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공학식품, 안심하고 먹을 수 있나?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있다.그들은 또 식물에 새로운 유전자를 주입하면 그 식물이 함유하는 독소(toxin)의
양
이 증가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뿐만 아니라 물고기에 포유류의 성장호르몬(유전공학적으로 제조된)을 투여하면 이 호르몬이 물고기를 섭취한 인간에게 전해져 예기치 않은 피해를 입을 수 있음을 경고하고 있다 ... ...
(3) 소프트웨어위기 타개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개발할 수 있다. 두번째는 인력 관리(man month)다. 사람이 한달동안 일하는 성과를
양
적으로 표현하고 이것을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기술적 측면으로 객체 모델링을 위해서는 먼저 공통된 속성(attribute)과 행동(behavior)을 가진 모듈을 객체(object)로 모델링하고, 객체들을 그룹핑하여 클래스(class ... ...
레이저에서 광컴퓨터로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레이저의 출현으로 한층 고무된
양
자광학의 세계는 이제 비선형광학으로 발생한 혼돈의 세계를 연구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만일 물리적 현상이 선형적(linear)이었다 ... 자매격인
양
자전자공학은 광통신과 레이저 재질, 동위원소분리 같은 공정기술 등에서 다
양
하게 발전하고 있다 ... ...
하이브리드 자동차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자동차가 씽씽 달리지 못하고 교통혼잡 때문에 오래 한 곳에 머물게 되면 더 많은
양
의 유해 배기가스가 배출됨은 말할 나위 없다. 실제로 서울에서도 상습정체지역의 오염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그렇다면 정체가 심한 곳에서는 비록 속도를 내는데는 불리하지만 청결한 전기에너지를 ... ...
햇볕없는 곳에서도 신나게 달리는 태
양
에너지 자동차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배기가스를 전혀 내뿜지 않는 태
양
에너지자동차는 변속기도 없이 도로를 달린다.지구 표면에 도달하는 태
양
에너지는 1㎾/㎡에 이른다. 현재 이 ... 활발히 추진되고 있으나 저가격 고성능 부품개발 등 기술적인 발전이 이뤄진다면 태
양
에너지자동차의 시대가 멀지않은 장래에 열릴 것이다 ... ...
1992를 해부하라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아직도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다. 3. ① 시작부터 틀렸다. ${e}^{x}$은 0에서 ∞의 값을 갖는
양
의 함수이므로 ${e}^{x}$=-1 을 만족하는 수는 없다. 즉 (${e}^{-∞}$=0) 0 ...
(1) 컴퓨터를 가전제품처럼 쓸 수 없을까?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이상에서 본 것과 컴퓨터의 사용을 쉽게 하기 위하여 매우 다
양
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가 결실을 맺게 되면 누구나 좀 더 쉽게 컴퓨터를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컴퓨터를 쓰기 쉽다는 상태의 극치는 컴퓨터의 존재를 느끼지 않게 되는 경지에 도달하는 ... ...
생활주변에서 소재 찾으면 누구나 발명가 될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받아 가시가 돋은 철사, 즉 철조망을 만들어 목장 울타리를 만들어 보았다. 성공이었다.
양
은 단 한 마리도 철조망을 통과하지 못했다. 조셉부자는 철조망을 특허로 출원하고 대량생산에 들어갔다. 이 철조망은 목장·공장·가정의 울타리용으로 날개돋친 듯 팔려나갔다. 게다가 제1차 세계대전이 ... ...
특집3 뒤늦은 출발, 선진국과 10년 격차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구축해야 할 때다.KIST 신소재사업단 장성도 단장 "G7프로젝트에 큰 기대"전자산업이
양
적 팽창을 거듭해 세계 정상권을 바짝 추격하는 수준에 이르렀지만 핵심 소재 부품은 대부분 외국에 의존합니다. 선진국들이 경계의 눈빛으로 소재기술을 주기 꺼리자 비로소 기업들이 다급함을 느끼는 것 ... ...
세계에서 가장 빠른 반도체칩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한다.연구개발팀의 일원인 찰스 아이온사이드 박사는 "초고속 스위치는 보다 많은
양
의 정보를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말하면서 "이번에 개발된 비선형 지향성 연동장치는 최근 전자공학에서 주력하고 있는 초미립자 구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밝혔다 ... ...
이전
610
611
612
613
614
615
616
617
6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