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유리인가, 슬래그인가?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연구'에도 참가했다. 그는 여기서 최몽룡 강형태 이성주씨 등 고고학·보존과학 전공
학자
들과 함께 주목할만한 연구결과를 내놓고 있다. 이 논문은 한국에서 기술고고학 또는 고고화학의 학문적 위치를 정립시켰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되고 있다.그들은 이 연구에서 한국 고대유리의 산지를 추정하는 ... ...
FDA가 인정한 새로운 AIDS치료제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접종한 초기의 실험에서는 사망률이 최종결과보다 10배나 높았다. 그래서 일부
학자
들은 판매허가가 성급했다는 의견도 제시하고 있다.제조업자들은 DDI의 효능과 부작용을 정리해서 발표했는데, 효능보다는 FDA승인을 더 강조해 일부의 빈축을 사기도 했다.한편 미국의 국립보건원(NIH)도 이 약의 ... ...
가열되는 「회전물체 무게 감소」논쟁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기존의 중력이론과 배치되는 실험결과가 발표된 이후 물리학계는 새로운 논쟁에 휩싸이고 있다.회전하는 물체의 무게는 줄어드는가. 물리학계는 상온핵융합의 논쟁에 이 ... 것이다. 자연의 은폐된 모습을 파헤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려는 자세가 바로 과
학자
들의 본모습인 것이다 ... ...
유기농법, 이땅에서도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알려져 있다. 이는 자연농업의 진정한 효시로 1924년부터 시작됐다. 이 농법은 독일 철
학자
루돌프 스타이너가 같은 해 8차례에 걸쳐 행한 '농업강의록'에 이론적 근거를 두고 있다. 「데메터」대(對)「비오란트」스타이너의 강의록에는 농가를 독립적 순환을 반복하는 하나의 유기체(폐쇄 순환적 ... ...
우주적 위험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있다. 그것도 우주선으로 채워질 수 있을지 모르지만 말이다.국립항공우주국에 있는 물리
학자
라인 실버버그는 물이 효과적인 장애물이라고 말한다. 그는 사이에 물이 있는 일종의 이중벽(二重壁)을 그리고 있다. 그는 4인치 두께의 물이, 암의 위험이 지구 위에서보다 2퍼센트 밖에 늘어나지 않을 ... ...
인류 최초의 조상은 그리스에서 살았다?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전에 같은 장소에서 그 턱과 이빨 조각이 나와 고고학계를 흥분시킨 적이 있었다. 당시의
학자
들은 오우라노피테쿠스와 오스트랄로피테쿠스의 유사점에 주목했다. 특히 이빨에 에나멜질이 두껍게 형성돼 있는 점과 어금니와 작은 어금니가 해부학적으로 비슷한 점이 눈길을 끌기에 충분했다. ... ...
연결주의의 재등장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회의적인 시각도 적지 많다. 인공지능연구의 돌파구로서 신경회로망에 컴퓨터과
학자
들의 이목이 집중돼 있지만 단시일에 뚜렷한 성과를 내기는 어려운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우선 인간 두뇌에 관한 연구가 명확하게 결론나 있지 않은 상황에서 뉴로컴퓨터에 관한 연구는 '장님이 코끼리 만지기 ... ...
유전공학의 관심사 「무서운 생명력」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우리 인류에 크게 공헌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많다. 다만 이 분야에 관심이 많은 과
학자
, 전문가들의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생태계에서의 잡초가 우리에 주는 부정적인 영향만을 강조하다 보면 긍정적인 측면은 자칫 망각하기 쉬운데 이 기회에 잡초의 긍정적인 역할을 인식했으면 좋겠다 ... ...
창조를 위한 모방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각종 유물전시회 등이 자주 개최됨에 따라 점차 활기를 띠고 있다. 이 분야는 전문
학자
들의 자문을 받는 것이 중요하고 제작자들의 조형감각이 뛰어나야 한다. 특히 대부분의 화석이 완전하게 발견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발견되기 때문에, 일부를 갖고 전체를 제작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최근에 ... ...
4월12일 허블우주망원경 띄운다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예정이었으나 챌린저호 폭발사고 이후 4년이나 지연됐다. 동안 이를 기다려온 천문
학자
들은, 지금으로부터 3백70여년 전 갈릴레오가 처음으로 망원경을 통해 밤하늘을 조망한 기분을 다시한번 맛보게 될 '우주천문대'의 비상을 학수고대하고 있다.이제까지 이론적으로만 제기돼왔던 블랙홀도 어쩌면 ... ...
이전
610
611
612
613
614
615
616
617
6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