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명칭
성명
호칭
고유명
직함
명성
네임
d라이브러리
"
이름
"(으)로 총 7,404건 검색되었습니다.
1. 1백명 여론조사 KAIST 학생들의 천태만상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아래서 공부를 하고 있는 셈. 그 이외에도 우장춘 이휘소 장영실 하이젠베르크 호킹 등의
이름
이 나왔다. 과학자 이외에서 가장 존경하는 사람으로는 부모님이 제일 많았다. 존경하는 인물이 어머니와 퀴리부인을 빼곤 모두 남자였던 것도 주목할 만하다.가장 재미있게 읽은 과학기술관련 도서는?1위 ... ...
1. 사고실험으로 이어진 16세 소년의 꿈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것이 있지 않을까. 만약 그런 것이 가능하다면 그 이론을 일반상대성이론이라고
이름
지어야 할 것이다.특수상대성이론을 발표하고 난 후 아인슈타인은 여전히 불만이었다. 그것은 중력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던 까닭이었다. 뉴턴은 중력이 순간적으로 전해진다고 했고, 이것은 천문학적으로 ... ...
시속 2백km를 나는 셔틀콕의 비밀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국기(國技)로 자리잡은 말레이시아나 인도네시아 같은 곳에서는 “대한민국 대통령
이름
은 몰라도 대표선수 박주봉은 안다” 는 우스개가 있을 정도다.배드민턴이 많은 사람들에게서 사랑받는 이유는 경기에 필요한 장비도 간단하고, 심하게 바람만 불지 않는다면 비교적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 ...
4반세기의 발자취 KAIST사람들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시작해 81년 한국과학기술연구소(KIST)와 병합하면서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라는
이름
을 달게 됐다. 89년에는 한국과학기술대학을 통합하면서 KAIST는 대학원 중심·연구중심 대학으로 면모를 일신한다. 전원기숙사 생활, 병역특례, 국비장학생 등 많은 특혜를 받았던 KAIST 학생들, 그들은 사회에 나와 ... ...
2. 나의 젊은 시절 보금자리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KAIST내에서 이루어내는 연구 성과도 중요하지만, KAIST출신들이 여러 곳으로 나가
이름
을 알리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KAIST의 밤은 꺼지지가 않는다. 지금도 실험실, 기숙사 도서관에는 불이 켜져 있을 것이다. 나보다 뛰어난 많은 학생이 지금 KAIST에서 공부하고 연구하고 있다. 그들의 노력에 ... ...
컴퓨터로 그리는 아이들의 세상 "나도 피카소가 될래요"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표시된 과일그림이 나타날 것이다.화면 2-6. 둘러싼 과일 중 원하는 색깔을 누르면 색깔
이름
을 알려준다. 그런 다음 가운데 과일 그림에 마우스를 놓고 이리저리 움직여본다.화면 2-7. 혹시 잘못 칠해졌으면 하얀과일을 선택하고 마우스를 움직이면 지워진다.화면 2-8. 붓의 굵기를 좀 더 굵게 하려면 ... ...
미지의 친구를 기다리는 인간들의 사모곡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상황이 벌어지면서 영화는 클라이맥스로 치닫는다.영화는 외계인을 이데올로기라는
이름
으로 인간을 획일화해 비인간적으로 만드는 사회주의자나 매카시스트로 빗대고 있다. 그 시대의 정치 상황을 반영한, 아주 훌륭한 SF걸작으로 손꼽힌다.최근에 이 영화의 리바이벌판이라고 할 수 있는 아벨 ... ...
1. 남극의 자연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수도 있다. 사진은 남극토박이 제비갈매기.3 얼음도 가지가지남극에서 얼음을 부르는
이름
으로 빙상 빙모 빙하 빙붕 빙산 빙해 등이 있다. 빙상은 매우 큰 얼음으로 남극에서 제일 큰 것은 높이가 4천 30m나 된다. 빙상 중에서 넓이가 5만 km² 이하인 것을 빙모라고 한다. 빟아는 이러한 빙상과 빙모가 ... ...
워드프로세서로 1년 계획 세우기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여기에서 그림파일이 있는 경로를 지정하고 원하는 그림파일의
이름
을 지정하면 된다. 그런 다음 열기 버튼을 선택하면 다시 처음의 그림넣기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이때 넣기 버튼을 누르면 커서가 있던 곳에 지정한 그림파일이 표시된다.아래아한글은 윈도가 지원하는 ... ...
4. 눈없이 보는 능력 초시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해석하는 능력' 이다. 미국 남북정쟁 때 지질학자 덴튼 박사가 누이의 능력을 보고 처음
이름
을 지었다.그의 누이는 지질학적 견본(광석 돌멩이 화석류 등)을 이마에 대는 것만으로 그 견본에 관련된 역사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었다. 덴튼 박사는 이 내용을 '사물의 혼' (The Soul of Things)이라는 책으로 ... ...
이전
613
614
615
616
617
618
619
620
6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