 달라진다는 것이다. 이 가설은 그동안 동물실험을 통해 사실임이 ... ...
미래에너지 직업 현장을 찾아서
동아사이언스
l
2014.12.09
밀물 때 밀려드는 바닷물의 힘으로 발전기를 돌려 전기를 생산한다. 매일 일어나는 조석
현상
을 이용하기 때문에 자원 고갈의 걱정이 없고, 오염물질 배출도 없기 때문에 세계적으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조력발전에 유리한 지형을 갖추고 있으며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 ...
[신나는 공부]공부의욕 불태운 비결은?… 목표와 흥미!
동아일보
l
2014.12.09
붙이자 자연히 성적도 올랐다. 호기심은 꿈도 찾아줬다. 동아리 활동을 하며 생긴 과학
현상
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각종 강의와 캠프에 참여했다. 대학 전공자들이 분과별 강의를 진행하는 교내 프로그램에서 의학, 약학 수업을 들으며 생명공학에 관심을 가졌다. 고2 겨울방학 때 친구들과 ... ...
이전
614
615
616
617
618
619
620
621
6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