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명칭
성명
호칭
고유명
직함
명성
네임
d라이브러리
"
이름
"(으)로 총 7,404건 검색되었습니다.
5. 한국의 NASA 꿈꾸는 항공우주연구소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999년 발사를 목표로 하고 있는 다목적위성은 한반도 관측, 과학실험, 이동통신실험 등 그
이름
처럼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최근 미국의 NASA가 지구 주위에 떠도는 우주 파편을 측정하는 센서 (IMOD)를 아리랑1호에 탑재해 줄 것을 희망해와 화제가 됐다.항공우주연구소가 아직 다른 나라처럼 ... ...
생명의 비밀 밝히는 멋진 나눔터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밤마다 갖는 정기 채팅은 단순한 잡담 나누기의 범위를 벗어나 '생명과학 사랑' 이란
이름
이 아깝지 않은 활발한 의견 개진의 장이 되고 있다.모임이 정식으로 개설되기 전 나우누리 일반 대화실에서 몇몇 발기인끼리의 온라인 모임을 여러번 가진 적이 있다. 여기에서는 '생명체의 기원' 이라는 ... ...
큰틀 대표 이한순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했던 각종 강좌를 통해 입지를 다져온 그는 세월이 변한 지금도 여전히 PC통신망에 같은
이름
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미래 흐름 읽기로 승부그가 컴퓨터를 '업'으로 삼은 것은 한양대 전자학과 재학 당시인 지난 83년부터. 청계천 상가를 들락거리다가 우연히 알게 된 한 업체로부터 사무자동화용 ... ...
3. 다목적 실용위성 아리랑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정해졌다. 지난 10월23일 과학기술처는 총 1천2백83개의 응모작 가운데 '아리랑'이란
이름
을 당선작으로 선정했다. 가장 경제적인 위성 아리랑1호는 1천6백50억 원의 예산을 들여 국산화율 60%를 목표로 개발되고 있다. 과학실험 통신실험, 그리고 한반도 관측을 위해 개발하는 아리랑 호는 중량 3백50- ... ...
황소자리의 일곱 자매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이루던 껍데기는 엄청난 폭발력 때문에 다 날아가 버리고 그 핵은 수축해서 NP 0532라는
이름
의 중성자별로 남아 있다. 0.033초의 빠른 주기로 자전하는 NP 0532는 주로 X선 가시광선 그리고 전파 영역에서 에너지를 방출한다. 게성운의 초신성 폭발을 관측한 기록이 한국 중국 일본 그리고 터키 등에서 ... ...
모험 스포츠의 백미 번지점프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안나오는 번지(bungee, 혹은 bungy)란 단어는 이곳 원주민들의 발목을 묶었던 칡의
이름
.원주민들의 이 통과 의례는 80년대 중반 뉴질랜드에서 현대 스포츠의 모습으로 탈바꿈했다고 알려져 있으나, 사실은 이보다 앞선 79년 영국 브리스톨에 있는 클리프론 서스펜션 브리지에서 시작됐다.번지점프는 ... ...
1. 통신방송위성 무궁화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계속 쓸 수 있는가 하는 점이다. "다행스럽게도 소유권은 바뀌지만 무궁화 1호라는
이름
을 사용할 수 있을 것" 이라고 한국통신의 김홍모 위성사업본부 종합계획부장은 말한다. 그래서 무궁화 1호는 남은 수명 동안 미진하나마 한국의 통신방송 위성시대를 열어나가게 됐다.현재 무궁화 1호는 위로와 ... ...
철학종교-죽음은 소멸이 아니라 소생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연결고리들이다. 따라서 사람은 물론 다른 동물이나 심지어는 산이나 냇물 내지
이름
없는 풀이나 돌맹이까지라도 해쳐서는 안된다. 그래서 죽은 사체라고 해도본인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아무렇게나 취급할 수는 없다. 불교에서 '살생을 하지 말라'는 계율은 바로 이런 성질의 실천사항이다.다만 ... ...
금속활자와 인쇄술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이때 제작된 해동통보(海東通寶)는 새겨진 글자가 뚜렷하고 깨끗해 중국에서도 그
이름
이 높았다. 해감모래 거푸집을 써서 엽전을 만드는 법은 19세기까지 이어졌다.동전부어내기 기술과 흙활자 새기기 기술이 합쳐져 금속활자의 발명으로 이어졌다는 흔적은 여러 곳에서 발견된다. 고려왕릉에서 ... ...
진화론 VS 창조론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나온다고 하는 것이 전부다. 따라서 이는 반(反)진화론 혹은 믿음이지 하나의 이론이라고
이름
을 붙이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본다. 제3자의 입장에서 보면, 설명할 수 없는 것은 모두 전지전능한 신의 탓으로 돌리고 자세한 설명을 회피하려는 것 같아 무책임해 보이기도 한다.또한 창조론의 주장은 ... ...
이전
615
616
617
618
619
620
621
622
6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