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항력
능란
면역질
특권
적응
d라이브러리
"
면역
"(으)로 총 1,455건 검색되었습니다.
휴대전화가 뇌종양 위험 높인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때문에 미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차원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김 교수는 “특히
면역
시스템이 불완전한 어린이는 전자파에 영향을 더 많이 받을 수 있어 이를 미리 차단하려는 의도도 있다”며 “최근 선진국에서는 초·중등학생의 휴대전화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을 제정하려는 추세”라고 ... ...
배아줄기세포, 이제 병원으로 간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없다며 우려할 일이 아니라고 단언했다. 그리고 앞으로 배아줄기세포주를 계속 늘려나가
면역
타입별로 세포은행을 만든다면 다른 많은 영역으로도 배아줄기세포 치료를 확장해나갈 수 있다고 설명했다.[1998년 최초로 확립된 인간배아줄기세포의 현미경 사진.][배아줄기세포를 분화시켜 만든 ... ...
게보린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같은 혈액질환이다. 재생불량성빈혈은 적혈구와 백혈구를 만들지못해 빈혈이 나타나고
면역
력이 떨어진다.] 사실 국내에서는 IPA가 의약 선진국인 미국에서 시판되지 않는다며 ‘문제 있는 약물’로 취급된 면이 없지 않다. 하지만 조사 결과 IPA는 미국에서 허가신청 자체가 없었던 것으로 ... ...
노벨상 수상자와 함께 나만의 열정 찾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생화학분자생물학회는 5월 16일 서울 코엑스에서 생명과학자를 꿈꾸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과학나눔 강연회를 열었다. 강사는 1988년 노벨상 수상자인 ... 직접 연구에 대한 이야기를 들으니 귀에 쏙쏙 들어왔다”며 “다음에는 암과
면역
질환에 관한 강연도 마련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 ...
가장 무섭고 편안한 집짓기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3대나 맞고 겨우 살아났다. 보건소장은 “그나마 자주 벌에 쏘여 어느 정도 독성에 대한
면역
력이 있어 잘 견뎌낸 것”이라 말했다. 꿀벌보다 침도 굵고 길어 쏘이는 순간에도 얼얼했는데 오랫동안 후유증으로 고통스러웠다. 히스타민으로 대표되는 말벌 독의 성분은 페니실린보다 1만 배 이상의 ... ...
환상의 짝꿍 공생 없인 못살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미국 워싱턴대학교 의과대학 연구팀이 쥐를 이용해 실험한 결과, 헤르페스 바이러스가
면역
력을 높여 주는 공생 관계라는 사실이 밝혀졌단다.환경이 변해서 관계가 변하기도 해. 장 속에 사는 박테리아는 소화를 도와 더 많은 에너지를 얻게 해 주는 공생 친구야 . 하지만 지나친 에너지 섭취로 ... ...
Part 1. 방사능 논란, ‘저선량 방사선’이 문제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드물기는 하지만 저선량 방사선이 건강에 오히려 좋다는 의견도 있다. 약한 방사선이
면역
력을 높인다는 주장이다. 김종순 인제대 의대 교수는 “자연방사선의 양이 평균보다 높은 일본 미사사 온천 지역의 암 발생률이 다른 일본 지역보다 훨씬 낮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며 “저선량 방사선을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때 쉽게 분해되는 물질로 ‘연결기’를 만들어 이 문제를 해결했다. 분자수송체에 인간
면역
결핍바이러스(HIV)의치료약인 ‘AZT’를 결합시켜 쥐에 투여한 결과 혈뇌장벽을 통과해 뇌조직에 약을 전달했던 것이다.지난 2월에는 분자수송체에 항암제를 결합해 뇌종양을 치료하는 연구 결과를 영국 ... ...
라푼젤도 모르는 머리카락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아연이 기준치보다 적게 나왔다면 현재 맛이나 냄새를 잘 느끼지 못하고
면역
력이 떨어졌다는 걸 의미한다.납납의 비율이 높다면 키가 잘 자라지 않을 수 있다. 머리카락으로 범인도 잡는다머리카락은 사건 현장에서 어떤 일이 벌어졌는지를 추측할 수 있게 하는 단서가 된다. 남아 있는 모근의 ... ...
메가마인드와 함께하는 사이언스 반전극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논란의 여지가 없고, 또한 자신의 세포를 이용해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이식 받았을 때
면역
거부 반응도 없다. 그래서 많은 과학자들이 유도만능줄기세포가 앞으로의 질병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유도만능줄기세포를 만드는 과정에서 바이러스를 이용하다 보니, 이 세포를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