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d라이브러리
"
연구진
"(으)로 총 1,19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적인 미래 연구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웅성붙임성과 이를 회복하는 특성은 웅성붙임성 회복유전자(Rf)에 의해서 조절된다.
연구진
은 이런 웅성붙임성 회복유전자 Rf에 대한 유전자 진단법을 개발했고 세계 최초로 Rfp라는 새로운 유전자를 발견했다. 안전성이 입증되지 않은 유전자 조작 식품에 비해 효율이 높은 분자 육종법을 제시했다. ... ...
노벨상 수상자의 4가지 비결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체제나 분야별 시대정신이 과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전쟁이 좋은 예다.
연구진
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과학자들이 원자폭탄 개발과 같은 국방산업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또 과학자들은 그 시대에 긴급하거나 중요하다고 꼽히는 문제에 대해 가장 많은 노력을 ... ...
세계 최대 실험용 핵융합로 재가동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높이는 실험에 유리하다.이번 업그레이드는 유럽연합과 스위스 등 27개 나라 350여 명의
연구진
들이 참여한 공동 프로젝트로 진행됐다. 8만 6000개의 부품을 교체했고, 출력을 50%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설계를 변경했다. 핵융합은 플라스마 온도가 최소 1억℃가 돼야 에너지 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 ...
우주에서 온 로보너트2의 편지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딱딱한 정도를 느끼는 힘 센서와 촉각 센서도 들어가거든.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연구진
이 나를 덱스트러스 방식으로 만든 이유는 더 다양한 분야에 나를 활용하기 위해서야. 집게손은 빵이면 빵, 접시면 접시처럼 한정된 대상만 집어 올릴 수 있어. 하지만 나는 다양한 크기의 물건을 쥘 수 있지. ... ...
ADHD는 유전자 이상 때문?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즉 ADHD가 유전자 이상 때문이라는 사실을 국내
연구진
이 세계 최초로 밝혀 냈어요. 국내에서 약 26만 명의 어린이가 앓는 AHDH는 주의가 산만하고 여러 가지 충동을 조절하지 못하는 뇌 발달 장애랍니다.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과학과 김은준·강창원 교수팀은 ADHD를 앓는 어린이 200명과 정상 ... ...
PART 2. 진동은 피곤해!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컴퓨터나 영상 매체를 통해 가상현실을 경험할 때가 그렇다. 1999년 영국 노팅엄대
연구진
이 실험한 결과에 따르면 가상현실에 노출된 사람의 80%가 10분 안에 멀미 증상을 호소했다. 이처럼 각 감각계가 느낀 정보의 차이로 발생하는 멀미의 기전을 ‘감각충돌설(sensory conflict theory)’이라고 한다. ... ...
1981년 마틴 에번스 교수의 생쥐 배아줄기세포 확립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최악의 과학스캔들에 시달렸고 그 후유증은 아직까지도 남아있다. 이 사이 2006년 일본
연구진
들이 배아줄기세포를 대신할 수 있는 유도만능줄기세포(iPS 세포)를 만드는 데 성공했고 현재 줄기세포연구는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그럼에도 배아줄기세포는 여전히 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 많은 ... ...
중국을 넘어 세계로 가는 홍콩과기대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이공계 중점대학이 필요했고 그 역할을 우리가 하고 있습니다.”홍콩과기대는 우수
연구진
을 확보하기 위해 과감한 투자를 아끼지 않았다. 거액의 연봉을 제시하고 아파트는 물론 자녀 학자금까지 대준다. 교수들이 연구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연구비는 아낌없이 지원한다. 이곳에서 만난 한국인 ... ...
직장을 넘보는 암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신경을 쓰는 것도 대부분 생활 습관을 고쳐서 해결할 수 있다. 앞서 소개한 텍사스대
연구진
의 논문도 “식습관과 담배 등 주된 생활 습관을 개선하면 암을 예방할 수 있다”고 결론 맺고 있다. 하지만 직업이나 환경은 그렇지 않다. 각각 일이나 일상생활과 맞물려 있기 때문이다. 특히 공장이나 ... ...
수학과 물리학이 만나 우주 생성 비밀 밝혀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우주 생성 원리를 더 잘 설명하는 이론이 국내
연구진
에 의해 나왔다.이화여대 수학과 조용승 교수와 과학교육과 홍순태 교수는 우주가 1차원 ‘끈’에서 시작됐다는 가설을 바탕으로 우주 탄생을 설명하는 이론(조·홍 이론)을 미국물리학회에서 발행하는 ‘피지컬 리뷰’ 5월 20일자 온라인 판에 ... ...
이전
61
62
63
64
65
66
67
68
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