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태
상황
현황
정세
사정
페노메논
실태
뉴스
"
현상
"(으)로 총 6,822건 검색되었습니다.
초기 배아에서 마이크로RNA 조절
현상
최초 규명
2014.11.23
알아냈다. 김 단장은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초기 배아단계의 중요한 생명
현상
을 이번에 새롭게 밝혔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생명과학 분야 권위지인 ‘셀’의 자매지 ‘몰레큘러 셀(Molecular Cell)’ 13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농작물이 지구 이산화탄소 순환에 미치는 영향 ↑
2014.11.20
대기 순환에서 농작물이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면 할수록 온난화를 비롯한 기상
현상
에 미치는 인위적인 변수가 커진다. 크리스 쿠차릭 위스콘신-매디슨대 농업생명과학과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인간 활동이 지구의 대기 조성에 미치는 영향이 점점 커져가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 ...
퀀텀닷 대량 생산 기술 첫 개발
2014.11.19
발생시키자 불순물이 없는 양자점만 용매 쪽으로 흐르는
현상
이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
현상
을 자동화 공정에 적용해 양자점 분산액을 연속적으로 얻을 수 있는 새로운 공정 기술을 개발했다. 김 박사는 “과거에는 대량의 화학 용매가 필요했지만 이 기술은 공정 전반을 자동화 할 수 있고 용매 ... ...
[전문가들에게 물어봤습니다, 수능 생명과학II 8번 논란]
2014.11.17
수능 과학탐구 생명과학Ⅱ의 8번 문제는 ‘대장균이 젖당을 분해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현상
’을 묻는 질문이다. 이 문제를 차근차근 짚어 보며 무엇이 논란인지 정리해 본다. ●무엇에 관한 질문인가 먼저 문제 첫 줄에 등장하는 ‘야생형 대장균’은 돌연변이 대장균과 구분하기 위해 쓰는 ... ...
과학은 우울증의 안개를 걷어낼 수 있을까
2014.11.16
나왔기 때문이다. 번개는 구름 아랫부분에 전자가 쌓인 뒤 지상으로 떨어져 내리는
현상
으로 미국에서면 한해 약 2500만 번 정도 나타난다. 데이비드 롬프 UC버클리 지구및행성과학과 교수팀은 지구 전역의 평균 기온이 1도 상승할 때마다 번개가 12% 가량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 ...
영화 ‘인터스텔라’의 옥에 티, 찾아봤습니다
2014.11.14
보인다”고 설명했다. 중력렌즈 효과는 중력 때문에 빛이 직진하지 못하고 굴절하는
현상
을 말한다. 블랙홀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빛나는 띠도 물질이 블랙홀에 빨려 들어가는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다. 웜홀은 우주의 다른 공간으로 이동하는 유일한 수단이다. 손 교수는 1988년 회전하는 거대 ... ...
“성 행위 조절 단백질이 수면에도 관여”
2014.11.12
수면 항상성이란 잠을 자지 않으면 잠이 오고, 충분한 수면을 취하면 저절로 의식이 깨는
현상
을 말한다. 하지만 지금까지 수면 항상성이 어떻게 조절되는지는 밝혀진 바가 없었다. 김영준 교수팀은 초파리 암컷이 가진 SPR(SP수용체, Sex Peptide Receptor)이 초파리 수컷의 정액에 든 단백질인 SP와 ... ...
녹조 광합성이 방사능 물질 제거한다
2014.11.12
햇빛을 이용해 광합성을 하는 과정에서 방사성 물질인 스트론튬을 대폭 감소시키는
현상
을 처음 발견했다고 12일 밝혔다. 연구팀은 ‘클로렐라 불가리스(Chlorella Vulgaris)’ 라는 이름의 미세조류가 광합성을 할 때 물속의 탄산 이온과 방사성 스트론튬 이온 간의 결합을 촉진시켜 세포 표면에 ... ...
꼬리 달린 소행성 발견, 벌써 13번째
2014.11.12
태양풍에 의해 혜성에서 가스나 미세 입자가 태양의 반대 방향으로 방출되면서 생기는
현상
이다. 이번에 발견된 것은 13번째 활동적 소행성이다. 연구진은 화성과 목성 사이 소행성대에 이런 천체가 약 100개 정도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셰퍼드 박사팀은 칠레에 있는 제미니 천문대에서 ... ...
“만성신장질환의 원인은 유해 중금속 납”
2014.11.10
인지질 성분이 세포막 표면으로 나오는데, 적혈구의 노화 때도 같은
현상
이 나타난다. 연구팀은 또 이 적혈구가 비장 이외에 신장에서도 파괴된다는 사실을 새로 밝혀냈다. 신장에 있는 신세뇨관 세포가 표면이 변한 적혈구만 찾아 먹어 버리는 방식이다. 이때 파괴된 적혈구의 헤모글로빈 ... ...
이전
617
618
619
620
621
622
623
624
6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