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정체 드러내는 「신의 아들」엘니뇨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확립하는데 커다란 발전을 이룩할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인다.용승(湧昇, upwelling)해
양
에서 깊은 곳의 물이 표면으로 솟아 올라오는 현상. 강한 바람이 연안수를 난바다 쪽으로 밀어내는 곳에서는 연안의 표면수가 밑에서 보급돼 용승이 일어난다. 이 용승류의 속도는 매우 느려서 1개월에 20m 정도 ... ...
브라운관에서 액정화면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주입전자가 필요하기 때문에 아직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여지가 상당히 남아있다.다
양
한 쓰임자동차 항공기 선박 등 교통기관의 표시장치는 습도 온도 충격 진동에 견딜 수 있는 고체디스플레이가 필수적이다. 또한 인간의 생명과 직접 관련이 있으므로 동작의 신뢰성이 요구된다. 측정 및 ... ...
"땅은 윤회하지 않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생물이 많았다고 하더라도 그것을 땅에 그대로 묻어서는 석탄이나 석유가 될만한
양
이 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큰 홍수가 이들을 쓸어모으고 지각의 격변에 의해 땅속에 묻혔다고 보지 않으면 설명하기 어렵다.대홍수기간에 일어난 지각의 대격변사건은 현재의 지형이나 지층발달에 큰 흔적을 남길 ... ...
맨발로 지내는 것이 최상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끊어뜨려 수술을 받는 경우도 있다.출생시부터 발에 문제가 있을 수도 있는데 발의 모
양
이 비뚤어져 발바닥이 옆으로 갈 정도로 돌아가 있는 발도 있고 때때로 발가락이 여섯개 있는 발 또는 발가락들이 서로 붙어있는 발도 있다. 심한 경우에는 수술이 필요하다.1960년대 이전에는 소아마비란 병이 ... ...
(3) 「발등의 불」 전산서체 개발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서체의 문제점이다. 현재 출판에서 쓰이는 한글서체는 하나의 계열 안에서도 글자 모
양
에 일관성이 없다. 이것은 이전에 글자의 원도를 그릴 때 한 사람이 연속하여 그린 것이 아니라 여러 사람이 오랜 기간에 걸쳐 그때 그때 만들었기 때문이다. 앞으로는 컴퓨터의 도움으로 제작 기간을 단축하여 ... ...
시공(時空)의 모서리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것을 예언할 수 있을 것처럼 보이지만 반드시 그렇지만은 않다. 우리의 예언 능력은 어떤
양
은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고 단지 확률 분포로 예측 가능한 불확정성 원리에 의존할지 모른다. 또한 방정식을 푸는 것이 너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우리는 전지전능으로부터 아직도 먼 거리에 ... ...
하루에 수t이 쏟아진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내고도 남은 잔해가 지구의 표면에 낙하하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운석이다. 이 운석은 태
양
계의 생성과정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가 된다. 주성분은 철과 니켈로 지구의 중심부 성분과 유사하나 지구상에는 없는 성분이 포함된 경우도 있다.아주 큰 운석은 위협적인 존재가 되기도 한다. 운석이 ... ...
왼손잡이「로키」의 비밀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늘 다수파의 횡포와 편견에 시달려 왔던 인구의 5~10%를 차지하는 왼손잡이의 실제 모습은?서
양
에서는 모나리자를 그린 화가이자 과학자이기도 했던 레오나르도 다 빈 ... 조심해야 할 필요가 있지만 잘 발달된 우뇌를 활용하는 것에 덧붙여 좌뇌까지 개발한다면
양
수겸장이 될 수도 있다 ... ...
전자기학 확립한 패러데이와 맥스웰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이웃하고 있는 자력관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해서는 자력관 사이에 톱니바퀴 모
양
의 작은 회전입자(idle gear)를 두어야 했기 때문이다. 서로 접하고 있는 자력선이 부드럽게 돌기 위해서는 반대방향으로 돌아야 하는데, 그러자면 합해진 회전 속도와 방향이 상쇄되어 전체적으로 0(제로) 상태가 ... ...
식어가는 온천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그러나 미국 에너지부의 레이몬드 포춘씨는 단 한개의 구멍이라도 생각보다는 훨씬 많은
양
을 뽑아올릴 수 있으리라는 견해를 고집하고 있다.어떻든간에 일반적인 지열에너지와 관련된 그동안의 경험은 이 새로운 에너지 공급원에 대한 사람들의 생각을 불확실한 것으로 만들고 말았다.COOLING DOWNOne ... ...
이전
613
614
615
616
617
618
619
620
6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