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적
표적
대상
과녁
대상물
제목
문제
d라이브러리
"
목표
"(으)로 총 3,757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 비행한 태양광 무인 비행기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4호
때문에 태양에서 전기 에너지를 만드는 것이 유리하죠. Q 앞으로
목표
가 있다면?다음
목표
는 울진에서 독도까지 비행기를 왕복시키는 거예요. 왕복 400km 정도 되는 거리랍니다. 장거리 비행은 쉽지 않아요. 비행기를 눈으로 볼 수 없는 상태에서 지상으로 전송되는 비행기의 상태 정보로만 비행 ... ...
[기획] AI가 자연의 소리를 학습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3호
“2026년까지 동물들의 소리를 정리해 소리은행을 완성하고, 활용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
로 하고 있다”며 “머지 않은 미래에 스마트폰 앱으로 우리나라 생물들의 소리를 검색해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어요 ... ...
[과학뉴스] 50원 동전만 한 바퀴벌레 로봇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3호
것으로 기대하고 있어요. 향후엔 로봇의 몸집을 1cm3 정육면체 크기로 더 줄이는 것도
목표
하고 있답니다. 용어정리* 압전효과 : 전기를 가해주면 기계적 변형이 일어나거나 반대로 압력을 가했을 때 전기가 발생하는 현상 ... ...
빙하 감시단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2호
기름을 많이 써서 연구 시간을 늘릴 수도 없었거든요. 혹시나 이번 항해에선 연구
목표
량을 다 채우지 못하는 게 아닐까 조마조마했어요. 매일 기름 잔여량을 확인해가며 탐사한 건 이번이 처음이었어요. Q계획한 연구를 다 마치셨나요?네! 오랜 시간 탐사하며 쌓아온 노하우가 있거든요. 또, ... ...
[특집] 직접 만들면 전율! 미궁 게임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녹아있지 않았다는 점이다. 송 선생님은 “학생들의 참여 유도가 목적이어서 학습
목표
를 제대로 담아내지 못했다”며, “다음 번엔 교육과정에 맞는 미궁 게임을 제작해보고 싶다”고 밝혔다. 해보면 알 텐데~마성의 미궁 게임이 나온다! 미궁 게임을 즐기다 보니 만들고 싶다는 욕구가 ... ...
[오쌤의 수학공부법] 자기 주도적 방학 계획 세우기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이번 방학엔 많은 것을 욕심내지 말고 딱 한 가지
목표
만 정해 달성해보세요. 이 경험은 앞으로 여러분을 더 큰 성공으로 이끌 겁니다 ... ...
크리스마스 트리가 한국산? 멸종위기 구상나무를 구하라!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CO2) 상태로 변할 때 구상나무의 유전자 발현에 어떤 변화가 생기는지 알아내는 것이
목표
다. 국립생태원 연구팀은 높은 온도와 높은 CO2 농도 환경에서 구상나무 유전자 중 어떤 부위가 발현되는지를 2019년 7월 23일 국제학술지 ‘식물 생명공학 리포트’에 발표했다. doi: 10.1007/s11816-019-00553-0 김동욱 ... ...
지구 어디서든 인터넷이?! 수만 대 스타링크 위성 군단 뜬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2000대의 위성을 발사하며 빠르면 2021년 후반부터는 실제 인터넷 서비스도 제공하겠다는
목표
다. 예상되는 연간 수익은 300억 달러(한화로 약 35조 6000억 원) 이상이다. 스페이스X는 9월에 "첫 번째 베타 테스트 결과 초당 100Mb(메가비트·1Mb는 100만 bit)의 속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또 최근 미국 도서 ... ...
[융복합파트너@DGIST] 스테레오 카메라로 자율주행차 가성비 높인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위~잉’. 목청을 높이지 않고서는 대화가 힘들 정도로 소음이 진동하는 서버실 안. 수백 대의 서버는 각기 다른 실험실에서 보낸 정보를 처리하느라 쉴 새 없이 돌아가고 있었다. 9 ... 카메라로 경제성을 높여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자율주행차를 만드는 것이
목표
”라고 말했다 ... ...
[인터뷰] 핵융합 에너지는 후손에게 남길 자랑스러운 유산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연구하기란 쉽지 않다. 그렇기에 전 세계 최고의 핵융합 기술을 갖춘 국가가 모여 공동의
목표
를 설정하고, 서로의 기술력과 경험을 공유하는 프로젝트가 바로 ITER다. 과학기술도 국가의 자산인 만큼 기술을 선점하기 위해 지금까지 많은 경쟁이 있었다. ITER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다른 분야의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