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북한 핵실험, 이제는 바다에서도 정밀 측정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쉽지 않아 사실상 지진파 측정과 감시가 어려웠다.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 미국이 주도하는 국제지진계네트워크(GSN)가 대양 깊은 해저에 측정 장치를 설치하는 프로젝트를 가동했다. ‘네이처’ 3월 12일 보도에 따르면, 이 프로젝트는 크게 두 가지로 구성돼 있다. 먼저 진파 측정 장비를 ... ...
- “최고 과학자들과 협력하는 것이 돈 버는 비결”과학동아 l2014년 04호
- 교수직은 따분하기만 했다. 그는 새로운 일에 도전하게 위해 4년 만에 교수직을 관두고 미국 국가안보국(NSA) 암호해독관으로 일했다.“NSA에서 일할 때도 근무시간의 반은 암호 해독을 했고, 반은 수학 연구를 했습니다. 제가 암호를 해독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내면 프로그래머들이 프로그램화해 ... ...
- 사소함에 담긴 디자인 철학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이들이 포스트잇이 없어서 고뇌와 회의에 빠졌다는 말은 들어본 적이 없다. 하지만 막상 미국의 기업 3M이 포스트잇을 만들어 발표하자 벌어진 일은? 책갈피는 물론, 게시판이나 메모장, 이름표, 편지지 등 상상도 못한 온갖 역할을 대신하는 것이었다. 대부분 작고 사소하고 개인적인 일을 정리하는 ... ...
- PART 1. 꽃이 없었다면, 지금 당신은 없다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서스만 교수는 “당시 생태계를 지배했던 꽃식물과 영장류가 공진화했다”고 2013년 미국 ‘영장류학저널’에 발표했습니다. 그에 따르면, 꽃나무들이 열매도 많고 오르기도 쉬운 울창한 숲을 만든 덕분에 영장류가 자유롭게 옮겨 다니며 곤충과 열매를 먹었습니다. 팔다리가 점점 길어졌고 어깨와 ... ...
- Part 2. 은하와 생명의 진정한 기원 드러나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날아온 정보들이 다 똑같다고 하니 수수께끼 같은 노릇이었다.이에 대한 해답으로 1980년 미국 MIT 물리학과 앨런 구스 교수가 내놓은 것이 바로 급팽창이론이다. 빅뱅 후에 굉장히 짧은 시간 동안 우주가 엄청나게 커졌다면 최초의 우주에 대해서 다 똑같은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것이 설명된다. ... ...
- 당신이 뚱뚱한 이유? 성격 때문이야~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우리나라 사람들의 성격 특성과 체질량 지수를 비교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밝혀내고, 미국 공공과학도서관 학술지 ‘플로스원’ 3월 5일자에 발표했다. 아시아인에서 성격과 비만의 관련성이 밝혀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일반적으로 살이 찌는 것은 많이 먹고 운동을 거의 하지 않는 등 생활습관의 ... ...
- [과학뉴스] 공대에 웬 커피과학?과학동아 l2014년 04호
- 같은 세부전공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이 곳이 첫 번째 커피연구소는 아니다. 이미 미국 텍사트A&M대에서 세계커피연구소를 세워커피농업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UC데이비스빌 라이스텐파르트 교수는 “커피센터에서는 커피콩에서 커피가 만들어지는 과정에 대해 자세하게 연구해 커피전문가를 ... ...
- 나무 아파트, 몇 층까지 지어봤니?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내진 테스트처럼 실제 화재에 얼마나 잘 견디는지 테스트가 필요하다. 캐나다는 4층, 미국은 5~6층 등 각국 정부는 여전히 목조 건물의 높이를 제한하고 있다. 박문재 과장은 “신라 선덕여왕 때 건립된 황룡사 9층 목탑은 높이가 81m에 이르렀으니 지금으로 치면 27층쯤 되는 고층 건물”이라면서 ... ...
- ‘유망주’ 싹 자르는 투수 혹사 잔혹사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있는 투수 중에 (투구수 제한 등의) ‘관리’를 받은 선수를 별로 못 본 것 같다”며 “미국의 경우 선수를 많이 쓰면 소모된다고 보기 때문에 투구수 관리를 강조하지만, 일본은 많은 투구가 투수를 ‘단련’을 시킨다고 보는 경향이 있어 상대적으로 문제삼지 않는다”고 말했다. 한국에서 어느 ... ...
- Robot 수학으로 생명을 불어넣다 !수학동아 l2014년 03호
- 활약할 로봇 기술의 가능성을 보여 줬다. 동물 로봇이 뜬다!보스턴 다이나믹스라는 미국의 로봇 회사에서는 네 발 달린 동물들의 걸음걸이와 여섯 발 달린 곤충들의 걸음걸이를 분석해서 로봇을 만드는 데 적용했다. 이를 바탕으로 시속 50km의 속도로 안정적으로 달릴 수 있는 치타 로봇이나, 여섯 ... ...
이전609610611612613614615616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