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d라이브러리
"
연구진
"(으)로 총 1,196건 검색되었습니다.
비상~! 보이지 않는 습격!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서 부푸러기가 생기는 것처럼 합성섬유 옷을 만지거나 빨 때 조각이 떨어져 나오기도 해.
연구진
은 폴리에스테르나 아크릴 같은 합성섬유로 만든 옷 하나를 빨 때 최대 1900개가 나온 걸 확인했어. 우리가 집에서 빨래를 한 번 할 때마다 수만 개가 넘는 마이크로플라스틱이 나올 수 있다는 거야. 이건 ... ...
나쁜 공기가 기억력 떨어뜨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 ‘사과, 동전, 책상 세 단어를 따라서 말씀해 보세요’ 같이 간단한 질문을 했답니다.
연구진
은 할머니들의 대답으로 인지능력과 정신건강, 반응속도를 측정했어요. 이 조사는 2년 마다 한 번씩 해서 모두 세 번을 했죠.그 결과 먼지 농도가 높은 지역에 사는 할머니들은 공기 좋은 곳의 두 살 많은 ... ...
시간이 정말 빨리 가는 때가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하루의 길이가 다시 정상으로 돌아왔고요. 12일 동안 지구 자전 속도가 빨라졌던거예요.
연구진
은 남극대륙을 감싸고 있는 해류 속도가 느려지면서 지구 자전속도가 빨라졌다고 설명했어요. 해류 속도는 지구 온난화와 엘리뇨현상 같은 기상 현상 때문에 느려진 거래요 ... ...
한국호랑이와 시베리아호랑이는 형제!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뼈를 다른 나라로 가져가지 못하게 해
연구진
이 뼈를 가져오기가 쉽지 않았어요.
연구진
은 겨우 새끼손톱의 반만큼만 얻어왔죠. 이걸로 분석한 거예요.부하가 돼 날 도와 주렴!사실 전 시베리아에서 살고 있는 시베리아호랑이에요. 이번 연구로 한국호랑이랑 다르지 않다고 해서 제가 나온 거죠. ... ...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헨리 마크람 교수팀이 슈퍼컴퓨터로 가상현실 속에 ‘인공두뇌’를 만들고 있어.
연구진
은 인공두뇌에 정보를 넣고 학습시키면 사람같이 지능과 감정을 가질 거래.게다가 사람보다 더 뛰어난 인공지능도 있어. 지난해 2월 퀴즈대결에서 IBM에서 만든 슈퍼컴퓨터 ‘왓슨’이 퀴즈 달인 2명을 이기고 ... ...
Part1. 당신의 장유형은 무엇입니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참여하지 않았지만 지난해 식품의약품안전청(이하 식약청)과 한국야쿠르트 공동
연구진
은 사람들의 생활환경과 장내미생물의 분포의 관계에 관한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즉 도시에 사는 사람들과 시골 장수촌에 사는 사람들의 장내미생물은 종류와 양이 확연히 차이가 난다는 사실을 ... ...
초강력 레이저 쏴 인공태양 밝힌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에너지가 순간적으로 집중되는 구간인 펄스를 더 짧게 할수록 순간 출력이 높다. 미국
연구진
이 사용한 레이저의 펄스 길이는 23나노초. 만약 레이저의 펄스 길이를 나노초의 10만 분의 1인 펨토초(1펨토초는 1000조 분의 1초) 수준으로까지 짧게 한다면 훨씬 더 출력이 높은 레이저를 만들 수 있다.그런 ... ...
반도체 행성 3D 대공사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하려면 수도꼭지를 돌려야 하는데 처음에 물이 나오게 돌리는 힘이 임계전압이다. 인텔
연구진
의 실험 결과 3D 트랜지스터의 임계전압은 평면형 트랜지스터에 비해 약 30% 이상 줄어들었다. 이종호 서울대 전기·정보 공학부 교수는 “3D 반도체는 누설전류가 줄어들고 스위칭 속도도 획기적으로 ... ...
중성미자 대결, 중국과 무승부?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계획이다. 레노는 국제협력 없이 우리 스스로 중성미자를 연구할 수 있는 첫 시설이다.
연구진
은 중성미자를 이용해 원전의 열 발생량을 측정하는 기술도 개발할 계획이다 ... ...
Part3. 정신건강까지 책임지는 장내미생물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우울한 기분을 없애준다아일랜드 코크대의 존 크라이언 박사는 캐나다 맥 마스터대
연구진
과 함께 지난해 8월 장내미생물이 생물의 행동과 기분 등 정신건강에도 관여한다고 발표했다.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를 먹은 쥐가 무균쥐에 비해 스트레스를 덜 받았으며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