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억울
분통
원통
원기둥
분업
분장
분말
d라이브러리
"
분
"(으)로 총 8,206건 검색되었습니다.
완벽한 대칭미 갖춘 '최후의 만찬'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관념을 잘 보여준다. 이 그림에서 두 팔을 벌린 길이는 신장과 같으며, 두 다리를 신장의 4
분
의 1만큼 벌리고 팔을 뻗쳐 중지를 정수리 높이까지 올린 다음 원을 그리면 그 중심은 배꼽이 되며, 배꼽과 두 다리 사이의 공간은 정확한 이등변 삼각형이 된다. 다빈치는 이를 증명하기 위해 인체의 외곽에 ... ...
계속되는 NASA의 실패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공기저항으로 지구와의 교신이 끊기는 블랙아웃 현상이 일어난다. 그런데 폴라 랜더는 5
분
으로 예정된 블랙아웃 시간을 넘긴 후에 감감 무소식이었다. NASA는 폴라 랜더의 실패원인으로 탐사선이 착륙도중 3천℃가 넘는 마찰을 견디지 못하고 불탔거나, 착륙 도중 안테나에 이상이 생겼거나, ... ...
만약 전자 질량이 양성자와 비슷해진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제대로 수행할 수 없게 된다.그리고 양성자와 전자가 본연의 역할을 망각한 틈에
분
자는
분
자로서의 구조와 특성을 잃어버리고 우리 주위의 물질 세계는 거대한 혼돈으로 빠져들고 말 것이다.물은 물이다.그런데 물이 물인 이유는 전자가 겸손하게 자신의 크기를 인정하고 자신의 역할을 감사하게 ... ...
지구관측위성 아리랑1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1호 하나만으로 이만한 기술력을 확보했다는 것은 의미가 크다. 게다가 방송과 통신
분
야에서 갈수록 위성의 수요가 늘어남을 감안할 때 언제까지 실용위성의 개발을 남의 손에 맡길 수는 없는 노롯이다. 항우연이 아리랑 1호를 개발한 까닭은 멀리 보면 국내 위성뿐 아니라 외국의 위성까지 개발해 ... ...
솥 모양 해시계 앙부일구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있으므로 정확한 진태양시를 나타낸다. 날짜에 따라 진태양시와 평균태양시가 많게는 16
분
이상 차이가 난다. 결국 우리나라 표준시를 동경 135도를 기준으로 한 것과 진태양시와 평균태양시의 차이가 결합돼 앙부일구의 그림자가 보여주는 시간과 손목시계의 시간이 차이가 나는 것이다. 자연의 ... ...
실험실에서 블랙홀 만든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해당하는 고온을 만들어 왔다.실험은 Z머신의 중심부에서 아주 짧은 시간 동안(몇십억
분
의 1초) 1백만도 이상의 고온 상태를 만들어 여기에 은을 입힌 철을 넣는다. 원자핵 주위를 돌고 있는 전자들은 초고온으로 인해 떨어져 나가고, 철은 X선을 복사하는 초고온 플라스마가 된다. 중성자별에서 철이 ... ...
인터넷 집장만 10
분
이면 뚝딱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세우는 것과 같다. 개인 홈페이지라고 해서 자신의 소개를 나열하기보다는 흥미있는
분
야의 정보를 집중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좋다. 그렇다고 처음부터 너무 욕심을 부릴 필요는 없다. 주어진 테마에 대해서 조금씩 깊이 있게 다루면 된다.② 제작보다 관리가 중요처음 만들 때 못지 않게 관리가 ... ...
오리온과 함께하는 겨울의 대육각형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생각하고 망원경으로 천구면의 항성
분
포 밀도를 조사했다. 그 결과 별들이 원반모양으로
분
포하는 것을 발견, 은하계에 대한 초기 개념을 만들어내기도 했다.작은개자리는 쌍둥이자리 아래에서 은하수를 끼고 큰개자리와 마주하는 작은 별자리로 1등성 프로키온과 3등성 베타별 단 2개로 연결된 ... ...
첨단산업의 쌀 반도체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컴퓨터의 새로운 시대를 여는 기폭제가 됐다. 트랜지스터가 크기는 진공관의 2백20
분
의 1에 불과했으며 작동속도는 몇 배 빨랐고, 전력 소모도 훨씬 적었기 때문이다.진공관은 1904년 플레밍이 발명한 증폭기로 진공 유리관 속에 필라멘트와 전극을 마주보게 넣고 필라멘트를 가열해 만든 것이다. 194 ... ...
우리은하도 충돌했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함께 우리은하의 진화연구에 획기적인 공헌을 할 것으로 보인다. 천문학자들이 흥
분
하는 것도 바로 이 대목이다. 현재 궁수자리 왜소은하는 우리은하와 충돌을 시작하고 있는 단계로 알려지고 있다. 그리고 오메가 성단은 1백억년 전 우리은하와 충돌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결국 이번 발견으로 ... ...
이전
609
610
611
612
613
614
615
616
6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