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유리를 둘러싼 한·일 공방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연결될 수 있음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참으로 이상한 일이다.최근까지도 일본
학자
들은 한반도의 거의 전역에서 나오는 유리제품들에 대해 인색한 점수를 주고 있다. 그들은 한국의 고대 유리를 중국 또는 로만 글래스 계통이라고 보았고 한국에서 만들어진 것을 무조건 평가절하했다. 잘 만들어진 ... ...
PART 4 몸 안으로 들어가는 마이크로 로봇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원자가 결정표면으로 이사를 간 것이다.또 다른 원자 차원의 조작이 시라큐스대학의 화
학자
버지(R. Birge)에 의해 시도됐다. 그는 적당한 파장에 노출되면 형태를 변화시키는 분자를 고안해 냈다.아무튼 현시점에서 극소형 로봇을 생각하는 것은 마치 화살촉을 사용한 구석기시대에 소형 집적회로를 ... ...
남미 최남단, 「비글해협」을 지나며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Beagle)호에서 그 이름을 땄다.'종의 기원'으로 잘 알려진 영국의 위대한 박물
학자
이자 생물
학자
인 찰스다윈은 1831년 12월 17일부터 1836년 11월 2일까지 동식물과 화석의 관찰 및 수집을 목적으로 비글호에 승선했다. 이 때 이 배는 남아메리카 해안을 조사했으며, 오스트레일리아 남태평양 인도양 ... ...
W, Z입자의 실체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이론인 강상호작용이론을 합한 이론도 존재한다. 이 이론들은 70년대와 80년대에 이론물리
학자
들 사이에서 꽤 유행했다. 하지만 이 이론들을 검증할 수 있는 실험장치, 곧 가속장치가 아직 없기 때문에 이론적 가설로만 남아있다.이 분야의 사람들은 W나 Z입자의 실험을 정확하게 함으로써, GSW이론을 ... ...
어느 틈에 수학이 약학으로 바뀌고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수학에 대한 남다른 재능을 발견할 수 없었기에 특별한 학문적 재능을 요구하는
학자
보다는 수학선생님이 되는 편이 좋겠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1987년 대학입시에서 사범대학 수학교육과를 지원했으나 낙방의 쓴 잔을 마시고 재수의 길을 걷게 됐다.눈치작전으로 지원했지만그로부터 1년을 다시 ... ...
「피슈바하」의 도전장 제5의 힘을 찾아서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확실치는 않지만 약(弱)작용만 하는 중성미자일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하는 물리
학자
가 많은데 조교수의 이론은 이 주장들을 자연스럽게 포함하고 있다. 갈릴레오의 실험을 재현하기도그러나 아무리 타당한 이론이라도 실험적인 뒷받침이 없다면 탁상공론에 불과하다. 정말로 제5의 힘은 발견될 ... ...
PART1 태양계 탐사 인간의 행성방문을 위한 정밀조사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일본이 지금 즉시 참여할 것을 열망하고 있다.길고 정교한 작업일본뿐 아니라 모든 과
학자
들이 계획에 있어 '정치적인 지지'를 얻고자 열심이지만 화성탐사는 아폴로의 달착륙처럼 즉각적인 정치적 성과물을 보여주지느 못할 것이다. 이번 계획은 '달을 향한 경주'보다 체계적인 접근을 요구하고 ... ...
3월경 정점에 이를 태양활동의 여파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다했다. 폭발하기 직전에 태양의 방사선을 잰 기록을 모두 지구에 보내온 것이다. 과
학자
들은 이 '솔라맥스'의 마지막 선물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태양상수를 확정할 수 있게 할지도 모르는 귀중한 자료이기 때문이다 ... ...
기술고고학이 밝혀 낸 사실들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초기 청동기유적들은 일본
학자
들의 표현대로 이른바 '한국계'다.이제 일본의 많은 중견
학자
들은 일본의 청동기기술이 한국인 기술자와 함께 한국에서 건너간 청동합금을 원료로 해서 시작됐다는 사실을 인정한다.일본에서 만든 독특한 청동기인 동탁(銅鐸)의 화학적 분석결과, 총 47개 중 30개에서 ... ...
두 사람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후자가 기술적으로 훨씬 더 발전했다는 것이 확실한 듯하다.1878년에 스페인의 고고
학자
마르셀리노데 사우투올라가 한 동굴의 천정에 그려진 그림을 발견했다(실제로는 그의 12살 난 딸이 그것을 처음 보았다.). 그것은 들소, 사슴, 그리고 다른 동물들의 그림이었고 2만년 쯤 된 것이었다. 이 옛날 ... ...
이전
611
612
613
614
615
616
617
618
6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