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d라이브러리
"
연구진
"(으)로 총 1,196건 검색되었습니다.
국산 수학교구, 미국 최대 수학교육컨퍼런스에서 주목받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계발하는 데 좋은 교구” 라고 덧붙였다.4D프레임을 활용한 수학 수업방법은 국내
연구진
에 의해 개발되고 있다. 현재 3~4편의 논문이 나왔으며, 진행 중인 논문도 여러 건이다. 스웨덴 칼스타드대 교육공학팀과 논문을 진행 중인 황홍택 금오공대 수학과 교수는 “기존의 수학교구는 이미 알려진 ... ...
시작부터 삐걱? “중이온가속기 美 베꼈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한국형 중이온가속기 설계를 담당했던
연구진
들이 5월 19일 서울 종로구 세종로 정부중앙청사 교육과학기술부 기자실에서 표절 의혹에 대해 해명하고 있다.]동아사이언스 취재 결과 과학벨트의 핵심 실험시설인 4600억 원 규모의 한국형 중이온가속기(KoRIA)의 기초설계가 미국 미시간주립대의 최신 ... ...
과학벨트 주요 궁금증 5문 5답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모험적이고 창의적인 연구도 포용할 수 있다. 또한 생물학, 화학, 물리학 같은 세부 분야
연구진
이 협력하는 연구도 수월해진다. 학문 간 융합을 통한 공동연구는 최근 기초과학 연구의 대세다. 최근 노벨과학상의 공동수상 비율은 78.9%에 이른다.Q. 중이온가속기는 어떤 것인가A. 중이온가속기는 ... ...
Part 2. 죽음의 안식처, 무덤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목곽(木槨)이 드러났다.2010년 5월 9일 경기도 오산. 기자는 오산 6미라 발굴현장을 찾았다.
연구진
은 목곽을 열고, 그 안에서 있는 관을 포크레인에 매달아 트럭까지 옮겼다.한국미라가 발견되는 첫 번째 조건은 회곽으로 둘러싸인 무덤이다. 회곽이란 나무관 주위에 돌처럼 단단하게 굳어 있는 회반죽 ... ...
Part 1. 눈과 귀 사로잡는 오디션의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그룹 안에서 경쟁할 때 좋은 성적이 나올까.이스라엘 하이파대와 미국 미시간대 공동
연구진
은 시험을 치루는 사람의 수가 개인의 성적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70여 명의 학생을 홀로 앉히고 제한 시간 동안 단답형 퀴즈를 풀도록 했다. 그리고 한 그룹에는 총 10명이 같은 퀴즈를 풀고 ... ...
자연의 가장 깊숙한 음악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들릴 것 같은 이 사진은 애기장대가 자라는 모습을 공초점현미경으로 확대한 장면이다.
연구진
들은 세포분열 장면을 연구하기 위해 형광단백질 유전자를 넣어 발현 여부를 관찰했다. 세포 외곽을 알 수 있게 세포막에 반응하는 형광물질도 사용했다.[신경세포의 합창 마이클 하우저, 헤르만 쿤츠 ... ...
효모 인공포자 만들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생물인 효모의 세포표면을 코팅해 인공포자로 만드는 방법을 국내
연구진
이 개발했다. 효모를 이용해 진단이나 유해물질 검출에 쓰이는 ‘바이오센서’를 개발할 수 있는 길이 열린 셈이어서 주목받고 있다. 이 연구는 ‘미국화학회지(JACS)’ 3월 9일자에 표지논문으로 실렸다.KAIST 화학과 최인성 ... ...
수학적인 구조를 갖는 물질이 있다?!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세슘 원자가 보로메오 고리처럼 연결돼 있다는 뜻이다. 이후 보로메오 구조는 2010년 일본
연구진
에 의해 원자핵 사이에서도 발견됐다.한편 노르웨이공대의 수학자 닐스 바스 교수는 고리가 3개일 때뿐 아니라 4개 이상일 때도 브륀 연결구조가 만들어짐을 증명했다. 4개 이상의 고리로 연결된 구조는 ... ...
“가려움증 일으키는 신경은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가려움증 유발물질과 이에 반응하여 신경신호를 발생시키는 감각신경세포를 국내
연구진
이 발견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서울대 치의학대학원 이성중 교수가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 한상규 교수와 공동으로 가려움증 유발 감각신경세포를 새롭게 발견했으며, 이미퀴모드(Imiquimod)라는 화합물과 ... ...
‘아바타’ 정말로 만들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촉각 사이에 불균형이 일어나기 때문에 뇌가 혼란을 일으키는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진
은 이 같은 유체현상을 이용하면 컴퓨터 게임을 좀 더 실감나게 즐길 수 있고 또는 거식증에 걸린 사람에게 망가진 신체 이미지를 보여줌으로서 식이장애를 치료할 수도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 ...
이전
63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