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적
표적
대상
과녁
대상물
제목
문제
d라이브러리
"
목표
"(으)로 총 3,757건 검색되었습니다.
[융복합 파트너 @ DGIST] 줄기세포로 만든 ‘미니 장기’로, 암 표적 치료법 찾는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감싸고, 다양한 연체조직까지 포함시켜 실제 폐 같은 정교한 오가노이드를 개발하는 게
목표
”라며 “오가노이드를 폐, 콩팥 등 인공 장기로 키워 장기 이식까지 가능하게 하고 싶다”고 말했다. 암 발생 유전자 찾아 표적 치료 정 교수팀은 암 줄기세포도 연구하고 있다. 암 줄기세포는 ... ...
[기획] 장난감 연구실에 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있을 거예요. 연구팀은 “인공지능을 학습시켜 모든 이미지에서 산호를 분류하는 것을
목표
로 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산호 파괴의 원인을 보다 정확하게 찾아내고 피해를 줄일 방안을 찾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용어정리mbb/g: 게임당 딴 돈이 베팅한 돈의 몇 배인지 확률(천분율)로 계산 ... ...
아라온호 북극으로 안내하는 내비게이션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조사하는 수준이었지만 앞으로는 가장 빨리 깨고 지나갈 수 있는 해빙까지 찾아내는 게
목표
다. 막히는 길을 피해 최적의 경로를 안내하는 내비게이션 역할을 인공위성이 하는 셈이다. 아라온호의 해빙 캠프 후보를 선정할 때도 인공위성 정보가 유용하다. 해빙 캠프는 연구자들이 아라온호에서 ... ...
[People] “나는 극지 과학자입니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매력을 느낍니다. 지구와 인간에게 모두 도움이 되는 원격탐사 기술을 발전시키는 게
목표
입니다. ■박정원 선임연구원(지질학 전공)인공위성을 이용하면 사람이 발 디디기조차 힘든 땅도 직접 볼 수 있다는 생각에 대학원에서 레이더 원격탐사를 공부했습니다. 지질학은 전통적으로 현장 조사가 ... ...
박람이가 남긴 마지막 선물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분들이 호랑이사를 확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셨지요. 덕분에 호랑이사는 올가을 완공을
목표
로 4배 더 넓게 확장 설계를 하고 있습니다. 박람이의 새끼들은 더 넓은 곳에서 뛰놀며 근골격계 질병을 미리 예방할 수 있겠죠. ‘어쩌면 박람이가 새끼들에게 주고 간 마지막 선물이 아닐까’하고 생각해 ... ...
[퍼즐라이프] 풀면 갇히고 꼬면 빠진다! 클로버 퍼즐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나무 공을 매달아 놓은 모습이지요. 이 고리를 목걸이로부터 분리하는 게 클로버 퍼즐의
목표
입니다.얼핏 보면 절대 분리할 수 없을 것처럼 보이죠? 하지만 대부분의 퍼즐이 그렇듯 마술 같은 해법이 있습니다. 철사를 엇갈려 만든 세잎클로버를 끈이라고 생각하고 양 끝을 당기면 매듭이 ... ...
기후변화 비밀 품은 북극의 사계절을 보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프로젝트에 투입되는 예산만 1억4000만 유로(약 1975억 원)에 이른다. 모자이크 프로젝트의
목표
는 북극을 연속으로 관측해 북극의 사계절을 더욱 깊숙하게 이해하는 것이다. 그동안의 북극 관측 연구는 겨울철과 봄철의 관측 자료가 절대적으로 부족했다. 해가 뜨지 않는 겨울에는 해빙 면적이 ... ...
숫자로 보는 2020학년도 1학기 사이언스 보드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또 과학을 좋아하는 사람끼리 재밌는 과학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게
목표
였거든요. 꼭 과학 이야기가 아니더라도 여러분의 생각이나 일상을 공유할 수 있는 공간으로 가꾸고 싶었습니다.그런 점에서 자유게시판에 3000개가 훌쩍 넘는 글이 올라오며 멤버들끼리 소통하는 모습을 ... ...
CHINA┃‘우주의 질문’에 답하러 간다.. 창정 5호에 실은 첫 성공의 꿈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화성의 현재와 과거 생명체에 대한 증거를 찾고 화성의 환경을 분석하는 일이 톈원-1의
목표
다. 톈원-1을 화성으로 보낼 창정 5호는 중국이 개발한 가장 큰 운반 로켓으로 ‘뚱보’라는 별명으로 불릴 만큼 크다. 높이는 20층 건물에 해당하는 57m이며, 지름은 5m, 무게는 870t(톤)이다. 2016년 11월 ... ...
[융복합파트너@DGIST] 뇌 속 단백질 조절해 지방 줄인다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궁극적으로는 비만, 당뇨 등의 치료법을 찾는 것이
목표
다. 그는 “식욕조절에 문제를 일으키는 특정 세포나 단백질만 표적으로 삼아 치료할 수 있는 후보 물질을 밝혀내면 부작용 없는 치료제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김 교수는 현재 뇌대사체학 ... ...
이전
61
62
63
64
65
66
67
68
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